• 제목/요약/키워드: music class

검색결과 122건 처리시간 0.029초

21세기 현대 패션에 나타난 타영역과의 상호텍스트성에 관한 연구 - 애니메이션, 음악, 무대예술, 테크놀로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Intertextuality with Other Domains in the 21C Contemporary Fashion - Focused on Animation, Music, Performing Arts and Technology -)

  • 김혜정
    • 복식
    • /
    • 제54권2호
    • /
    • pp.105-119
    • /
    • 2004
  • Cultural hybridization and global cross-fertilization, begun since the 1990s, mean the hybrid mixture of the low-class popular arts and the high-class fine arts and have found expression in intertextuality by means of the thinking system of de-constructuralist post-modernism. This study was intended to investigate the artistic intertextuality between fashion and art frontiere, especially between such fields as 'animation', 'music', and 'performing arts' and 'fashion', which shows the greatest characteristic of the phenomenon that the non-mainstream culture flows into the mainstream culture. It also aimed to investigate the intertextuality between 'technology' and 'fashion' as the delivery room of the youth culture and copycat culture due to the benefit of technologies since the 20th-century digital revolution. Animation as the neo-pop art with the popular code coming to the forefront in the 21th century integrated high-class fashion and low-class fashion into one through the combination of fashion and humor, and the musical element referring to the social difference of the cultural field and the social strata is becoming the 21th-century fashion icon through its fusion with the pictorial tendency along with the leisure-time life of the non-mainstream strata. In terms of intertextuality in performing arts, fashion style performs an important role in the presentation of performing arts and since the de-construction of the fin-de-ciecle form and its fusion with media have taken place, fashion works become and element of the origin that has an influence on a series of film, dance, dramatic elements and the like. The paradigm of technology made it socially and culturally possible to achieve the architecture of clothing system necessary for fashionable technical clothing by allowing the possibility of imitation, the function of technology to form popular culture. The intertextual tendency in the 21th-century fashion began from the de-constructive phenomenon of existing norms and now takes the multicultural character of surpassing a certain domain or concept. And it positions itself as the total art of spearheading the low-class culture and the non-mainstream culture as the hybrid domain of mainstream and non-mainstream cultures or high-class and low-class cultures.

음악의 특성에 따른 피아노 솔로 음악으로 부터의 멜로디 추출 (Extracting Melodies from Piano Solo Music Based on its Characteristics)

  • 최윤재;박종철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 /
    • 제15권12호
    • /
    • pp.923-927
    • /
    • 2009
  • 최근 디지털 음반 시장의 발전으로 인해 음악 검색 및 추천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데 이러한 서비스를 수행하는 음악 기반 응용 시스템의 성능 향상을 위해서는 일반적인 음악의 형태인 다음(Polyphonic) 음악에서 멜로디를 추출하는 과정이 필수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다음의 복잡도가 높고 넓은 음역을 가지는 음악을 만들 수 있는 피아노 솔로 음악에서 멜로디를 추출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본 연구는 피아노 음악을 음악의 특성에 따라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해서 유형별로 멜로디를 추출하는 방법을 살펴본다. 제안한 방법에 따라 구현된 시스템을 이용해서 성능을 측정한 결과 다양한 피아노 솔로 음악에 적용 가능함을 확인했다.

음악기보 인식을 위한 다중필터의 설계 및 유사판별 성능분석 (Design of optimal multiplexed filter and an analysis on the similar discrimination for music notatins recognition)

  • 유진선;김남
    • 전자공학회논문지D
    • /
    • 제34D권6호
    • /
    • pp.65-74
    • /
    • 1997
  • In this paper, SA-multiplexed filter is designed using SA (simulated ananealing) to recognize music notation patterns varying in size, shape, position and having considerably many similar shapes for optical pattern recognition system. This filter has correlation resutls at wanted location and can identify same class, classify similar class for scale-varianted or rotation-varianted music notation patterns havng learning process. Also, the optimum filter is oriented to analyze on the similar discrimination at acquired position using SA and enhances optical diffractive efficiency as well as peak beam intensity. Compared with POF *(phase only filter), cosine-BPOF(cosine-binary phase only filter), that has excellent discrimination capability even if the different rate is 0.1% quantitatively.

  • PDF

A Lightweight and Effective Music Score Recognition on Mobile Phones

  • Nguyen, Tam;Lee, Gueesang
    •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 /
    • 제11권3호
    • /
    • pp.438-449
    • /
    • 2015
  • Recognition systems for scanned or printed music scores that have been implemented on personal computers have received attention from numerous scientists and have achieved significant results over many years. A modern trend with music scores being captured and played directly on mobile devices has become more interesting to researchers. The limitation of resources and the effects of illumination, distortion, and inclination on input images are still challenges to these recognition systems. In this paper, we introduce a novel approach for recognizing music scores captured by mobile cameras. To reduce the complexity, as well as the computational time of the system, we grouped all of the symbols extracted from music scores into ten main classes. We then applied each major class to SVM to classify the musical symbols separately.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our proposed method could be applied to real time applications and that its performance is competitive with other methods.

