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use shape

검색결과 91건 처리시간 0.024초

입 추적을 이용한 로봇 원격 제어 시스템 (Hands-free Robot Control System Using Mouth Tracking)

  • 왕량;서영철;민하즈;이필규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11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논문집 Vol.38 No.1(C)
    • /
    • pp.405-408
    • /
    • 2011
  • In this paper, we propose a robot remote control system based on mouth tracking. The main idea behind the work is to help disabled people who cannot operate a joystick or keyboard to control a robot with their hands. The mouth detection method in this paper is mainly based on the Adaboost feature detection approach. By using the proposed new Haar-like features for detecting the corner of mouth, the speed and accuracy of detection are improved. Combined with the Kalman filter, a continuous and accurate mouth tracking has been achieved. Meanwhile, the gripping commands of the robot manipulator were also achieved by the recognition of the user.s mouth shape, such as 'pout mouth' or 'grin mouth'. To assess the validity of the method, a mouth detection experiment and a robot cargo transport experiment were applied. The result indicated that the system can realize a quick and accurate mouse tracking; and the operation of the robot worked successfully in moving and bringing back items.

Morphing 기법을 활용한 대화구문기반 영상 콘텐츠 저작도구 시스템 내 3D 캐릭터 Lip-sync Animation제작 (Production of Lip-sync Animation, 3D Character in Dialogue-Based Image Contents Work System by Utilizing Morphing Technique)

  • 정원조;이동열;유석호;경병표;이완복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7호
    • /
    • pp.253-259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대화구문 기반 영상 콘텐츠를 위한 캐릭터 제작 흐름을 설정하고, 폼 노아의 마우스 차트를 활용하여 3D 캐릭터에 lip-sync Animation을 적용해 캐릭터를 제작해보았다. 애니메이션 프레임 간 부드러운 연출이 가능한 Vertex Animation Morphing 기법은 자연스러운 입 모양을 표현함으로써 시각적인 정보의 전달을 통해 캐릭터에 대한 몰입감을 높이고 학습자에게 종전보다 높은 전달력을 가질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Induction of CD4+ Regulatory and Polarized Effector/helper T Cells by Dendritic Cells

  • Manfred B. Lutz
    • IMMUNE NETWORK
    • /
    • 제16권1호
    • /
    • pp.13-25
    • /
    • 2016
  • Dendritic cells (DCs) are considered to play major roles during the induction of T cell immune responses as well as the maintenance of T cell tolerance. Naive CD4+ T cells have been shown to respond with high plasticity to signals inducing their polarization into effector/helper or regulatory T cells. Data obtained from in vitro generated bone-marrow (BM)-derived DCs as well as genetic mouse models revealed an important but not exclusive role of DCs in shaping CD4+ T cell responses. Besides the specialization of some conventional DC subsets for the induction of polarized immunity, also the maturation stage, activation of specialized transcription factors and the cytokine production of DCs have major impact on CD4+ T cells. Since in vitro generated BM-DCs show a high diversity to shape CD4+ T cells and their high similarity to monocyte-derived DCs in vivo, this review reports data mainly on BM-DCs in this process and only touches the roles of transcription factors or of DC subsets, which have been discussed elsewhere. Here, recent findings on 1) the conversion of naive into anergic and further into Foxp3- regulatory T cells (Treg) by immature DCs, 2) the role of RelB in steady state migratory DCs (ssmDCs) for conversion of naive T cells into Foxp3+ Treg, 3) the DC maturation signature for polarized Th2 cell induction and 4) the DC source of IL-12 for Th1 induction are discussed.

한국 전통 약주의 B16BL6 mouse melanoma 및 HRT18 human colon adenocarcinoma 세포 성장 억제 효과 (Effect of Korean Rice-Wine (Yakju) on in vitro and in vivo Progression of B16BL6 Mouse Melanoma and HRT18 Human Colon Adenocarcinoma Cells)

