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ltiplex PCR assay

검색결과 125건 처리시간 0.03초

유전자변형 면화 MON757, MON88702, COT67B, GHB811의 동시검출법 개발 (Development of simultaneous detection method for living modified cotton varieties MON757, MON88702, COT67B, and GHB811)

  • 김일룡;설민아;윤아미;이중로;최원균
    • 환경생물
    • /
    • 제39권4호
    • /
    • pp.415-422
    • /
    • 2021
  • 면화는 중요한 섬유 작물로 종자는 가축의 사료로 사용된다. 작물 생명공학은 농업 분야에서 농업적 형질과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활용되어져 왔다. 국내 식품, 사료, 가공 제품에 유전자변형(LM) 면화의 사용이 증가함에 따라 환경으로의 LM 면화의 비의도적 유출 또한 증가하고 있다. LMO 모니터링 사업에서 수집된 LM 면화를 검정하기 위하여 국내 수입 승인된 LM 면화의 검출법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LM 면화 MON757, MON88792, COT67B, GHB811 4종을 대상으로 동시검출법을 개발하였다. 이벤트에 대한 유전 정보는 유럽 JRC와 농림축산검역본부에서 확보하였다. LM 면화의 동시검출법 개발을 위해 이벤트 특이적인 프라이머를 설계하였으며 특이적인 증폭을 확인하였다. 특이도 검정, 무작위 표준물질 혼합물 분석, 검출한계 분석을 통하여 동시검출법의 정확도와 특이도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본 동시검출법은 각각의 이벤트를 검출할 수 있으며 LM 표준물질을 활용하여 특이도를 검정하였다. 또한 무작위 표준물질 조합도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다. 검출한계 분석에서는 25 ng의 미량의 주형 DNA로 단회 분석으로 검출이 가능하다. 결론적으로 4종의 LM 면화 동시검출법을 개발하였으며 LM 면화 자생체 분석에 활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사과 바이러스 검정을 위한 SYBR Green I 및 TaqMan probe 기반의 real-time PCR 검사법 개발 (Development of Real-time Quantitative PCR Assay based on SYBR Green I and TaqMan Probe for Detection of Apple Viruses)

  • 허성;정용석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5권4호
    • /
    • pp.496-507
    • /
    • 2020
  • 본 연구는 사과 바이러스 ASGV, ASPV 및 ApMV를 각각 정밀하게 진단하고자 SYBR Green I 및 TaqMan probe, 두 종류의 다른 chemical dye를 사용하여 quantitative real-time PCR 검정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1. 사과 바이러스 ASGV, ASPV 및 ApMV의 국내분리주를 바탕으로 하여 cloning 및 in vitro transcription을 수행해 10배 희석단위 표준시료를 제작하였다. 각 바이러스에 대한 SYBR Green I용 프라이머와 TaqMan probe용 프라이머 및 프로브를 디자인하였다. 2. 상기 제작된 프라이머와 프로브를 이용해 표준시료를 대상으로 real-time PCR을 수행하여 각 바이러스의 증폭곡선과 검량선을 구할 수 있었다. Real-time PCR 결과, SYBR Green I기반의 검정법은 TaqMan probe기반의 검정법 못지 않은 결과를 보여주었으며, 적은 비용에 대량 검정이 요구되는 곳에 효과적으로 응용될 수 있을 것이다. 3. 현장평가를 본 실험에서 개발된 TaqMan probe기반의 real-time PCR검정법과 기존의 RT-PCR검정법과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real-time PCR 검정법은 singleplex 및 multiplex RT-PCR보다 더 민감하고 정확한 결과를 내어 RT-PCR로 검출할 수 없는 농도까지 검정할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4. 본 실험에서 개발한 real-time PCR검정법은 검역현장과 같은 대량의 검사가 요구되는 곳에서는 SYBR Green I 기반의 검정법을, 바이러스 연구분야에서는 세밀한 정량이 가능한 TaqMan probe 방식의 검정법이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PCR Kit와 선택배지를 이용한 계란의 병원성세균 검출 비교 평가 (Comparison of a PCR Kit and a Selective Medium to Detect Pathogenic Bacteria in Eggs)

