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rus alba

검색결과 371건 처리시간 0.02초

노을공원 쓰레기매립지 식생복원을 위한 아까시나무 천이방향 연구 (A Study on Successional Direction of Robinia pseudoacacia for the Vegetation Restoration in Waste Landfill of Noeul Park)

  • 위사양;오충현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19-31
    • /
    • 2021
  • The waste landfill that has been used as a park through a stabilization project to provide green space to local residents. Vegetation restoration is necessary for the landfill park project, but it is difficult to restore vegetation due to various disturbances in the landfill. This study analyzed the successional dynamics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Robinia pseudoacacia communities from the slopes of Noeul Park by applying the 7-stage successional hypothesi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re was almost no intermediate successional stage. There are only the early successional stage which Robinia pseudoacacia has an absolute dominance of 100% in the crown and middle layers, and the degeneration successional stage which formed by the introduction of Morus alba. This result showed that the succession of Robinia pseudoacacia communities were not able to proceed to the climax forest due to various disturbances in the waste landfill. Therefore, it was analyzed that it is necessary to induce the succession through intermediate steps such as Morus alba, since it is difficult to transition from Robinia pseudoacacia community to the native Quercus spp. community.

뽕나무 품종별 고조삽목에 있어서 삽수내 저장물질의 경시적 변화 (Studies on the Changes with Time of the Reserve Substances in the Hardwood Cutting of Mulberry Varieties)

  • 최영철;유근섭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11
    • /
    • 1989
  • 뽕나무 고조삽목에 있어서 각 품종별로 삽수피부의 건물량, C/N률, 탄수화물, 단백질 및 핵산 등의 삽목후 경시적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삽목당일부터 삽목 후 40일까지 10일 간격으로 삽수의 피부를 채취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뿌리와 신초의 생장은 검운뽕(Morus bombycis KoIDZ)이 가장 왕성하였으며, 다음으로 대륙뽕(Morus Lhou(SER.) KoIDZ.)과 개량뽕(Morus alba L.)순으로 낮았다. 2. 삽수피부의 건물량은 삽수당일 50%내외에서 삽목 후 40일째에는 36% 내외로 약 14%정도 감소하였으며, 뿌리와 신초의 생장이 빠른 검운뽕이 가장 높은 감소율을 보였다. 3. C/N율은 삽목 초기에 감소하다가 뿌리와 신초가 생장함에 따라 10일부터 증가하였으며, 검운뽕은 C/N율이 가장 높았고 개량뽕은 가장 낮았다. 4. 전당의 함량은 삽목 후 40일까지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나, 10일부터 20일 사이에는 약간의 증가를 보였다. 환원당은 삽목 후 20일까지 서서히 증가하였으며 그 후 감소하였다. 전분은 삽목 후 40일까지 감소하였으며 건물량 감소와 같은 경향이었다. rjadnsQHd은 다른 품종에 비해 전당, 전분의 함량이 많았으며, 뿌리와 신초가 생장함에 따라 소비량도 많았다. 5. 조단백질과 수용성단백질은 삽목 후 10일까지 증가하였으나 그 후 감소하였으며, 검운뽕의 단백질함량이 가장 적었다. 6. RNA는 단백질의 변화와 같은 경향이었으나, 검은뽕의 함량이 가장 많았다. DNA는 함량의 경시적 변화와 품종간 함량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 PDF

몇 가지 뽕품종에 따른 오디의 형태 및 화학적 성분의 특성 (Morpholog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Mulberry(Morus) Fruit with Varietes)

  • 이희완;신동화;이완주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1-7
    • /
    • 1998
  • The morpholog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leaves and fruits were observed in the three mulberry varieties, including Daeryugppong(Morus Lhou(Ser.) koidz), Kugsang 20(Morus Lhou(Ser.) koidz) and Cataneo(Morus alba L.). The leaf development in spring was earliest in Cataneo and latest in Kugsang. Content of total nitrogen and Mg in leaf was the highest in Cataneo while that of P2O5, K and Ca in Daeryukppong. Flowers started to bloom from May 8 and in full bloom around May 15. Mature fruits began to set from June 10 to 15 and lasted by July 10 in Cataneo. Average fruit weight was heaviest in Kugsang 20(3.52 g/fruit), while lowest in Daeryukppong(1.61 g/fruit). In fruits, glucose and fructose were the major sugars. Citric acid was the most abundant organic acid in three varieties with its average content from 0.8 to 0.14%. The major pigment in fruit was anthocyanin and its content varied among varieties. The stability of anthocyanin was evaluated under various pH, temperature, and sugar concentrations. Rutin was the major flavonol glycoside present in fruits and its content varied from 0.92 to 3.36 mg/gDW. Other flavonol glycosides such as isoquercitrin and quercitrin were also detected in fruit.

