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ng beans

검색결과 44건 처리시간 0.026초

로스팅 시간에 따른 녹두의 생리활성 변화 (Bioactivitiy Changes in Mung Beans according to the Roasting Time)

  • 송유빈;이경석;이명숙;김애정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502-507
    • /
    • 2013
  •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he optimal time that enhanced the functional activities of mung beans for use of functional food resources. Mung beans were roasted according three levels of roasting time levels (10, 20 and 30 minutes) at $110^{\circ}C$ and then the physicochemical compositions were determined. The reducing sugar content was decreased with the increased roasting time. Moisture was decreased with increased roasting time, whereas, crude fat, crude ash, crude protein and carbohydrate were increased with prolonged roasting time. The highest contents of total phenol and flavonoid were shown at a roasting condition $110^{\circ}C$ for 30 minutes. The highest inhibitory activities of DPPH radical, ABTS radical and xanthine oxidase was the best at the condition of $110^{\circ}C$ for 30 min. From these results optimal roasting time of mung beans were 30 minutes for use of functional food resources.

Comparison of Chemical Constituents in Mung bean (Vigna radiata L.) Flour between Cultivation Regions and Seeding Dates

  • An, Yeon Ju;Kim, Mi Jung;Han, Sang Ik;Chi, Hee-Youn;Kwon, Chang;Kim, So Yeon;Yang, Yu Jin;Kim, Yun Ju;Moon, Hee Sung;Kim, Seung-Hyun;Chung, Ill-Min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5권4호
    • /
    • pp.457-467
    • /
    • 2020
  • Legumes are one of the largest families of crop plants and are widely consumed and produced for their nutritional and commercial benefits. Mung bean (Vigna radiata L.) is a legume crop that contains various functional compounds ; moreover, it has strong antioxidant properties and is becoming an increasingly important food crop. However, most previous studies on mung beans have focused on their primary metabolite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composition and contents of phenolic compounds, fatty acids, soyasapogenol and tocopherol in mung beans cultivated in different regions and cultivated at different seeding dates. Materi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following methods: LC-MS/MS, GC-FID and HPLC-ELSD. In total, 57 different samples were analyzed. Thirteen phenolic compounds were detected in mung beans. Of these, vitexin and isovitexin were the most abundant compounds, accounting for approximately 99% of phenolic compounds. The difference in phenol compounds according to the seeding dates of mung bean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total fatty acid content in beans was the highest in Pyeongchang. Significant differences in total fatty acid content were found according to the cultivation regions. Crops grown in Sohyeon and Dahyeon showed the highest soyasapogenol B content in the Suwon region, and these were the lowest in Jeonju. The total tocopherol content of beans cultivated in Dahyeon and Sohyeon was the lowest and highest in Pyeongchang. Soyasapogenol B and total tocopherol content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seeding dat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obtain basic data for the cultivation of mung beans with a high content of various functional materials in terms of regional specialization and optimal seeding time.

녹두발아시 항영양 과당류의 변화 (Effects of Germination on Antinutritional Oligosaccharides of Mung Beans)

  • 박영수;모수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284-288
    • /
    • 1985
  • 녹두발아중 항영양 과당류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온에서 15시간 침지시킨 녹두(Phaseolus aureus)를 $25^{\circ}C$에서 7일간 발아시키면서 실리카박층크로마토그라피로 당의 패턴을 분석하였다. 녹두의 수분함량은 15시간 침지이후 발아 3일까지 65%로 유지되다가 4일째부터는 82%로 거의 안정하였다. 항영양 과당류인 raffinose와 stachyose는 박층크로마토그라피상에서 발아 $1{\sim}2$일째 급격히 감소하여 미량 존재 하다가 3일째부터는 거의 소멸되었다.

  • PDF

Implementation of ML Algorithm for Mung Bean Classification using Smart Phone

  • Almutairi, Mubarak;Mutiullah, Mutiullah;Munir, Kashif;Hashmi, Shadab Alam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1권11호
    • /
    • pp.89-96
    • /
    • 2021
  • This work is an extension of my work presented a robust and economically efficient method for the Discrimination of four Mung-Beans [1] varieties based on quantitative parameters. Due to the advancement of technology, users try to find the solutions to their daily life problems using smartphones but still for computing power and memory. Hence, there is a need to find the best classifier to classify the Mung-Beans using already suggested features in previous work with minimum memory requirements and computational power. To achieve this study's goal, we take the experiments on various supervised classifiers with simple architecture and calculations and give the robust performance on the most relevant 10 suggested features selected by Fisher Co-efficient, Probability of Error, Mutual Information, and wavelet features. After the analysis, we replace the Artificial Neural Network and Deep learning with a classifier that gives approximately the same classification results as the above classifier but is efficient in terms of resources and time complexity. This classifier is easily implemented in the smartphone environment.

