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thers' parenting efficacy

검색결과 134건 처리시간 0.023초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The Effect of Antecedents on Maternal Parenting Behaviors)

  • 김미성;전귀연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1권12호
    • /
    • pp.207-228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at antecedents and how much these antecedents have an effect on mother's parenting behavio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251 mothers who have child 3 to 6 year old in Daegu and Kyugbook province. The data are analysed through frequency, percentile, mean, standard deviation, Cronbach's α,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First, child's sex, temperament, and behavior problem, mother's parenting self-efficacy, and marital satisfaction and satisfaction of social support affect maternal affectionate parenting behavior. Second, child's temperament, mother's personality and parenting self-efficacy, and satisfaction of social support affect maternal control parenting behavior Third, mother's variables, especially parenting self-efficacy, have great effect on maternal affectionate parenting behavior than any other variables have. Forth, mother's variables, especially personality and efficacy of parenting, have great effect on maternal control parenting behavior than any other variables have.

유아기 자녀를 둔 다문화가족 부모자녀관계 증진을 위한 부모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Effects of a Parenting Training Program for Improving Parent-Child Relationships in Multi-cultural Families)

  • 민성혜;김경은;김리진
    • 아동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31-49
    • /
    • 2011
  • This study centred around the development of a parenting training program for improving parent-child relationships in multi-cultural families and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program. The goal of this program was to improve parent-child relationships in multi-cultural families. The program consists of 8 sessions and each session employs a variety of activities and teaching methods to help multi-cultural mothers to become more involved in the a program. The participants were 12 mothers of multi-cultural backgrounds in Seoul and Asan city. There 12 mothers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is program for a total of 8 sessions. Data were analyzed according to frequencies, percentiles, means, standard deviations, and paired t-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his parenting training program for improving parent-child relationships was effective in improving multi-cultural mother's parenting efficacy and reducing their parenting stress.

어머니의 유아기 자녀 학교적응기대와 부모효능감 및 자녀유능성 인식과의 관계 (Mothers' Expectation on School Adjustment of Their Preschool Children and Mothers' Perception of Parenting Efficacy and Children's Competence)

  • 신호정;서영숙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71-87
    • /
    • 2007
  • 본 연구는 미취학 자녀를 둔 어머니의 자녀에 대한 학교적응기대가 어머니의 부모효능감 및 자녀유능성 인식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지역의 유치원과 어린이집 만 5세반에 재원 중인 유아의 어머니 340명을 대상으로 질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취학 전 유아 어머니의 자녀 학교적응기대는 첫째, 어머니의 학력이 높고, 직장에 다니고 있으며, 자녀를 초등학교에 진학시킨 경험이 있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또한 남아보다는 여아에 대해, 첫째 자녀보다는 둘째 이상의 자녀에 대해 높은 학교 적응기대를 가지고 있었으며, 유아의 월령이 높을수록 그 기대가 높았다. 둘째, 취학 전 유아를 둔 어머니의 부모효능감이 높을수록 자녀의 교사관계, 친구관계, 학교수업과 규칙 등의 학교적응에 대한 어머니의 기대가 높았다. 셋째, 취학 어머니가 자녀의 사회적 능력을 높게 인식할수록 자녀의 교사관계, 친구관계 적응에 대한 기대가 높게 나타났으며, 자녀의 인지적 능력을 높게 인식할수록 학교수업과 규칙적응에 대한 기대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약시아동 어머니의 상태불안, 양육 스트레스 및 부모 효능감 관계 (Relationship between State-Trait Anxiety, Parenting Efficacy, Parenting Stress in Mothers of Children with Amblyopia)

