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lticultural competence

검색결과 75건 처리시간 0.023초

다문화사회의 사회복지실천의 영향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Social Welfare Practice in Multicultural Society)

  • 정독동;윤명길
    • 웰빙융합연구
    • /
    • 제1권1호
    • /
    • pp.14-20
    • /
    • 2018
  • This study focuses on the understanding of social workers' needs for cultural competence and understanding its meaning. And furthermore, this study describes Korean cultural competence and how it is viewed in Korean reality where social workers are.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is research idea based on previous researches data and discussed issues. Particularly considering the unique nature of Korean social welfare site involving multicultural, the role of advocacy is considered essential to Korea. Also, it is necessary and unavoidable part of the perspective of a social justice. Currently, with increasing international marriage, Korean society is rapidly moving toward a multicultural society. This means that we need to promote the ongoing multicultural understanding education to improve and enhance multicultural education system. But, the real effect of the multicultural understanding education in reality of the situation represent just other culture introduction, thus, most of the ongoing multicultural understanding education systems are insufficient to improve the multicultural competence. Korea still has a long way to go before becoming a full-fledged multicultural society. A multicultural society can bring diversity and rich life. Therefore, social workers with deep Korean multicultural competence should be increased in Korean changing multicultural society.

다문화가정의 가족기능이 다문화아동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의 매개효과 검증- (The Effect of Multicultural Family's Functions on the Social Competence of Multicultural Children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Multicultural Family Mothers' Parental Efficacy-)

  • 박점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6호
    • /
    • pp.247-258
    • /
    • 2015
  •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어머니와 아동을 대상으로 다문화가정의 가족기능과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그리고 다문화가정 아동의 사회적 능력 간의 구조적 관련성을 검증하고자 설계되었다. 이를 위해 다문화가정 어머니와 다문화아동을 직접 돌보고 있는 다문화센터 실무자를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156부가 최종 분석에 활용되었다. 연구결과, 다문화가정의 가족기능은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에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은 다문화아동의 사회적 능력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은 다문화가정의 가족기능과 다문화아동의 사회적 능력 간의 관계에서 완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다문화아동의 건강한 성장과 발달을 위한 다문화가정 어머니 및 다문화가정에 대한 개입 방안을 제언하였다.

보육교사의 문화적 공감과 문화적 역량에 대한 다문화 효능감의 매개효과와 조절효과 (Mediating and Moderating Effects of Multicultural 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Empathy and Cultural Competence in Child Care Teachers)

  • 오원옥;박일태;송민주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25권2호
    • /
    • pp.214-222
    • /
    • 2019
  •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and moderating effects of multicultural 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empathy and cultural competence in child care teachers. Methods: A cross-sectional descriptive survey design was used. The participants were 277 child care teachers at private and public daycare centers in G and S districts of Seoul. The survey instruments included a cultural empathy questionnaire, a multicultural efficacy scale, and a cultural competence scal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and AMOS programs. For data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d mediating and moderating effect analyses were performed. Bootstrapping was implement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the model developed herein. Results: Positive correlations among cultural empathy, multicultural efficacy, and cultural competence were noted. Multicultural efficacy showed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cultural empathy and cultural competence. However, there was no moderating effect. Conclusion: In order to enhance the cultural competence of child care teacher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strategy that can promote their cultural empathy and multicultural efficacy. Furthermore, these results will ultimately enhance the role of child care teachers, thus contributing to the normal growth and development of multicultural children.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조직풍토, 다문화실천역량 그리고 직무착근도간의 관계에 대한 구조방정식 모형분석 연구 (A Study on the Structural Analysis among Organizational Climate, Multicultural Practical Competence and Job Embededness of Multicultural Family Service Center)