  • 정건섭;오원택;남상민;손병수;박용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1470-1475
    • /
    • 1998
  • 한국 전통약주의 암세포주에 대한 세포독성과 체내에서의 암세포 성장 및 전이에 대한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무증자 발효 방법으로 발효시킨 전형적인 약주(전통약주II)와 이 약주에 한약재를 첨가하여 발효한 것(전통약주I), 비교 시료로 일본 청주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각 시료를 동결건조하고 증류수로 재용해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는데 암세포주에 대한 세포독성 실험 결과 B16BL6 mouse melanoma 세포에 대하여 전통약주는 2종류 모두 본래 농도의 16배 미만의 희석 배수에서 세포독성을 나타냈으며, 일본 청주는 8배 미만의 희석배수에서 나타냈다. HRT18 human colon adenocarcinoma 세포에 대한 독성은 비교적 B16BL6 세포의 경우 보다 모두 낮았다. 일상적인 음용 범위 내에서 모든 시료들의 세포에 대한 직접적인 독성은 미약하였으나, 낮은 희석배수에서도 대상 세포들의 형태가 변화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각 시료들의 항암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B16BL6 세포를 이용하여 체내에서의 암세포 성장 및 전이를 분석하였다. 암세포를 마우스의 발바닥에 피하접종하고 시료를 섭취시켜 암세포의 성장과 전이를 조사한 결과 일본 청주에 비교하여 전통약주I과 전통약주II 섭취 군에서 높은 암세포 성장을 억제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특히 전통약주I은 암의 전이 억제에 뚜렷한 효과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이러한 항암효과는 전통약주의 어떤 성분이 직접적으로 암세포에 작용하기보다는 면역세포 등을 포함한 여러 다른 세포의 성장과 분화에 작용하여 간접적으로 항암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되었다.이내에는 소비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3{\sim}11.9%$ 였으며 기온은 $4.3{\sim}6.5^{\circ}C$낮았다. 또한 지온은 5월에서 8월까지 $17.5{\sim}20.1^{\circ}C$로 경과되어 외기기온의 $25.1{\sim}30.8^{\circ}C$에 비하여 낮았으나 변화폭이 작았다.ol, cis-3-hexenol, trans-2-hexanol 등(等)이 높은 함양(含量)을 보였다. 유기물(有機物) 종류간(種類間)에는 침엽수(針葉樹)/이끼 퇴비(堆肥)에서 주요(主要) 향기성분(香氣成分)인 1-hexanol이 78.62, cis-3-hexenol이 36.65. trans-2-hexanol이 120.41 peak area%를 나타내었으며 이는 향기(香氣)가 높은 자생지(自生地) 토양(土壤)의 1-hexanol이 74.47, cis-3-hexenol이 44.21, trans-2-hexanol이 147.33 peak area%인 것과 유사(類似)하게 높았다.tarrow}6$보다 $4{\beta}{\rightarrow}8$의 결합방식이, 그리고 procyanidin 류에서는 gallate를 갖는 물질이 이를 함유하지 많은 물질보다 더욱 높은 ACE의 저해효과를 나타내었으며, 또한 hydroxyl 기가 많을수록 효소 저해효과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chocolate의 주원료인 cacao bean의 polyphenol 성분 또한 녹차 등에서 볼 수 있는 생리활성효과에 손색없는

  • PDF

DNCB에 의한 생쥐 복강피부의 지연형 과민반응에 관한 연구 (Delayed Type Hypersensitivity on Abdominal Skim of Mouse by DNCB Sensitization)

  • 김진택;박인식;안상현
    • 동국한의학연구소논문집
    • /
    • 제6권1호
    • /
    • pp.117-128
    • /
    • 1997
  • 특정 외부항원에 노출됨으로써 생기는 피부에서의 지연형 면역과민반응을 형태학적으로 조사하기위해서 시행된 본 실험은 DNCB에 의해 인위적인 알러지성 접촉피부염을 유발시킨 후 시간의 경과에 따른 피부의 일반적인 형태, 비만세포의 변화, IL-2 receptor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DNCB 2차감작 후 실시된 contact hypersensitivity assay 결과 대조군에 비해 DNCB 처리군에서는 ear swelling이 점점 증가하여 48시간에 가장 높게 측정 되었다. 피부 조직의 일반적인 형태변화도 DNCB접종 후 48시간에서 가장 심한 피부손상의 양상을 보였는데, 진피에서 림프구 aggregation의 증가, 혈관직경의 증가, 표피로의 림프구 infiltration 증가가 일어났다. Semithin section을 통해 관찰된 DNCB처리군의 미세구조의 변화는 표피세포질내 액포화의 증가와 세포사이공간의 확장이었다. 진피에서 비만세포 수가 증가되었으며, 그 형태는 분비과립을 함유하고 있는 degranulated type으로 나타났다. 피부 진피에서 IL-2 receptor 양성반응세포수가 증가되었으며, 표피로 infltration된 IL-2 receptor 양성반응세포가 48시간에서 가장 많이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DNCB 감작에 의해 세포성면역과민반응이 일어나며, 이후 면역관여세포들의 복합적인 작용에 의해 급격한 염증반응이 일어나게 된다.