  • 박인혜;한승희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40권3호
    • /
    • pp.137-147
    • /
    • 2015
  • 본 연구는 약시아동 어머니의 상태불안, 양육스트레스, 부모 효능감을 파악하고 이들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로, 약시아동의 시력증진과 치료에 도움이 되는 간호중재 전략을 제시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조사 대상자는 G광역시 소재의 대학병원 안과외래를 방문한 3세부터 14세까지의 환자 중 약시진단을 받고 가림치료를 위해 통원치료를 하는 약시아동 어머니를 대상으로 총 221명의 조사결과를 최종적으로 활용하였다. 상태불안 및 양육스트레스는 어머니의 교육수준 및 경제 상태가 낮을 때, 건강상태가 나쁠 때, 약시에 대해서 인식하지 못할 때 그 정도가 높았다. 부모 효능감은 연령이 높을 때, 약시아동의 건강상태가 좋을 때, 약시에 대해서 인식할 때 높았다. 약시아동 어머니의 상태불안과 양육 스트레스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여 상태불안 정도가 높을수록 양육 스트레스 정도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부모 효능감은 상태불안과 양육 스트레스와는 역상관관계를 보여 부모 효능감이 낮을수록 상태불안 정도가 높고, 양육 스트레스 정도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약시아동 어머니의 부모 효능감을 높이고 상태불안과 양육 스트레스를 낮출 수 있는 간호중재 프로그램을 개발이 요구된다고 생각된다.

Latent Growth Model of Maternal Depressive Symptoms: Predictors and Effects on Infant's Developmental Outcomes

  • Kim, He Sook;Park, Kyung Ja
    • Child Studies in Asia-Pacific Contexts
    • /
    • 제4권1호
    • /
    • pp.27-45
    • /
    • 2014
  •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developmental pattern of Korean mothers' depressive symptoms from a week prior to birth through four months postpartum in a nationally represented survey sample in Korea, using a Latent Growth Curve model. Mother-reported four factors-maternal self-efficacy in parenting, father's participation in childcare, a number of hours mothers worked per week, child's emotional temperament-were examined as the predictors of depressive symptoms over time in the context of Korean culture. Effects of maternal depressive trajectories on their infants' developmental outcomes at the first year were also examined.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mothers' reports of depressive symptoms decreased at the first month after birth and then increased again during the first 4 months postpartum. Second, mothers' perceived low spousal involvement in childcare, low parental self-efficacy, and their infants' difficult temperament at four-month old had significantly positive relations to the initial level of maternal depressive symptoms whereas the low spousal involvement in childcare and low maternal self-efficacy factors significantly predicted the changes of trajectories of maternal depressive symptoms. Third, the trajectories, in turn, predicted warm and responsive maternal parenting style at the fourth month. Subsequently, the parenting style had a significant longitudinal impact on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communication, problem-solving, and personal-social abilities. Based on these findings, awareness, preventive and interventional programs might be built to facilitate Korean mothers suffering severe postpartum depressive symptoms and further promote optimal early development of Korean children.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자존감과 자녀진로지원행동 관계에서 부모효능감의 매개효과 연구 (The Mediating Effect of Parenting Efficacy between the Self-esteem and Child Career Support Behavior of Mothers of Multicultural Families)

  • 임은의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11호
    • /
    • pp.313-323
    • /
    • 2020
  •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자존감, 부모효능감이 자녀진로지원행동(지지, 간섭, 관여부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자존감과 자녀진로지원행동 관계에서 부모효능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7차년도 다문화청소년-학부모패널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1,188명의 결혼이주여성의 데이터를 대상으로 기술통계,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자녀진로지원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자존감(β=.277), 부모효능감(β=.134)이 정적으로 유의미하였다. 또한 자존감과 자녀진로지원행동의 관계에서 부모효능감은 부분매개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부모효능감을 향상시키고 바람직한 자녀진로지도를 수행할 수 있도록 정책적, 실천적 방안을 제언하였다.