  • 김동호;윤혜정;송현파;임상용;조민호;조철훈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965-970
    • /
    • 2009
  • 유통중인 계란의병원성균 오염상태를 시판되는 multiplex polymerase chain reaction (mPCR) kit로 검사한 결과, 총 90개의 검사시료 가운데 한 가지 이상의 미생물이 검출된 계란시료는 30개로, 검사시료의 미생물 오염도는 약 33.3% 수준이었다. 미생물별 검출 빈도는 B. cereus가 17개 시료(18.9%)에서 검출되어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으며 Y. enterocolitica는 16개(17.8%), L. monocytogenes 15개(16.7%), St. aureus 12개(13.3%), E. coli O157:H7 4개(4.4%)의 검출빈도를 보였다. 한편, 선택배지를 이용한 viable cell count 방법에서는 27개의 시료에서 미생물이 검출되어 검사시료의 미생물 오염도는 약 30.0% 수준이였으며, 미생물별 검출 빈도는 B. cereus가 17개 시료(18.9%)에서 14개(15.6%) 시료로, Y. enterocolitica는 16개(17.8%)에서 12개(13.3%)로, L. monocytogenes는 15개(16.7%)에서 13개(14.4%)로, St. aureus는 12개(13.3%)에서 10개(11.1%)로 감소하였으며, E. coli O157:H7은 두 가지 검출방법간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검출 대상 미생물 9종 가운데 Campylobacter jejuni, Vibrio parahaemolyticus, Salmonella spp., 및 Shigella spp.는 두 방법 모두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PCR을 이용한 병원성 미생물의 검출 방법은 viable cell count 방법보다 감도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Development of In-House Multiplex Real Time PCR for Human Papillomavirus Genotyping in Iranian Women with Cervical Cancer and Cervical Intraepithelial Neoplasia

  • Sohrabi, Amir;Mirab-Samiee, Siamak;Modarressi, Mohammad Hossein;Izadimood, Narge;Azadmanesh, Kayhan;Rahnamaye-Farzami, Marja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15호
    • /
    • pp.6257-6261
    • /
    • 2014
  • Background: HPV related cervical cancer as one of the most common women cancers in developing countries. Regarding accessibility of commercial vaccines, any long or short term modality for integrating preventive immunization against HPV in a national program needs comprehensive information about HPV prevalence and its genotypes. The important role of selecting most accurate diagnostic technologies for obtaining relevant data is underlined by different assays proposed in the literature. The main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troduce an in-house HPV typing assay using multiplex real time PCR with reliable results and affordable cost for molecular epidemiology surveys and diagnosis. MATERIALS AND METHODS: 112 samples of formalin fixed paraffin embedded tissues and liquid based cytology specimens from patients with known different grades of cervical dysplasia and invasive cancer, were examined by this method and the result were verified by WHO HPV LabNet proficiency program in 2013. RESULTS: HPV was detected in 105 (93.7%) out of 112 samples. The dominant types were HPV 18 (61.6%) and HPV 16 (42.9%). Among the mixed genotypes, HPV 16 and 18 in combination were seen in 12.4% of specimens. CONCLUSIONS: According to acceptable performance, easy access to primers, probes and other consumables, affordable cost per test, this method can be used as a diagnostic assay in molecular laboratories and for further planning of cervical carcinoma prevention programs.