  • 신효진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4호
    • /
    • pp.391-400
    • /
    • 2020
  • 본 연구는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조직풍토, 다문화실천역량 그리고 직무착근도에 대하여 알아보고, 이들 간 관계의 영향력을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자는 경기도와 서울 지역에 있는 7개의 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 근무하는 다문화 실천가들로 총 175명이며, 자료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하여 수집되었다. 수집된 자료에 대해 SPSS Statistics 20.0 및 Amo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해 기술통계 분석, 요인분석과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이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는 첫째, 다문화 실천가의 조직풍토, 다문화실천역량 그리고 직무착근도의 평균값은 5점 총점에 3.5 이상으로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세부적으로 보상인센티브(M=3.33)와 업무배정(M=3.27)이 낮게 나타났고. 다문화역량에 대해 다문화실천기술(3.27)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직무착근도의 하위요인 중 적합성(Mean=3.79)이 매우 높게 나타났으나 연계(Mean= 3.19)와 희생(Mean= 3.02)은 낮게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실천역량은 직무착근도에 양의 방향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표준화 계수=0.426, C.R.=5.293, p<.001), 조직풍토가 직무착근도에 미치는 영향에 간접효과를 나타냈다. 셋째, 조직풍토는 다문화실천역량에 양의 방향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고(표준화 계수=. 206, C.R.=2.499, p<.05), 또한 직무착근도에 양의 방향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표준화 계수=0.488, C.R.=6.131, p<.001). 연구 결과에 따라 조직풍토의 개선과 다문화역량의 강화로 인한 다문화 실천가들의 직무착근도를 향상시키는 실천적, 정책적 함의가 제시되었다.

간호대학생의 다문화 인식과 문화적 역량이 다문화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Multicultural Perception and Cultural Competence upon Multicultural Acceptance Among Nursing Students)

  • 조영미;석소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10호
    • /
    • pp.190-197
    • /
    • 2019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다문화 인식, 문화적 역량, 그리고 다문화 수용성의 정도와 상관관계를 알아보고, 다문화 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방법: 본 연구는 SPSS 25.0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하였다. 다문화 인식, 문화적 역량, 다문화 수용성의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로, 다문화 수용성에 영향요인인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간호대학생들의 다문화 수용성은 다문화 인식과 문화적 역량에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r=.645, p<.001; r=.556, p<.001)가 있었고, 회귀분석 결과 간호대학생의 다문화 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다문화 인식(${\beta}=0.479$, p<.001)과 문화적 역량(${\beta}=0.299$, p<.001)임을 확인하였다 결론: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간호대학생들은 다문화 사회에서 다문화 수용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문화적 역량을 키워야 함을 시사한다. 또한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시행, 그 내용을 구성하는데 있어 다문화 인식의 고취와 문화적 역량을 높이는 콘텐츠를 개발하고 정책적인 뒷받침이 있어야 할 것이다.

융복합 시대 휴먼서비스분야 전공대학생의 다문화 역량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ulticultural Competence of University Students in the Fields of Human Services for the Era of Fusion and Convergence)

  • 박소정;배양자;박순희;김선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11호
    • /
    • pp.493-507
    • /
    • 2015
  • 본 연구는 휴먼서비스분야 실천현장에서 요구되는 다문화 역량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다문화에 대한 대학의 교육 실태와 학생들의 다문화 역량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분석한 결과, 문화적 역량 수준은 평균 3.49점으로 중간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외국경험에 있어서는 외국을 방문한 경험을 가지고 있거나 외국에서 거주한 적이 있거나, 외국인 친구가 있거나, 외국어로 의사소통이 가능하다고 응답한 학생들의 문화적 역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조사대상자의 성별과 전공에 따른 문화적 역량을 비교한 결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의 해외 자원봉사활동을 적극 지원하고, 다른 문화적 배경을 가진 집단을 위한 국내 자원봉사활동에도 학생들의 참여를 독려할 필요가 있다.

