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 of Multicultural Family's Functions on the Social Competence of Multicultural Children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Multicultural Family Mothers' Parental Efficacy-

다문화가정의 가족기능이 다문화아동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의 매개효과 검증-

  • Received : 2015.04.24
  • Accepted : 2015.05.18
  • Published : 2015.06.28

Abstract

This study is designed to verify structural relations between multicultural family's functions, multicultural family mothers' parental efficacy, and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s social competence with the subjects of multicultural family mothers and children. To attain the goal, the researcher collected data through a survey with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conducted to multicultural family mothers and multicultural center workers taking care of multicultural children and utilized 156 sheets for final analysis.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multicultural family's functions exert positive effect on multicultural family mothers' parental efficacy, and multicultural family mothers' parental efficacy indicates positive effect on multicultural children's social competence. Also, multicultural family mothers' parental efficacy has completely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 between multicultural family's functions and multicultural children's social competence. Based on these study results, the researcher suggests ways to intervene with multicultural family mothers and multicultural family in order to help multicultural children grow and develop soundly.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어머니와 아동을 대상으로 다문화가정의 가족기능과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그리고 다문화가정 아동의 사회적 능력 간의 구조적 관련성을 검증하고자 설계되었다. 이를 위해 다문화가정 어머니와 다문화아동을 직접 돌보고 있는 다문화센터 실무자를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156부가 최종 분석에 활용되었다. 연구결과, 다문화가정의 가족기능은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에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은 다문화아동의 사회적 능력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은 다문화가정의 가족기능과 다문화아동의 사회적 능력 간의 관계에서 완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다문화아동의 건강한 성장과 발달을 위한 다문화가정 어머니 및 다문화가정에 대한 개입 방안을 제언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여성가족부, 2012 다문화가족지원사업 결과보고서 II 다문화가족 방문교육사업, 서울: 한국건강가정진흥원, 2013.
  2. 전종미,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임파워먼트에 관한 연구: 다문화가정과 일반가정의 비교, 성신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3. 한상영, 다문화가정 여성의 자녀양육경험,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4. 김지현, 다문화가정 어머니를 위한 영유아 건강관리 교육프로그램 개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5. 오성배, "코시안(Kosian) 아동의 성장과 환경에 관한 사례연구", 한글교육, 제32권, 제3호, pp.61-83, 2005.
  6. 설동훈, 김윤태, 김현미, 윤흥식, 이혜경, 임경택, 정기선, 주영수, 한건수, 국제결혼 이주여성 실태조사 및 보건복지지원 정책방안, 서울: 보건복지부, 2005.
  7. 이재분, 다문화가정 자녀 교육실태 연구: 국제결혼 가정을 중심으로,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2008.
  8. 김화수, 황상심, "다문화가정의 언어환경 평가를 위한 기초연구: 어머니들의 한국어 능력 및 특성을 중심으로",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pp.122-124, 2008.
  9. 조영달, 다문화가정 교육지원을 위한 자료 개발 연구, 서울: 교육인적자원부, 2006.
  10. 김화수, 이은경, "취학 전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 발달 특성",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제11권, 제 3호, pp.209-226, 2009.
  11. 김영란, 저소득층 다문화가정 취학 전 아동의 언어특성 및 CAI를 활용한 부모훈련의 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12. J. Belsky, M. Rovine, and D. G. Taylor, "The Pennsylvania infant and family development project: the origins of individual differences in infant-mother attachment: maternal contributions," Child Development, Vol.55, pp.706-717, 1984. https://doi.org/10.2307/1130123
  13. 송연숙, 김영주, "양육신념에 따른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양육효능감 연구", 아동교육, 제16권, 제4호, pp.107-117, 2007.
  14. 전영실, "가족특성과 아동학대 피해의 관계. 피해자학연구", 제11권, 제2호, pp.53-77, 2003.
  15. 박삼수, 임경희, "정상가정과 결손가정 청소년의 가족기능과 심리사회성숙도의 관계", 상담평가연구, 제1권, 제2호, pp.29-43, 2008.
  16. 문태형, "어머니의 사고양식 및 양육효능감과 유아의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 아동학회지, 제23권, 제6호, pp.97-107, 2002.