  • PDF

뽕나무와 꾸지뽕나무의 수피 수용성 추출물이 콜레스테롤 함유식이 투여 흰쥐의 지질농도 및 과산화지질 농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tem Bark Extract from Morus alba and Cudrania tricuspidata on the Concentrations of Lipid and Tissue Lipid Peroxidation in the Cholesterol-Fed Rats)

  • 차재영;조영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128-134
    • /
    • 2001
  • 콜레스테롤 함유식이(대조군)에 뽕나무(M군) 및 꾸지뽕나무(C군) 줄기껍질 수용성 추출물을 첨가하여 흰쥐에 급여시킨 후 혈청과 간장 지질 농도 및 각 조직중의 지질과산화물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혈청 중성지질 농도는 대조군에 비교해서 M군에서는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C군에서는 감소경향을 보였다. C군에서 혈청 총 콜레스테롤 및 인지질 농도 및 M군에서 혈청 중성지질 농도는 대조군에 비해서 각각 저하하였다. 간장 콜레스테롤 농도는 대조군에 비해 C군 및 M군에서 저하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중성지질 및 인지질 농도는 각군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흰쥐 각 조직의 생체막 지질과산화물 생성 정도의 지표인 TBARS의 상대적 농도는 뇌, 신장, 심장, 간장의 순으로 나타났다. 신장의 지질 과산화물 함량은 대조군에 비교해서 C군 및 M군에서는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 뇌 및 간장의 지질 과산화물 농도는 오히려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간장의 비헴철 함량은 대조군에 비해서 C군 및 M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이러한 증가는 간장 지질 과산화물 함량 증가와 깊이 관련되는 것으로 시사되었다. 흰쥐 조직으로부터 분획한 microsome에 $Fe^{2+}$/ascorbate를 첨가하여 $37^{\circ}C$에서 반응을 시키지 않은 것(0 hr)으로부터 지질 과산화물을 측정한 결과에서는 각 군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Fe^{2+}$/ascorbate를 첨가하여 1시간 반응시킨 간장 및 뇌 조직 microsome의 지질 과산화물은 대조구에서 현저히 증가하였다. 한편 간장 microsome에 $Fe^{2+}$/ascorbate 첨가 1시간 반응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C군 및 M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 뇌 조직에서는 이러한 효과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뽕나무 및 꾸지뽕나무 줄기껍질 수용성 추출물에는 혈청 중성지질 저하 작용 뿐만아니라 신장 및 간장 microsome의 지질과산화물 농도 저하작용이 인정되었다.

  • PDF

뽕나무(Morus alba L.) 품종별 오디의 영양 및 기능성 성분과 이화학적 품질 특성 비교 (Comparison of Nutritional and Functional Constituents,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Mulberrys from Seven Different Morus alba L. Cultivars)

  • 김은옥;이유진;임현희;서일호;유명화;강대훈;최상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10호
    • /
    • pp.1467-1475
    • /
    • 2010
  • 현재 국내에서 재배되는 대표적인 뽕나무(Morus alba L.) 품종별 오디의 영양 및 기능성성분의 함량과 이화학적 품질 특성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오디 일반성분의 함량은 수분 83.93~86.27%, 가용성 무질소물 8.63~11.76%, 조단백질 1.03~2.54%, 조지방 0.33~0.92%, 조섬유 0.89~2.87% 및 조회분 0.76~0.98% 범위로 익수뽕, 과상2호 및 청일뽕은 다른 품종(대성뽕, 용뽕, 대자뽕, 과상1호)보다 가용성 무질소물 함량이 높은 반면, 단백질, 지방 및 섬유소 함량이 낮았다. 총 당 및 환원당 함량은 과상2호, 청일뽕 및 익수뽕이 높은 반면, 과상1호 및 용뽕은 가장 낮게 나타났다. 총 폴리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과상1호, 대성뽕 및 용뽕이 다른 품종보다 높았으며, 총 안토시아닌 함량은 과상1호 및 2호, 용뽕, 대성뽕이 높았다. 또한, 오디의 anthocyanin 구성성분 즉, C3G 및 C3R 함량은 대성뽕, 과상1호 및 과상2호가 모두 높았다. 한편, 오디의 4가지 플라보노이드 즉, rutin, isoquercitrin, quercitrin, quercetin 함량은 품종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었으며, 과상2호가 2가지 주된 플라보노이드인 rutin 및 quercetin 함량이 높은 반면, 익수뽕 및 청일뽕은 낮았다. 오디 품종별 piceid 및 4-PM 함량을 측정한 결과, piceid 함량은 대성뽕 및 용뽕이 높았으며, 대자뽕, 익수뽕 및 청일뽕은 검출되지 않았다. 한편, 항당뇨 성분인 4-PM은 청일뽕 및 대성뽕이 높은 반면, 그 외 오디 품종들은 함량이 비슷하였다. 항고혈압성 GABA 함량은 청일뽕, 대성뽕 및 과상2호가 높은 반면, 익수뽕 및 용뽕은 낮았다. 오디 품종별 이화학적 품질 특성 중 과실의 중량 2.11~6.38 g, pH 4.08~4.80, 산도 0.39~0.73%, 당도 5.83~15.34oBrix, 색도 L값 26.31~31.49, a값 1.04~3.85, b값 -0.02~4.09 범위로 품종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특히 오디 품종 중 익수뽕 및 과상2호는 열매의 크기가 적당히 크고 다른 품종보다 산도는 다소 낮은 반면, 당도는 13~15%로 높았다.

