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rphological and osteological development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19초

Osteological Development of the Larvae and Juvenile of Favonigobius gymnauchen (Pisces:Gobiidae)

  • Jin, Dong-Soo;Park, Jae-Min;Baek, Jeong-Ik;Han, Kyeong-Ho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25권1호
    • /
    • pp.33-41
    • /
    • 2021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observe the development of the autonomous skeletal development of the Favonigobius gymnauchen. Total length (TL) of larvae 3 days after hatching (DAH) were mean TL of 3.34 mm, with a line-shaped parasphenoid ossification in the cranium and basioccipital ossification in the back. The 10 DAH larvae had a mean TL of 5.20 mm, with the number of caudal vertebrae increasing to 15. The urostyle and two hypural bones in the lower part also began to ossify. The 23 DAH juveniles had a mean TL of 8.47 mm. The pectoral girdle's skeleton was completed as the scapula and coracoid were ossified. The pelvic girdle also fully supported the ventral fin as its ossification was completed. Favonigobius gymnauchen and Tridentiger obscurus showed similar characteristics in terms of the anus location of hatched larvae, number of myotomes, and melanophore distribution during the morphological development of the larvae and juveniles. However, this study confirmed differences in the development of the vertebrae and urostyle bone.

양식산 벤자리(Parapristipoma trilineatum) (농어목, 하스돔과) 자치어의 형태 및 골격발달 (Skeletal and Morphological Development of Larvae and Juveniles in Cultured Threeline Grunt Parapristipoma trilineatum (Perciformes: Haemulidae) from Korea)

  • 정시영;조정현;박진우;김진구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7권2호
    • /
    • pp.153-168
    • /
    • 2024
  • Morphological and skeletal development in the cultured threeline grunt Parapristipoma trilineatum was studied from 1.96 to 61.39 mm notochord length (NL) or standard length (SL) specimens (n=360). After two days post-hatching (dph, 2.13 mm NL), the mouth opened, and melanophores formed in the eyes and egg yolk were absorbed. Oli globules were absorbed at 3 dph (2.71 mm NL). The total number of fin rays reached that of adults at 28 dph (10.58 mm SL). During skeletal development, the premaxillaray, dentary, opercle, preopercle, and cleithrum first began to ossify at 6 dph (3.51 mm NL). Ossification of all skeletal elements was completed at 28 dph (14.57 mm SL). The vertebrae began to ossify at 17 dph (5.63 mm SL) and were completed at 28 dph (8.48 mm SL), progressing from cranium to caudal bone. The centrum ossified from the dorsal to ventral direction. Vertebral fusion and separation were found to be common skeletal abnormalities.

First record of the Indo-Pacific bottlenose dolphin, Tursiops aduncus, in Korean waters

  • Kim, Hyun-Woo;Choi, Seok-Gwan;Kim, Zang-Geun;An, Yong-Rock;Moon, Dae-Yeon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14권3호
    • /
    • pp.213-219
    • /
    • 2010
  • Bottlenose dolphins (Tursiops sp.) commonly inhabit Korean waters, including the coastal waters of Jeju Island. However, their taxonomic position was unclear because of the validity of this genus. The genus Tursiops has recently been determined to comprise two species: the common bottlenose dolphin (Tursiops truncatus) and the Indo-Pacific bottlenose dolphin (Tursiops aduncus). To confirm the taxonomic position of bottlenose dolphins frequenting the coastal waters of Jeju Island, the external morphology and osteology of specimens from Jeju Island were examined. Photographs of free-swimming individuals were also used for determining external morphological characters. The cranial and meristic measurements fell within the ranges of T. aduncus. Osteological ratios were also consistent with those of T. aduncus. The presence of a prominent ventral spot was observed among some individuals. As a result, the dolphins mainly distributed in the coastal waters of Jeju Island were identified as Indo-Pacific bottlenose dolphins (T. aduncus) in terms of their cranial characters and ventral spotting. We propose a new Korean name, 'Nambang-keun-dol-go-rae'.