  • PDF

치과의원 환자의 구강위생용품에 대한 인지도, 용도이해 및 사용실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atus of recognition, understanding of the use and practical application of oral hygiene devices in dental clinics patients)

  • 박정순;김영임;장선희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685-698
    • /
    • 2009
  • Objectives :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cognition and understanding of the use, application of oral hygiene supplies among dental clinic patients in a bid to stress the necessity of education on the right awareness and use of oral hygiene supplies, to provide information on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s and ultimately to help promote the oral health of people in general. Methods :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314 patients who visited dental clinics in North Jeolla Province in June 2009. Results : 1. Out of oral hygiene supplies, the largest number of the patients investigated(74.6%) were best cognizant of dental floss, and the greatest group(77.7%) had the right understanding of the use of toothpick. Currently, the oral hygiene supplies that were most widely in use were toothpicks(43.2%). 2. As to the relationship of awareness and understanding of the use, application of oral hygiene supplies to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50.0 percent of the patients who understood the use of toothpick found themselves to be in good health, and the gaps between them and the other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mong those who were aware of dental floss, the largest group(51.4%) considered themselves to be in good shape, and in the event of those who understood the use of dental floss, the greatest group(49.2%) deemed themselves to be in good health. Out of those who understood the use of mouse rinse, the largest group(53.7%) thought they were in good health(p<0.05). 3. Recognition of interdental brush, understanding of its use and whether to use it currently or not were identified as parents to use oral hygiene supplies recommended by dental clinics(p<0.05). 4. Recognition of interdental brush, understanding of its use and whether to use it currently or not were identified as patients to use oral hygiene supplies recommended by dental clinics(p<0.05). 5. The largest group of those who didn't put dental floss to use didn't use it for other reasons unspecified in the questionnaire, and the second greatest group of them didn't use it since it was so onerous to do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reason why they didn't use the oral hygiene supplies(p<0.05). 6. Awareness of dental floss and interdental brush, understanding of the use of the two and whether to use the two at present or not mad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to whether they were likely to use the oral hygiene supplies in the future. And whether they were likely to use the oral hygiene supplies in the futu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awareness of mouse rinse and understanding of the use of it as well(p<0.05). Conclusions : Dental hygienists have to provide patients with various data of oral hygiene devices through oral health education and then only patients caring in dental clinics can choose the appropriate devices to claim for their own disease.

  • PDF

전신조사된 생쥐 난소내 원시난포의 급성 퇴화 (Acute Degeneration of Primordial Follicles in Mouse Ovary after Whole-Body Irradiation)

  • 이창주;박호현;윤용달;김연구;김진규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24권2호
    • /
    • pp.87-92
    • /
    • 1999
  • 본 연구는 감마선 조사 후 원시반포의 퇴화과정에서 나타나는 형태학적인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ICR 계통의 생후 3 주된 미성숙 생쥐에 $LD_{80(30)}$의 선량인 8.3 Gy를 2 시간 동안 전신조사하였다. 방사선 조사 후 0 시간, 3 시간, 6 시간, 그리고 12 시간에 난소를 적출하여 조직절편을 제작한 후 가장 큰 절편을 관찰하였다. 정상 대 퇴화 난포의 비율은 조사 후 6 시간에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6 시간에 퇴화된 원시난포의 수가 증가하였으며, germinal vesicle이 관찰되지 않거나 지질방울이 증가하였으며, 난막이 사라진 것을 알 수 있었다. 과립세포의 모양은 둥글게 변하였으며, 세포자연사하는 세포가 관찰되었다. 대조군의 경우 정상 대 퇴화 원시난포의 비율이 62.50% 이었으나, 이 비율은 0 시간, 3 시간, 6 시간, 12 시간에 각각 51.61 %, 48.97 %, 11.11 %, 7.14 %로 감소하였다. 결론적으로 방사선에 의해서 윈시난포에 퇴화가 유발되는데 그 양상은 세 가지 유형을 나타내었다. 과립세포의 모양은 정상적이나 난자의 세포자연사, 난자의 형태는 정상적이나 한 개 혹은 그 이상의 과립세포가 세포자연사하는 경우, 혹은 난자와 과립세포 모두가 세포자연사 과정을 겪는 경우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원시난포 퇴화를 형태학적으로 규명할 수 있는 단서가 제시되었다.

  • PDF

수은으로 중독된 흰쥐의 간독성에 대한 키토산의 효과 (Effects of Chitosan on the Mouse Hepatotoxicity Toxicated by Mercury)