Rapid Detection of Virulence Factors of Aeromonas Isolated from a Trout Farm by Hexaplex-PCR

  • Nam, In-Young;Joh, Ki-Seong
    • Journal of Microbiology
    • /
    • 제45권4호
    • /
    • pp.297-304
    • /
    • 2007
  • The detection of virulence factors of Aeromonas is a key component in determining potential pathogenicity because these factors act multifunctionally and multifactorially. In this study water samples were collected from a trout farm on a seasonal basis, and diseased fish and Aeromonas species were isolated and identified. For rapid detection of six virulence factors of isolated Aeromonas, a hexaplex-polymerase chain reaction (hexaplex-PCR) assay was used. The detected virulence factors include aerolysin (aer), GCAT (gcat), serine protease (ser), nuclease (nuc) lipase (lip) and lateral flagella (laf). The dominant strain found in our isolates was Aeromonas sobria, and the dominant virulence factors were aer and nuc for all seasons. We confirmed that A. sobria and two of the virulence genes (aer and nuc) are related. We proposed a method by which one can identify the major strains of Aeromonas: A. hydrophila, A. sobria, A. caviae, and A. veronii, using hexaplex-PCR.

제주지역 양식넙치의 연쇄구균증 발생동향 및 원인균에 대한 분자적 동정 (Characterization of Streptococcosis Occurrence and Molecular Identification of the Pathogens of Cultured Flounder in Jeju Island)

  • 정용욱;강철영;김민주;허문수;오덕철;강봉조
    • 미생물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199-204
    • /
    • 2006
  • 제주지역 양식넙치의 주요 세균성 질병의 일종인 연쇄구균증 발병동향과 특성을 분석하였다. 제주지역 양식넙치의 연쇄구균증은 연중 발생하는 양상을 보였으나 상대적으로 고수온기에 발생율이 높았으며, 30cm 이상의 개체에서 주로 관찰되었다. 2003년 6월부터 2005년 5월 사이에 분리된 연쇄구균 균주를 multiplex PCR assay 기법을 이용하여 종 조성을 분리한 결과 Streptococcus iniae와 S. parauberis로 동정되었으며 그 비율은 각각 46%와 54%이었다. S. iniae는 상대적으로 9월과 10월에 높은 분리율을 나타내었으나 S. parauberissms 3월과 4월에 분리율이 높게 나타났다. S. iniae와 S. parauberis 감염개체의 병리학적 중상은 일부분 유사하였으나 S. iniae 분리개체는 복부팽만, 탈장, 복수저류증상이 주로 관찰되는 반면, S. parauberis 분리개체는 체색흑화, 무안측 발적 중상이 두드러지게 관찰되었다. 이 두 종의 병원체 모두 ampicillin과 amoxicillin에 감수성이 높았으며, S. iniae 균주들은 S. parauberis 균주들보다 상대적으로 doxycycline, erythromycin, oxytetracycline에 감수성이 높았다.

제주지역 양돈장 자돈에서 발생한 이유후 전신성 소모성 증후군의 증례 (Occurrence of postweaning multisystemic wasting syndrome in pigs in Jeju)

  • 강종철;정경주;안미정;이두식;강완철;김진회;신태균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367-371
    • /
    • 2001
  • Multiplex PCR and immunohistochemistry were used to detect and differentiate between porcine circovirus (PCV) type-I and the PCV associated with postweaning multisystemic wasting syndrome (PMWS). Unique DNA product to PCV type-II was confirmed the some organs including lymph nodes, tonsil and spleen from eight pigs in Jeju by multiplex PCR. In this study, the samples were tested by a multiplex PCR assay to determine the type of PCV in each case; all cases were PCV type-II positive. PCV type-II was identified not only in typical PMWS cases, but also in field cases submitted with various clinical histories, some of which were not suggestive of PMWS. Immunohistochemically PCV type-II antigen was detected in macrophage-like cells in the tonsil, liver, lymph nodes and spleen, while some hepatocytes and renal tubular epithelial cells were also positive to the virus. This study suggested that PCV type-II is one of the causative agents of PMWS as well as the major type of PCV in the affected pigs in Jeju.