준치, Ilisha elongata(Bennett) 자치어(仔稚魚)의 형태 및 골격발달 (Morphological and Skeletal Development of the Larvae and Juveniles of the Slender, Ilisha elongata(Bennett)(Teleostei: Clupeidae))

  • 한경호;김두용;노병률;오성현;김용민;진동수;김용억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230-235
    • /
    • 2000
  • 1998년(年) 5월(月)부터 7월(月)까지 전라남도 순천만에서 난치자 net를 사용하여 채집한 시료를 실험실에서 분류 및 동정하여 준치 자치어(仔稚魚)에 대한 형태발달 및 내부골격발달을 관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평균전장이 5.02 mm (n = 50)인 자어(仔魚)는 입과 항문이 열려 있었고, 항문은 체장의 약 73% 지점에 위치하였으며, 근절수는 36~38+15~16 = 51~54개였다. 가장 먼저 견대부에서 쇄골이 골화하였다. 평균전장이 7.82 mm (n = 50)로 자어(仔魚)는 모든 지느러미가 분화하여 분리되었고, 항문은 전장의 약 75%에 위치하였으며, 이 시기에 척색말단이 굽어지기 시작하였다. 두개골에 부설골이 골화하였고, 내장골에서 섭이와 관련하여 아래턱에서 치골이 골화되었다. 평균전장이 9.84 mm(n=50)인 자어(仔魚)는 척색말단이 완전히$45^{\circ}C$로 굽어져 있었고, 항문의 위치가 전장의 약 67% 지점에 위치하여 점차적으로 항문이 체측의 앞쪽으로 위치하기 시작하였다. 평균전장이 23.32 mm (n = 50)의 개체는 체고가 전장의 18~20%로 증가하여 성어와 닮아 있었고, 모든지느러미 줄기수가 정수에 달하여 치어기(稚魚期)로 이행되어 있었다. 평균전장 26.52 mm인 치어(稚魚)에서 모든 골격이 완성되었다.

  • PDF

한국산 연어속 어류의 형태학적 연구- II 초기 발육단계에 있어서의 연어, Oncorhynchus kita 의 골격 발달 (Morphological study of Oncorhynchus spp.(Pisces : Salmonidae) in Korea- II Osteological development of chum salmon, Oncorhynchus keta in alevin, fry and smolt stage)

  • 명정구;김용억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68-84
    • /
    • 1993
  • 1989년, 1990년 12월 강원도 양양군 남대천에서 체포한 연어로부터 수정난을 받아 양양내수면연구소와 한국해양연구소 부화, 사육실에서 사육한 연어의 골격 발달과정을 조사하였다. 1. 부화직후 전장 1.95~2.13cm의 자어는 두부에 부설골, 주상악골, 치골, 주새개골의 일부가 골화되어 있다. 2. 자어의 골격중 섭이활동, 호흡에 관련된 턱, 아가미 등 내장골이 먼저 골화하며 대부분의 골격은 3~4cm에서 골화가 완료된다. 3. 턱니, 인두치, 서골치, 구개골위의 이빨은 전장 3~4cm에서 급격히 증가한다. 4. 꼬리지느러미는 부화직후 개체에 이미 17개의 줄기가 골화되어 있으며 지느러미 중에서 가장 빨리 완성된다.

  • PDF

한국산 연어속 어류의 형태학적 연구- III 연어, oncorhynchus keta의 성별 형태 차이 (Morphological study of Oncorhynchus spp.(Pisces : Salmonidae) in Korea- III. Sexual dimorphism of chum salmon, Oncorhynchus keta.)

  • 명정구;홍경표;김용억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85-95
    • /
    • 1993
  • 1990년 성숙한 연어의 성별 형태학적 특징을 조사하였다. 성숙한 수컷은 연장되고 휘어진 턱을 가지고 있으며 턱 위에 강한 이빨을 가지고 있다. 두장에 대한 주둥이의 길이와 위턱은 수컷이 암컷보다 크고 반면 두장에 대한 안경과 뺨은 수컷이 암컷보다 작았다. 표준체장(PBL)에 대한 체고, 미병고, 등지느러미, 기름지느러미 길이는 모두 수컷이 컸다. 각 지느러미 줄기수, 새파수와 유문수의 수는 암수 차이가 없었으나 측선비늘수와 미추골수는 암컷이 수컷보다 많았다. 두개골 중 인설골과 서골의 형태는 암수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지만 상사골의 길이에 대한 폭의 비값은 수컷이 암컷보다 크고 부설골의 앞 뒤돌기 비값은 암컷이 수컷보다 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