  • 노영복;윤중식;정경아;정민주;김영호
    • Applied Microscopy
    • /
    • 제31권2호
    • /
    • pp.175-184
    • /
    • 2001
  • 본 연구의 목적은 염화수은이 간 미세구조에 미치는 독성에 대한 키토산의 억제효과를 연구하는데 있다. 염화수은 단독 투여군(A군)에는 $HgCl_2$ (5.0 mg/kg)만을 구강투여하였다. 그리고 키토산과 염화수은 동시투여군(B군)에는 키토산 (3% solution, 2times/day)과 $HgCl_2$, (5.0mg/kg)을 구강투여하였다. 그러고 각 군은 24, 48, 72, 96 시간대에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A군 핵막은 다소 불규칙한 상태를 유지하였고, 사립체는 내외막이 파괴된 채로 관찰되었다. 과립형질내세망은 층판구조가 파괴되었고, 무과립형질내세망은 세포질 전체에 퍼져있는 것이 관찰되었다. 2. B군 핵막은 비교적 원형을 유지하였고, 사립체는 내외 막의 구분이 일부에서 불분명하게 관찰되었지만, 전자밀도가 높게 관찰되었다. 과립형질내세망의 내강 팽대가 앞시간대에서 관찰되었지만 전형적인 층판구조를 형성하였다. 그리고 무과립형질내세망이 세포질주변에서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는 키토산이 마우스 간중독을 야기한 염화수은의 독성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Endometrial profilin 1: A key player in embryo-endometrial crosstalk

  • Lee, Chang-Jin;Hong, Seon-Hwa;Yoon, Min-Ji;Lee, Kyung-Ah;Ko, Jung-Jae;Koo, Hwa Seon;Kim, Jee Hyun;Choi, Dong Hee;Kwon, Hwang;Kang, Youn-Jung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47권2호
    • /
    • pp.114-121
    • /
    • 2020
  • Objective: Despite extensive research on implantation failure, little is known about the molecular mechanisms underlying the crosstalk between the embryo and the maternal endometrium, which is critical for successful pregnancy. Profilin 1 (PFN1), which is expressed both in the embryo and in the endometrial epithelium, acts as a potent regulator of actin polymerization and the cytoskeletal network. In this study, we identified the specific role of endometrial PFN1 during embryo implantation. Methods: Morphological alterations depending on the status of PFN1 expression were assessed in PFN1-depleted or control cells grown on Matrigel-coated cover glass. Day-5 mouse embryos were cocultured with Ishikawa cells. Comparisons of the rates of F-actin formation and embryo attachment were performed by measuring the stability of the attached embryo onto PFN1-depleted or control cells. Results: Depletion of PFN1 in endometrial epithelial cells induced a significant reduction in cell-cell adhesion displaying less formation of colonies and a more circular cell shape. Mouse embryos co-cultured with PFN1-depleted cells failed to form actin cytoskeletal networks, whereas more F-actin formation in the direction of surrounding PFN1-intact endometrial epithelial cells was detected. Furthermore, significantly lower embryo attachment stability was observed in PFN1-depleted cells than in control cells. This may have been due to reduced endometrial receptivity caused by impaired actin cytoskeletal networks associated with PFN1 deficiency. Conclusion: These observations definitively demonstrate an important role of PFN1 in mediating cell-cell adhesion during the initial stage of embryo implantation and suggest a potential therapeutic target or novel biomarker for patients suffering from implantation failure.

Mesna의 쥐 고환에 대한 방사선 보호 효과 (Radioprotective Effect of Mesna on Mouse Testis)

  • 류삼열;김재철;김상보;박인규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8권2호
    • /
    • pp.145-150
    • /
    • 1990
  • 고환암에서 mesna는 ifosfamide와 병용 투여하면 요관 계통의 부작용을 방지할 수 있으며, adriamycin과 같이 사용하는 경우 항암제의 세포증식 억제능을 감소시키지 않으면서 부작용을 경감 시킨다. 방사선 보호제의 sulfhydryl가 방사선에 의하여 발생하는 hydroxyl 유리기와 반응하여 조직을 보호할 수 있고, 역시 체내에서 유리기를 발생하는 adriamycin의 독작용을 musua가 감소시키는 사실에 근거하여, 쥐에 mesna와 방사선을 투여하여 mesna의 방사선보호 작용을 관찰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방사선 단독 처치군과 mesna와 방사선 처치군에서 고환의 수정관 내의 배아세포의 수와 형태적 변화를 현미경 하에서 매주 비교하고 재생 능력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양쪽 군에서 공히 초기에 세포 수가 감소하고 후기에 다시 세포가 증식 하였으며, 가장 세포 수가 적게 관찰된 시기는 방사선 조사 후 3주 째였다. 모든 관찰 기간에서 mesna 처치군의 평균 배아 세포수가 방사선 단독 처치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많이 관찰되었고(p<0.05), 또한 mesna 처치군에서 더 유효한 세포 재생 능력이 있음이 관찰되었다. 이는 mesna가 방사선 상해로부터 고환의 수정관 내 배아세포를 보호하고 있음을 입증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Mesna가 고환 이외의 다른 조직을 방사선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지의 여부와 종양의 관해율을 저해하지 않을지에 대하여는 더 이상의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