  • PDF

개의 장내 병원균의 동시 검출을 위한 다중 실시간 중합효소연쇄반응분석 패널개발 (Development of a Panel of Multiplex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Assays for Simultaneous Detection of Canine Enteric Bacterial Pathogens)

  • 장혜진;한재익;강효민;나기정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54-157
    • /
    • 2015
  • 개에서 설사를 일으키는 주요 원인이 되는 장내 병원균으로 Salmonella spp., Shigella spp., Campylobacter spp., Clostridium spp.가 있다. 이들 세균은 배양으로 검출이 어렵다. 본 실험에서는 Salmonella spp., C. coli, C. jejuni, 그리고 Cl. perfringens를 신속하고 민감하게 검출할 수 있는 방법을 고안하였다. 정상견 71마리와 설사증상이 있는 66마리에서 수집한 분변 시료에서 장내 병원균의 유병률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장내 병원균은 실시간 중합효소 연쇄 반응 분석을 이용하여 검출하였다. 설사변에서 Salmonella spp., C. coli, C. jejuni, Cl. Perfringens는 정상변보다 검출률이 높았다. 개발한 다중실시간 중합효소연쇄반응은 분변시료의 병원균 존재 및 양 또는 기타 고유 서열을 확인하는데 유용하였다.

구제역바이러스 혈청형 A 검출을 위한 peptide nucleic acid (PNA)기반 multiplex real-time RT-PCR 개발 (Developing peptide nucleic acid based multiplex real time RT-PCR to detect Foot-and-Mouth-Disease virus Serotype A)

  • 이진우;이수미;나진주;유소윤;신문균;김태성;하병석;이현지;박혜진;이정원;정세민;위성환;구복경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31-37
    • /
    • 2019
  • There have been a total tenth FMD outbreaks in Korea and for the first time, type O and A were detected simultaneously in 2017, which led to difficulties in FMD control. For the effective prevention of FMD, the importance of discrimination of serotypes became greater. Therefore, the most urgent requirement in case of FMD outbreak is differential diagnosis of serotypes.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PNA probe-mediated multiplex real-time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rRT-PCR) assay using the peptide nucleic acid (PNA) probe, which is known to be stable to nucleotide mutation and that could specifically detect the all FMDV serotype A, FMDVA Yeoncheon strain which was occurred in Korea in 2017, and FMDV A viruses shown 96% similarity with FMDVA/Yeoncheon strain, at the same time. Therefore, It is believed that the newly introduced FMDVA will be effectively diagnosed using the PNA probe multiplex RT-PCR developed in this study, and ultimately contribute to the prevention of FMD.

Microbial Detection and Identification Using Biosensors

  • Kim, Sol
    • 한국미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미생물학회 2008년도 International Meeting of the Microbiological Society of Korea
    • /
    • pp.135-135
    • /
    • 2008
  • Various biosensors were evaluated for identifying and detecting foodborne pathogens in a rapid and effective manner. First, five strains of Escherichia coli and six strains of Salmonella were identified using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and a statistical program. For doing this, lipopolysaccharides (LPSs) and outer membrane proteins (OMPs) were extracted from a cell wall of each bacterial strain. As a result, each strain was identifed at the level of 97% for E. coli and 100% for Salmonella. Second, E. coli O157:H7, S. Enteritidis, and Listeria monocytogenes were identified by multiplex PCR products from four specific genes of each bacteria using a capillary electrophoresis (CE). Also, ground beef for E. coli O157:H7, lettuce for S. Enteritidis, and hot dog for L. monocytogenes were used to determine the possibility of detecting pathogens in foods. Foods inoculated with respective pathogen were cultivated for six hours and multiplex PCR products were obtained and assessed. The minimum detection levels of tested bacteria were <10 cells/g, <10 cells/g, and $10^4$ cells/g for E. coli O157:H7, S. Enteritidis, and L. monocytogenes, respectively. Third, it was possible to detect S. Typhimurium in a pure culture and lettuce by a bioluminescence-based detection assay using both recombinant bacteriophage P22::luxI and a bioluminescent bioreporter. In addition, bacteriophage T4 was quantitatively monitored using E. coli including luxCDABE gen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