다문화수학교사교육의 원리와 방법 (Principles and Methods of Multicultural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 송륜진;문종은;주미경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2권4호
    • /
    • pp.639-665
    • /
    • 2010
  • 최근 국내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논의의 확산과 더불어 다원화된 사회에서 요구되는 공존을 위한 삶의 태도 함양과 교육적 기회 평등 보장을 위한 교육을 실천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춘 교사 양성이 교사교육의 주요 과제로 제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다문화교육 및 다문화수학교육 관련 이론, 그리고 다문화수학교사교육 사례 검토에 기초하여 다문화수학교사교육의 원리와 방법을 모색하였다. 연구결과, 본 논문에서는 다문화적 수학교사에게 요구되는 역량을 '정의적 영역', '인지적 영역', '행동적 영역'으로 범주화하였다. 이들 영역에 공통적으로 등장하는 내용적 요소로서 '문화성', '다양성', '평등성', '자기정체성', 그리고 지도원리로서 '반성', '참여', '실행'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가 다문화수학교사교육에 제공하는 시사점 논의를 통해 다문화적 역량을 갖춘 수학교사양성을 위한 초석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 PDF

우리나라 수학교사의 다문화역량 실태 연구 : 다문화수학교사교육 방안 탐색을 위한 제언 (An Analysis of Korean Mathematics Teacher's Multicultural Competence: Implications for Multicultural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 송륜진;노선숙;주미경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3권3호
    • /
    • pp.313-333
    • /
    • 2013
  • 본 연구는 초 중등 수학교사의 '다문화역량' 실태를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수학교과에서 다문화교육을 실천할 수 있는 역량 함양을 위한 다문화교사교육의 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이론적 검토 및 통계적 검증을 거쳐 5점 척도의 '수학교사의 다문화역량 측정도구'를 구성하고 서울, 경기, 인천 지역의 초 중등 수학교사 30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수학교사들의 다문화역량 평균은 2.636(표준편차 .290)로 조사되었고 다문화와 관련한 일반적인 지식 및 신념을 묻는 범주A와 비교하여 수학교과의 특성이 반영된 범주 B, C, D의 평균이 낮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집단별 비교를 위한 분산분석 결과 '교사의 경력', '다문화교사 교육 이수 여부', '다양한 배경의 사람들에 대한 간접 접촉 경험 여부'에 따른 집단별 차이가 없는 반면, '다양한 문화적 배경의 사람들과 직접 접촉 경험 여부', '교사의 전공'에 따라 다문화역량이 집단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수학교과를 통해 다문화교육을 수행할 수 있도록 실천적 맥락의 다문화교사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PDF

다문화 교육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문화적 역량, 공감 능력,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a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on the Cultural Competence, Empathy and Self-efficacy of Nursing Students)

  • 픽은희;박재순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3권5호
    • /
    • pp.690-696
    • /
    • 2013
  •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examine the effects of a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on nursing students' cultural competence, empathy, and self-efficacy. Methods: In this quasi-experimental study, the participants were assigned to an experimental group (n=40) or a control group (n=40).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independent t-test, Chi-square or Fisher's exact test, and paired t-test with the SPSS windows 18.0 program. Results: After receiving the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the levels of cultural competence and self-efficacy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higher than in the control group. The level of empathy increased slightly in the experimental group while it decreased in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multicultural education is effective in raising the level of cultural competence and self-efficacy in nursing students. Thus, there is a need for continuous effort to integrate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s in the nursing curriculum. Repeated study to test effects of these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s should be also necessary.

유학생 참여 기반 다문화 교육 프로그램이 간호대학 신입생의 문화 간 의사소통 능력과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based on international students' participation on intercultural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nursing professionalism)

  • 홍경진;한정진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389-399
    • /
    • 2022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that includes contact with persons from multiple cultures and to report on the program's effects on intercultural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nursing professionalism. Methods: A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that included contact with persons from multiple cultures was developed, and a quasi-experimental study was performed using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he experimental group comprised 32 participants, and the control group comprised 26 participant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before and immediately after the intervention to collect data. Results: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mean scores for intercultural communication competence before the intervention were 3.67 and 3.84, respectively, while their mean scores for nursing professionalism were 3.87 and 3.69, respectively. After the intervention, both the intercultural communication competence score and the nursing professionalism score improved to 4.02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study demonstrat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intercultural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nursing professionalism after the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was conducted. Conclusion: The study's results demonstrate the need to develop a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including contact and communication with persons from multiple cultures, such as international students, women who immigrated for marriage, immigrant workers, and multicultural famil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