사물놀이 지도법 개발과 이를 통한 국악의 인식 변화 연구 (Investigation on the Perception Changes of the Korean Music through Developing A Teaching Method for Samul-nori)

  • 이가원;김영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114-122
    • /
    • 2012
  • 본 연구는 웃다리 사물놀이 교육 프로그램을 통하여 일반학생들의 전통음악에 대한 이해와 관심의 변화를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사물놀이 수업을 음악 정규 교육과정에 재구성하여 주 2회 총 10차시에 걸친 사물놀이 연주 활동을 통해 직접적이고 다양한 전통음악 학습활동이 이루어지도록 지도하였다. 학생들이 교육과정에 제시된 기본 장단의 이해와 더불어 사물악기를 직접 다뤄볼 수 있게 함으로써 학생들에게 보다 흥미있는 전통음악활동이 되도록 하였으며, 사전 사후의 설문지 조사를 통하여 학생들의 인식 변화를 조사하였다. 웃다리 사물놀이 학습활동의 적용 결과 국악에 대한 관심도가 높은 증가율을 보였으며, 사물놀이에 대한 인지도나 국악교육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에 변화가 있었다. 지금까지 단소를 중심으로 한 국악 실기 교육보다 사물놀이 수업방법에 대해 대체적으로 만족하고 있으며, 계속적인 사물놀이 교육을 원하며 사물놀이 수업이 국악에 대하여 관심도를 높이는데 매우 효과가 컸음이 확인 되었다. 사물놀이를 정규 음악 교육과정에 어떻게 재구성 재편성할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더 구체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하지만, 서양음악에 편중된 교육을 받았던 학생들에게 국악의 직접적인 연주 경험은 학생들이 우리 장단에 보다 쉽게 다가갈 수 있도록 도와주며, 이를 통하여 우리 전통음악, 전통악기에 대한 관심과흥미를 유발시키며, 더 나아가 전통음악을 계승하고, 새롭게 창조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데에 밑거름이 될 것이라 기대한다.

음악치료 접근을 통한 특수학교 음악교육 교수·학습 지도안 개발 - 지적장애 중·고등학교 과정을 중심으로 - (Development of Music Teaching-Learning Program for Secondary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based on Music Therapy Approach)

  • 배지혜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10권1호
    • /
    • pp.47-66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지적장애 중 고등학교 학생들의 효과적인 음악 수업을 위하여 교수 학습 지도안을 개발하였다. 지도안 구성 시 특수교육 분야에 관련서비스로써 역할을 해 온 음악치료 영역을 음악 교과 수업 장면에 접목시켰다. 지도안은 2008개정 특수학교 교육과정의 음악과에서 각 영역별로 주제를 재구성하여, 제재를 한 가지씩 선정하였고 교육적, 치료적인 목적에 따라 학생들의 기능 수준별로 나눈 3단계의 학생활동과 교사활동으로 구성하였다. 개발된 교수 학습 지도안은 특수음악교사 3명과 음악치료사 3명의 검증을 거쳐 1차와 2차 피드백을 받아 내용을 수정 보완하는 과정을 거쳤다. 그리고 지각, 표현, 감상 영역에 따른 단계적이고 연속적인 교육활동을 위하여 개발한 교수 학습 지도안을 바탕으로 총 20차시의 지도 계획표와 한 학기 분량의 월별 지도 계획을 제시하였다. 앞으로 본 연구의 결과가 지적장애 학교에서의 효과적인 음악 수업을 위한 자료 개발과 향후 개정 교육과정에 활용할 수 있는 기초 자료가 될 것이다. 더불어 음악치료적 접근을 중심으로 음악 수업환경을 제공하는 새로운 방법론적 아이디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초등학교 특수학급 음악치료에 대한 특수교사와 음악치료사의 인식 조사 (Special Educators and Music Therapists' Recognition of Music Therapy in Special Education Class in Elementary School)