보육시설 영아반에 자녀를 보내는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 및 사회적 지지와 양육 효능감 (Parenting Stress with her Infant and Social Support and Parenting Efficacy of Mother who commit their infants to child-care facilities)

  • 류기자;김영주;송연숙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23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보육시설 영아반에 자녀를 보내는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 및 사회적 지지와 양육 효능감의 상호관련성과 양육 효능감에 미치는 다른 변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U시의 보육시설 영아반에 자녀를 보내는 어머니 234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사용하여 검사하였다. 그 결과 보육시설 영아반에 자녀를 보내는 어머니의 양육 효능감을 설명하는 변수로 사회적 지지, 양육 스트레스, 어머니의 연령 및 학력이 영향력 있는 변수로 나타났다. 즉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양육 스트레스가 낮을수록, 어머니의 연령이 높을수록, 어머니의 학력이 낮을수록 어머니의 양육 효능감이 높다.

  • PDF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심리특성이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아버지 양육스트레스를 매개효과로) (The effect of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parents of children on the childcare stress of the mother)

  • 최항준;조수경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2호
    • /
    • pp.8157-8164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심리특성(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우울)이 아버지 양육스트레스를 매개로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육아정책연구소의 한국아동패널(2011) 4차년도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월령이 35개월 이상 42개월 이하의 1,754명의 아동을 자녀로 둔 아버지와 어머니이다. 자료의 분석은 SPSS 18.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각 변인간의 관계 및 영향력을 살펴보기 위하여 구조모형으로 분석하였으며 모델의 적합도는 매우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 아버지의 심리특성이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 심리특성은 아버지 양육스트레스를 매개로 하여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에 영향력을 증가시켰다. 매개변인인 아버지 양육스트레스는 본 연구에서 매개변인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의 심리적 특성과 영아기질, 양육행동이 영아발달에 미치는 영향 -양육행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Mother's Variou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Infant Temperament, Nurturing Behavior, effect on Infant Development - The Mediating effects of Nurturing Behavior-)

  • 최선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8호
    • /
    • pp.5160-5171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어머니 심리적 특성(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 우울, 양육스트레스), 영아기질, 양육행동이이 영야발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변인들의 설명력을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2008년도에 출생한 영아 1,802명과 어머니이다. 연구를 위하여 육아정책연구소 한국아동패널 3차년도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18.0을 이용하여 상관관계분석을 하였으며 Amos 16.0을 통하여 영아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경로와 각 변인 간의 직 간접효과를 알아보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 긍정적 심리특성의 영향으로 인하여 어머니 양육행동까지 긍정적 영향을 미쳐 영아발달의 간접 효과는 유의하였고, 어머니 양육행동을 매개하여 영아발달로 가는 경로에서 완전매개의 역할을 하였다. 둘째, 영아기질 및 어머니 양육행동이 영아발달에 미치는 간접 효과는 유의하였으며 어머니 양육행동을 매개하여 영아발달로 가는 경로에서 완전매개 효과를 나타내었다. 셋째, 어머니 양육행동이 영아발달에 미치는 직접 효과는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국내 시설 거주 미혼모의 양육역량 향상을 위한 중재의 통합적 고찰 (An Integrative Review of Interventions to Improve Parenting Competencies of Unmarried Mothers Living in Residential Facilities in Korea)

  • 이금희;정예슬;방경숙;김성재;김미숙;신다애
    •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 /
    • 제17권1호
    • /
    • pp.28-39
    • /
    • 2020
  • Purpose: To understand the core elements and the effects of interventions on the improvement of parenting capabilities of unmarried mothers living in residential facilities, this study reviewed the literatures related to this concept. Methods: Five electronic databases (KISS, KMbase, KoreaMed, NDSL, and RISS) were searched, and eight studies were ultimately selected for the integrative review. Results: The interventions were categorized into two types: psychological intervention and sociocultural intervention. The core elements of the psychological interventions included cognitive, emotional, behavioral, and relational contents. Sociocultural aspects included raising personal skills for finding social support resources. Various studies showed the effects of intervention on efficacy, attachment, or parenting behavior.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health promotion programs to improve maternal parenting competency for unmarried mothers living in residential facilities need to be developed and appli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