오미자와 뽕잎 추출물이 glucose에 의해 유도된 HIT-T15세포의 인슐린 분비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extracts from Schisandra chinensis Fruit and Morus alba Leaf on Insulin Secretion in Glucose-induced HIT-T15 Cells)

  • 정유석;홍주헌;정희경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1002-1008
    • /
    • 2011
  • 본 연구는 당에 의해 유도된 HIT-T15를 이용하여 항당뇨 소재로 잘 알려져 있는 오미자 및 뽕잎 추출물의 인슐린 분비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하였다. 오미자 발효주정 추출물과 뽕잎 열수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함량은 각각 $20.11{\pm}0.35$ mg/g 및 $50.02{\pm}0.62$ mg/g이었으며, 총 플라보노이드함량은 $2.85{\pm}0.15$ mg/g 및 $8.76{\pm}0.43$ mg/g 이었다. 전자공여능은 뽕잎 열수 추출물이 $83.21{\pm}3.96%$로 오미자 발효 주정 추출물의 $60.84{\pm}1.86%$보다 높았으며 오미자 및 뽕잎 추출물의 ORAC은 각각 $32.22{\pm}1.46$, $63.54{\pm}2.52\;{\mu}moles$ TE/g였는데, 뽕잎 열수 추출물이 오미자 발효주정 추출물보다 높은 항산화능을 보여주었다. Glucose 10 mM 농도를 처리한 HIT-T15에 오미자 발효주정 추출물 $100{\mu}g/mL$ 첨가시 인슐린 생산량은 2배 정도 증가되었다. 고농도인 16.7 mM의 glucose가 처리된 HIT-T15의 인슐린 생산량($1.54{\pm}0.09{\mu}g/g$ protein)은 glucose 무첨가에서 생산되는 인슐린량($1.06{\pm}0.04{\mu}g/g$ protein)과 유사하였는데 뽕잎 열수추출물 $100{\mu}g/mL$ 첨가에 의해 인슐린 생산성은 대략 6.7배 정도 향상되었다. 따라서 오미자 발효주정 추출물과 뽕잎의 열수 추출물이 고농도의 당으로부터 유도되는 췌장세포의 인슐린 분비를 개선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Interaction Between time of Nodal Explant Collection and Growth Regulators Determines the Efficiency of Morus alba Micropropagation

  • Hassanein A.M.;Galal A.A.;Azooz M.M.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5권4호
    • /
    • pp.225-231
    • /
    • 2003
  • The hormonal requirement suiting micropropagation of Morus alba during any season throughout the year was studied. Sprouting frequency from axillary buds of M. alba was greatly influenced by the time of explant collection, the highest value was achieved when nodal explants were collected at the end of bud dormancy period (late in March) and cultured on Murashige and Skoog (MS) medium supplemented with low concentration (0.5 mg/L) of BAP, kinetin or IBA (85-68%). In addition, they showed higher axillary bud sprouting on growth-regulators-free medium (49%) than others collected in autumn or winter and cultured on medium supplemented with various growth regulators (47-48%). Regardless of that period, young explants with greenish buds collected in summer exhibiting high sprouting frequency (66%) on MS medium supplemented with 0.5 mg/L kinetin and 0.5 mg/L GA3. Shoot multiplication via adventitious bud formation was achieved when the nodal explants were cultured on MS medium supplemented with 2 mg/L BAP and 0.2 mg/L IBA. Further multiplication via nodal explants of in vitro grown shoots was obtained on MS medium supplemented with 0.5 mglL BAP and 0.5 mg/L GA3. While half strength MS medium supplemented with low concentration (0.5 mg/L) of IBA, IAA or 2,4-D stimulated adventitious root formation, IBA was the best. After transfer the plantlets to the soil, acclimatization for three weeks was essential prerequisite for survival in high frequency (92%). Peroxidase activity is related to break of bud dormancy where maximum enzyme activity was detected when the lateral buds were induced to commence growth under field condition (early in spring) or in vitro.