  • 김정란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3권1호
    • /
    • pp.1-11
    • /
    • 2006
  • 미국에서는 1975년 장애아동교육법(Education for All Handicapped Children Act)이 시행되면서 특수교육 프로그램에서 일하는 음악치료사의 역할이 확대되기 시작하였고, 학령기 아동을 위한 음악치료의 역사는 반세기가 넘었다. 우리나라의 경우 2005년에 개정된 특수교육계획에서 특수교육이 필요한 학생의 치료교육에 대한 지원을 확대하고 각 지역 교육청별로 특수교육 지원센터를 두어 치료교육 교사를 배치 시행하는 안을 발표하여 학교 현장에서의 음악치료 보급이 시작되는 단계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2005년 특수교육계획이 시행된 지 6개월 정도 지난 시점에서 초등학교 음악치료와 관련된 특수교사들과 음악치료사들의 의견과 학교 현장에서의 음악치료 현황 및 실태는 어떠한지를 알아보고 그에 따른 개선점이나 문제점을 제시하는 데에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와 관련된 선행 연구들과 문헌들을 조사 검토하고, 2005년 10월 18일부터 11월 2일에 걸쳐 특수교사 65명과 음악치료사 30명을 대상으로 초등학교 특수학급에서의 음악치료 현황과 인식도, 기대도 등에 관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기술통계 처리하였다. 분석된 결과에 의하면, 특수교사와 음악치료사는 초등학교의 음악치료 필요성에 대해 인식하고 있으며 음악치료의 효과에 대해서도 긍정적인 기대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음악치료 프로그램의 질을 높이고 체계화하기 위해서는 악기 및 음악치료실의 완비가 무엇보다도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위해 국가나 학교 차원에서의 적극적인 행 재정적 지원이 있어야 한다는 지적도 있었다. 특수학교나 특수학급을 비롯한 지역사회 복지관, 조기교육 현장 등 장애아동이 있는 모든 곳에서 치료교육에 대한 학부모들의 요구는 최근 들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현장에서 치료와 교육을 접목시킨 음악치료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조사를 통해 초등학교에서 음악치료교육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 PDF

컴퓨터 음악프로그램을 통한 창의적 활동 중심의 교수.학습 방안 (A Study on the Musical Instruction-Learning Method Focusing on Creative Activities using Computer-Based Music Programmes)

  • 조정은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1-10
    • /
    • 2011
  • 21세기를 주도할 자율적이고 창의적인 한국인 육성은 개정된 교육과정에서 강조하는 기본방향이다. 중등음악교육에서는 학습자의 시각과 청각을 함께 자극하고 창의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컴퓨터 음악프로그램이 교수 학습에 효과적인 매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컴퓨터 음악프로그램의 기능을 살펴보고, 그것을 음악수업에서 창의적인 학습활동으로 연계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또한 음악활동 영역별로 그 적용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사보프로그램인 Finale 2010과 이미지 및 동영상 편집도구로 Window MovieMaker, 그리고 소리편집의 Goldwave를 사용을 중심으로 학생들의 창의적인 학습활동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유아음악활동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about Early Childhood Music Activity)

  • 김지영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389-397
    • /
    • 2008
  • This study is investigating the perception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on early childhood music activity. The subjects are early childhood teachers(N=217) working at kindergartens and day care centers in Jeonbuk Province.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a questionnaire and analyzed with the tests of frequency, Cronbach's $\alpha$, t-test, ANOVA and Duncan.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are being aware of importance of infant music activity in the order of "aesthetic exploration", "artistic expression", and "art appreciation". Second, according to teachers' working place, the teachers have no differences of perception in early childhood music activities, while, according to children's age in the class which the teachers are taking charge of, they show differences of perception in the activities of "exploring movements " and "respect for artistic expression". Third, according to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career, they have difference of perception in "singing" activity only, while according to their education level, they have no differences of perception in all music activities. According to teachers' age, they have differences of perception in the activities of "aesthetic exploration", "exploring sound", and "singing".

초등학교 음악 감상 학습 시스템 개발 및 적용 (Implementation and application of music appreciation instruction system in elementary schools)

  • 김동일;박선주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6권1호
    • /
    • pp.42-52
    • /
    • 2002
  • 효과적인 음악 감상 학습을 위해서는 음악 수업 시간의 감상뿐만 아니라 시간과 공간의 제약 없이 반복적인 음악 감상이 가능해야하며, 음악 감상 요소에 따른 다양한 멀티미디어 감상 학습 자료를 필요로 한다. 그러나 단위 시간에 개별화되고 반복적인 감상 학습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개별화된 감상 학습 자료도 부족한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초등학교 음악 감상 학습에 필요한 학습 자료를 공유하고 음악 감상 학습 요소를 포함하는 초등학교 음악 감상 학습 시스템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초등학교 음악 감상 학습 요소를 분석하여 자기 주도적이고 능동적인 음악 감상학습이 가능하며, 또한, 온라인 상에서 학생이 올린 감상문을 교사가 평가함으로써 성취감과 자신감을 갖게 하여 즐거운 음악 활동을 경험할 수 있도록 초등학교 음악 감상 학습 시스템을 설계 및 개발하였다. 그리고 이를 초등학교에 적용해 보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