  17. 최형성, 어머니의 사회적 지원 및 스트레스와 아동의 기질이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18. 최혜숙, "특수아동 부모의 작업치료 요구도", 대한건강과학학회지, 제3권, 제2호, pp.5-19, 2008.
  19. K MaCdonald and R. D. Parke, "Bringing the gap: Parent-child play interaction and peer interactive competence," Child Development, Vol.55, No.4, pp.1265-1277, 1984. https://doi.org/10.2307/1129996
  20. K. A. Kerns, L. Klepac, and A. K. Cole, "Peer relationships and pre-adolescents' perceptions of security in the child-mother relationship," Developmental Psychology, Vol.32, No.3, pp.457-466, 1996. https://doi.org/10.1037/0012-1649.32.3.457
  21. 김정아, 아동의 사회적능력과 관련된 제변인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
  22. 김숙자, 부모의 이혼과 청소년 자녀의 심리사회적 성숙도 간의 관계,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23. 박정임, "문제음주자의 A.A.참여가 음주문제 재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임상사회사업연구, 제1권, 제2호, pp.41-61, 2008.
  24. J. J. Goodnow, "Parents' ideas actions and feelings," Child Development, Vol.59, pp.286-320, 1989.
  25. 안선희, 김선영, "가족의 건강성과 양육효능감 및 유아의 사회적 행동과의 관계", 대한가정학회지, 제42권, 제12호, pp.219-230, 2004.
  26. 설경옥, 문혁준, "취학 전 유아의 가정환경 자극 및 양육효능감과 가족건강성과의 관계", 한국보육지원학회지, 제7권, 제1호, pp.23-40, 2011.
  27. 김순옥, 임현숙, 정구철, "결혼이주여성의 배우자지지, 가족지지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11호, pp.221-235,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11.221
  28. 이시연, "한부모가정 청소년의 가족관계, 자기효능감 및 자아존중감과 비행의 구조모형 검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11호, pp.759-771,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11.759
  29. C. Izzo, L. Weiss, T. Shanahan, and F. Rodriguez-Brown, "Parental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as predictors of parenting practices and children's socio-emotional adjustment in Mexican immigrant families," Journal of Prevention and Intervention in Community, Vol.20, p.182, 2000.
  30. 안지영, "2-3세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신념, 효능감 및 스트레스가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제40권, 제1호, pp.2-13, 2001.
  31. 김현미, 어머니의 양육행동, 양육스트레스 및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과의 관계,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32. W. W. Hartup, Peer relations. In P. H. Mussen (Ed.),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4. Socialization, personality, and social development pp.103-196, New York: Wiley, 1983.
  33. 한민경, 아동의 사회적 유능성과 관련된 어머니 양육행동 및 아동의 정서 이해능력,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34. 박종인, 다문화가정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요인 연구, 청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35. 문혁준, "부모역할만족도와 양육태도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제39권, 제1호, pp.205-219, 2005.
  36. P. K. Coleman and H. H. Karraker, "Self-efficacy and parenting quality: Finding and future application," Developmental Review, Vol.18, pp.47-85, 1998. https://doi.org/10.1006/drev.1997.0448
  37. 김순옥, 유치원, 초등학교 자녀들을 둔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자녀의 정서 및 지능과의 관계,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38. 이진희, 이주여성 어머니 교육프로그램이 모성 역할 자신감과 양육스트레스 및 신생아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39. 김금숙,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 유아와의 언어적 상화작용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40. D. H. Olson, J. Porter, and Y. Lavee, FACES-III (Family Adaptability-Cohension Evaluation Scale), St. Paul: University of Minnesota, Department of Family Social Science, 1985.
  41. A. Bandura,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N.Y.: Free man & Company, 1977.
  42. C. Johnston and E. J. Mash, 'A measure of parenting satisfaction and efficacy,"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Vol.18, No.2, pp.167-175, 1989. https://doi.org/10.1207/s15374424jccp1802_8
  43. 조영숙, 이양희,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척도개발 및 타당화 연구: 취학전 아동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Vol.45, No.4, 2007.
  44. B. E. Molnar, S. L. Buka, R. T. Brennan, J. K. Holton, and F. Earls, A Multilevel study of neighborhoods and parent-to-child physical aggression: result from the project on Human development on Chicago neighborhoods, Child Maltreatment, Vol.8, No.2, pp.84-97, 2003. https://doi.org/10.1177/10775595022508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