Studies on the Growth Rate of Silkworm Bombyx mori (L.) (Lepidoptera: Bombycidae) Fed with Control and Silver Nanoparticles (AgNps) Treated MR2 Mulberry Leaves

  • Prabu, Ponraj Ganesh;Sabhanayakam, Selvi;Mathivanan, Veeranarayanan;Balasundaram, Dhananjayan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22권2호
    • /
    • pp.39-44
    • /
    • 2011
  • To evaluate the growth rate of larval and pupal parameters of silkworm Bombyx mori fed with Silver Nanoparticles (AgNps) treated $MR_2$ mulberry leaves, the following works have been considered. The AgNp was synthesized by chemical reduction method, it was diluted by different concentrations such as 25%, 50%, 75% and 100% (without dilution). Fresh mulberry leaves (Morus alba L.) were sprayed by each concentration and were fed to silkworms, from $3^{rd}$, $4^{th}$ and $5^{th}$ instar, five feedings/day. Group $T_1$ larvae received $MR_2$ mulberry leaves sprayed with distilled water and served as control, group $T_2$, $T_3$, $T_4$ and $T_5$ larvae received 25%, 50%, 75% and 100% AgNps sprayed mulberry leaves, respectively. Silkworm larvae fed on M. alba ($MR_2$) leaves sprayed with 25% concentration of AgNps (group $T_2$) was significantly increased the larvae and cocoon length, width and weight as compared to those fed on control (group $T_1$) $MR_2$ mulberry leaves and other groups ($T_3$, $T_4$ and $T_5$). Hence, 25% AgNps dose was fixed as an effective dose. It has been observed from the present study that 25% AgNps treated (group $T_2$) leaves fed by silkworms have enhanced the larval and pupal growth and quantity of silk production than control.

뽕나물 이용한 새로운 한지의 제조(제 1보)-해부학적 , 화학적 성밀 및 펄프화 특성- (New Korean Traditional Papermaking from Morus spp.(I)-Anatomical and Chemical Properties and Pulping Characteristics-)

  • 최태호
    • 펄프종이기술
    • /
    • 제31권3호
    • /
    • pp.96-104
    • /
    • 1999
  • Anatom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three mulberry species (Morus spp) were analyzed as an alternative row material for the paper mulberry (Broussonetia kazinoki) . The pulping and papermaing characteristics of bast fiber and whole stalks by three different pulping processes, conventional alkali, alkali-hydrogen peroxide, and sulfomethylated, for the Hanji were investigated. The fiber dimension of M.bombycis was the biggest of the species. The fiber length of upper part and the fiber width and cell wall thickness of lower part were bigger than the others. The extractives and ash contents of bast fiber were higher than those of whole stalk , and holocellulose and lignin contents of whole stalk were higher than those of bast fiber. The pulp yields of M.alba bast fiber, M.bombycis whole stalk, and sufomethylated pulping were higher than the others.

  • PDF

뽕나무 출엽일과 기온 요인 간 상관성 (Correlation between Air Temperature Factors and Leafing Date of Mulberry Tree)

  • 김호철;김태춘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3권6호
    • /
    • pp.807-811
    • /
    • 2015
  • 본 연구는 전북 부안지역에서 재배되고 있는 '참뽕' 뽕나무(Morus alba)를 대상으로 출엽일에 영향을 주는 기온 요인을 선발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2009년에서 2014년까지 6년간 뽕나무 평균 출엽일은 4월 24일(114 줄리안 일수)이었고, 2014년에 4월 12일로 가장 빨랐고 2011년에 5월 2일로 가장 늦었다. 3월 1일부터 4월 10일까지 일평균기온 및 일최고기온 중에서 3월 하순의 기온이 연차 간 차이가 가장 컸다. 뽕나무 출엽일은 3월 1일부터 4월 10일까지 일평균기온 0, 5, $10^{\circ}C$ 이상의 날의 적산온도와 매우 높은 부의 상관을 보였다. $5^{\circ}C$ 기준 온도에서 3월 1일부터 4월 10일까지 및 3월 하순의 일평균기온 적산온도와 뽕나무 출엽일과 각각 y = 153.8 - 0.1886 ${\times}$ ($r^2=0.965^{**}$)와 y = 126.2 - 0.2246 ${\times}$ ($r^2=0.825^*$)로 선형회귀식이 도출되었다. 따라서 오디균핵병 적기 방제를 위한 출엽일은 3월 1일부터 4월 10일까지와 3월 하순의 일평균기온 $5^{\circ}C$ 이상인 날의 적산온도로 각각 96.5%와 82.5% 예측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