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nvestigation on the Perception Changes of the Korean Music through Developing A Teaching Method for Samul-nori

사물놀이 지도법 개발과 이를 통한 국악의 인식 변화 연구

  • 이가원 (목원대학교 사범대학 음악교육과) ;
  • 김영원 (현도정보고등학교)
  • Received : 2012.01.30
  • Accepted : 2012.03.14
  • Published : 2012.03.28

Abstract

Traditional music should be succeeded and developed through the systematic education since music represents culture and history of one country. In Korea, even through the importance of Korean traditional music has been emphasized through the seven times of revision of national curriculum, music education has been still Western-oriented. This study aims to make students have experience Uttari Samul-nori and investigate the perception changes about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It is ultimately expected that students inherit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further recreate our own traditional culture. Samul-nori class was organized in the regular music curriculum twice a week, for 10 hours and various activities were tried during that time. 1st-year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and they were allowed to play Samul instruments directly and play the basic rhythm suggested in the newly designed curriculum. Before and after the research, the questionnaires were sent to examine the attitude changes toward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The result of the questionnaire are as follows: First, Samul-nori activities affect positively the students' interest in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Samul-nori itself. Second, Danso(short bamboo flute) education which has been implemented most frequently during the Korean music education, is not satisfactory to the students. Third, students were satisfied with the new teaching method of Samul-nori and most students wanted to continue to take Samul-nori class. Last, students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after the research activities.

본 연구는 웃다리 사물놀이 교육 프로그램을 통하여 일반학생들의 전통음악에 대한 이해와 관심의 변화를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사물놀이 수업을 음악 정규 교육과정에 재구성하여 주 2회 총 10차시에 걸친 사물놀이 연주 활동을 통해 직접적이고 다양한 전통음악 학습활동이 이루어지도록 지도하였다. 학생들이 교육과정에 제시된 기본 장단의 이해와 더불어 사물악기를 직접 다뤄볼 수 있게 함으로써 학생들에게 보다 흥미있는 전통음악활동이 되도록 하였으며, 사전 사후의 설문지 조사를 통하여 학생들의 인식 변화를 조사하였다. 웃다리 사물놀이 학습활동의 적용 결과 국악에 대한 관심도가 높은 증가율을 보였으며, 사물놀이에 대한 인지도나 국악교육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에 변화가 있었다. 지금까지 단소를 중심으로 한 국악 실기 교육보다 사물놀이 수업방법에 대해 대체적으로 만족하고 있으며, 계속적인 사물놀이 교육을 원하며 사물놀이 수업이 국악에 대하여 관심도를 높이는데 매우 효과가 컸음이 확인 되었다. 사물놀이를 정규 음악 교육과정에 어떻게 재구성 재편성할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더 구체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하지만, 서양음악에 편중된 교육을 받았던 학생들에게 국악의 직접적인 연주 경험은 학생들이 우리 장단에 보다 쉽게 다가갈 수 있도록 도와주며, 이를 통하여 우리 전통음악, 전통악기에 대한 관심과흥미를 유발시키며, 더 나아가 전통음악을 계승하고, 새롭게 창조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데에 밑거름이 될 것이라 기대한다.

Keywords

References

  1. 서은숙, "한국문화콘텐츠 개발의 필요성과 방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9권, 제1호, pp.417-427, 2009.
  2. 최유미, "유아용 한국음악 멀티미디어 콘텐츠 개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7권, 제2호, pp.132-141, 2007.
  3. 김헌선, 사물놀이란 무엇인가, 귀인사, 1988.
  4. 한승희, 이혜연, "민속놀이 교실활동", 한국청소년 연구, 제18호, 가을, pp.98-110, 1994.
  5. 장사훈, 국악대사전, 세광출판사, 1986.
  6. 강준혁, "전통예술의 현대적 계승사례 연구 - 김덕수와 사물놀이를 중심으로", 문화경제연구, 제4권, 제1호, pp.88-95, 2001.
  7. 윤승모, "설장구놀이의 단계적 지도 방안", 국악과 교육, pp.147-210, 2001.
  8. 곽종원, 국악교육지도서, 문예진흥원, 1976.
  9. 국립국악원, 우수국악교육연구 공모제 2002 수상작품집, 국립국악원, 2002.
  10. 조창제, 중등음악교사용지도서, 교학연구사, 2003.
  11. 최병삼, 사물놀이 배우기, 학민사,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