로스팅 온도에 따른 녹두의 항산화 활성 변화 및 일반 성분 분석 (Changes in Antioxidative Activities and General Composition of Mung Beans according to Roasting Temperature)

  • 김윤태;이명숙;김애정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217-223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녹두 껍질에 주로 존재하는 유용성분의 활용도를 증대시키기 위한 방안의 하나로 녹두를 로스팅 처리하였고, 이때 로스팅 온도에 따른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변화를 측정하여, 녹두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녹두는 로스터기를 사용하여 볶았으며, 이때 로스팅 온도는 $90^{\circ}C$, $100^{\circ}C$, $110^{\circ}C$, $120^{\circ}C$, 로스팅 시간은 20분간으로 하였다. 로스팅한 녹두는 분말화 하여 일반 성분을 분석하였고, 70% 에탄올로 추출한 시료는 항산화 생리활성 분석 시료로 사용하였다. 대조군으로 로스팅하지 않은 생녹두를 사용하였다. 생녹두를 포함한 온도별 로스팅 녹두 시료들의 pH는 6.1에서 6.3사이였다. 환원당 함량의 경우, 로스팅 온도가 높아질수록 환원당 함량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여, 생녹두(3.14 mg/mL)의 환원당 함량이 가장 높았다. 일반성분은 수분을 제외한 나머지 성분들이 로스팅 온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추출물의 추출 수율은 로스팅 온도가 올라갈수록 증가되었다. 총 페놀 함량,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DPPH 법, ABTS 법에 의한 free radical 소거능 및 xanthine oxidase 저해 활성은 로스팅 온도가 높아질수록 증가하다가 $120^{\circ}C$ 조건에서는 오히려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결론적으로 녹두를 로스팅할 경우, 일정 수준까지의 열처리($110^{\circ}C$)는 항산화 생리활성이 증진되었으나, 그 보다 과한 열처리($120^{\circ}C$) 조건에서는 오히려 활성이 감소되었으므로, 녹두의 최적 로스팅 조건은 $110^{\circ}C$에서 20분으로 생각된다.

황국균(Aspergillus oryzae N041)을 이용한 곡류 낱알누룩 제조 및 막걸리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Makgeolli and Nuruk Grain Inoculated with Aspergillus oryzae N041)

  • 백성열;김주연;윤혜주;최지호;최한석;정석태;여수환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877-881
    • /
    • 2011
  • 전통누룩에서 분리한 A. oryzae N041 균주를 서로 다른 4종류의 곡물에 접종하여 낱알누룩을 제조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빚은 막걸리의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곡물별 낱알 누룩의 품질특성을 분석한 결과, 쌀 낱알누룩보다 녹두 낱알누룩에서 산도와 아미노산도, 당화력이 높게 나타났다. 제조한 곡물별로 막걸리를 빚어 양조적성을 분석한 결과, 녹두 낱알누룩이 타 곡물 낱알누룩보다 당도와 환원당 함량이 높았으며, 반면 알코올 함량은 낮게 나타났다. 술덧의 유기산은 citric acid, malic acid, succinic acid 등의 주요한 유기산이 확인되었으며, 전체 유기산의 총량은 쌀(1,748.5 mg%), 녹두(1,551.2 mg%), 보리(1,003.2 mg%), 율무(940.8 mg%) 순으로 유기산 생성량이 많았다. 특히, 녹두 낱알누룩으로 빚은 막걸리는 아미노산도와 유기산 함량이 높아 소비자가 마시기 쉬운 감칠맛과 녹두가 가지는 깊은 풍미를 가질 것으로 기대된다.

녹두로부터 렉틴 성분의 분리 정제 (Isolation and Purification of Lectin from Phaseolus radiatus)

  • 정시련;홍승수;전경희
    • 약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21-227
    • /
    • 1983
  • New lectins, lymphoagglutinating lectins from mung beans (MBLA) have been isolated and purified. Mung beans crude extracts were made with 0.15M NaCl and these were purified through anionic exchange chromatography. Four fractions were obtained from DEAE Sephadex A-50 by salt gradients elution. Lectin activity, enzyme activity, protein assay, identification of purity by polyacrylamide gel electrphoresis and immunochemical studies were carried out with these four fractions. Through these results, it can be suggested that 0.2M fraction is newly found potent MBLA. There were some relationships with MBLA and L-PHA but no similarities were observed between MBLA and E-PHA.

  • PDF

한국산 두류(豆類)중 단백질의 분별(分別) 및 전기영동(電氣泳動)패턴 (Fractionation and Electrophoretic Pattern of Proteins in Some Korean Beans)

  • 강명희;이서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415-422
    • /
    • 1978
  • 한국산 두류중 대두를 제외한 팥, 녹두, 강남콩에 대한 일반성분의 분석, 용해도에 의한 단백질의 분별(分別) 정량(定量) 및 polyacrylamide gel disc electrophoresis를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일반성분으로는 지방이 적어 1%미만이었고 탄수화물은 60% 내외로 많았으며 단백질은 $20{\sim}25%$ 이었다. 2) 단백질중 총 globulin 함량은 $46{\sim}59%$로 대두에 비해 적었고 녹두>강남콩>팥의 순이었다. Albumin은 대두와 비교할 때 강남콩만 비슷하였고 팥, 녹두는 떨어졌으며 대신 glutelin의 함량이 많아 $10{\sim}19%$의 범위에서 팥>녹두>강남콩의 순이었다. 3) 전기영동(電氣泳動) 결과 전(全)단백질을 pH 7.6 완충액으로 추출한 것은 팥, 녹두, 강남콩에서 각각 9, 12, 11개의 band를 보였으나 pH 4.8 완충액으로 추출한 것은 분리가 더 되 어 각각 13, 13, 12개의 band를 보였다. Water extract의 경우는 팥, 녹두, 강남콩에서 각각 10, 8, 9개의 band를 보였으며 이 중 albumin획분(劃分)은 각각 8, 9, 7개, globulin 획분(劃分)은 모두 4개의 band를 보였다. 세가지 두류의 globulin 획분(劃分)중 Rm 치 $0.05{\sim}0.07$사이의 band는 모두 water extract에서 나타나지 않았던 것으로 물에 녹지 않는 globulin 고유의 band인 것으로 생각된다.

  • PDF

Antioxidant Potentials and Quantification of Flavonoids in Mung Bean (Vigna radiata L.) Seeds

  • Kim Dong-Kwan;Kim Jung-Bong;Chon Sang-Uk;Lee Ya-Seong
    • Plant Resources
    • /
    • 제8권2호
    • /
    • pp.122-129
    • /
    • 2005
  • Mung bean (Vigna radiata L.) is an increasingly important human food source, as well as a new functional agent, mainly due to its potent antioxidant activit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antioxidant activity of fractions from mung bean seeds by measuring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to quantify the flavonoids by means of HPLC analysis. Vitexin and isovitexin were present in both ethanol and water extracts in highest amount. Flavonoids, vitexin and isovitexin were quantified from 195 germplasms of mung beans and their concentrations varied by 4.7 fold. Especially, the breeding line KM99004-4B-2 (Suwon28/KM94004), which has grown in Jeollanamdo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 showed the highest amount (15.88 mg/g) of total flavonoids. The vitexin portion was averaged $70.73{\pm}1.38\%$. High positive correlation $(r=0.96^{***})$ between vitexin and isovitexin contents showed. However, the flavonoid content showed very low correlation with the 24 growth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Seed coats of mung beans had the highest flavonoid amount, showing $50\~70$ times more than cotyledons. Flavonoid contents in the seed, the cotyledon, and the seed coat were decreased as the seed imbibition time increased.

  • PDF

팥과 녹두의 이소플라빈 함량과 항산화 및 혈전용해 활성 (Isoflavone Contents, Antioxidative and Fibrinolytic Activities of Red Bean and Mung Bean)

  • 오혜숙;김준호;이명희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63-270
    • /
    • 2003
  • 팥과 녹두는 떡의 소나 앙금 등 주로 전분의 특성을 이용하는 형태로 소비가 제한적인 편이다. 식생활을 통해 질병의 예방 및 개선 가능성이 대두되면서 각종 식물체로부터 여러 생리활성물질의 활성탐구 및 추출에 많은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대두와 같은 두류로 분류기는 팥과 녹두의 경우 이들 생리활성물질에 대한 인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대두에 비해 상대적으로 연구가 미진한 팥과 녹두의 생리활성 및 이소플라본 함량을 조사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팥과 녹두에서는 daidzein이 검출되지 않았고, genistein은 건조중량 1 kg당 40.7 mg과 27.8 mg이 들어 있었다. 2. 팥과 녹두의 전자공여능은 90%의 활성을 보인 팥이 84.6%의 활성을 나타낸 녹두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3. 팥과 녹두의 SOD 유사활성 역시 거의 같은 수준으로 높았고, 매우 안정적이었다. 4. 혈전용해능은 팥의 경우 원액에서는 활성이 없었으나, 추출액의 pH를 6.4로 조절한 후 18시간 동안 냉장처리한 결과 비교적 큰 활성을 보였으며, pH 3.0으로 조절시 더욱 증가하였다. 녹두는 추출액을 pH 6.4와 3.0으로 조절시 모두 비활성도가 증가하였으나 pH 3.0에서는 pH 6.4보다 활성이 낮았다. 이들 시료는 36$^{\circ}C$에서 배양시 14시간까지는 반응을 거의 보이지 않다가 15시간이 지나면서 활성이 크게 나타나는 특이성을 보였다. 5. 열처리가 혈전용해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해보면, 팥과 녹두 모두 10$0^{\circ}C$에서 10분 처리시 가장 활성이 컸고, 그 다음이 55$^{\circ}C$에서 30분, 10$0^{\circ}C$에서 30분 순으로 유사한 양상을 보였다 특히 10$0^{\circ}C$에서 10분간의 열처리시 55$^{\circ}C$에서 30분 처리한 것에 비해 혈전용해활성이 증가한 것으로 미루어 팥과 녹두의 혈전용해활성은 열에 대한 안정성이 크다고 할 수 있다. 반면 10$0^{\circ}C$에서 30분간의 과도한 열처리는 활성의 저하를 초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