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ok(starch gel)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26초

묵 제조용 전분의 분자구조와 지방질 (Molecular Structure and Lipid in Starches for Mook)

  • 정구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633-641
    • /
    • 1991
  • 전분의 어떤 성질이 묵 형성을 영향을 주는가를 알기위해 도토리, 메밀, 녹두 전분(묵전분)과 옥수수, 쌀, 밀 전분(비묵전분)의 이화학적, 분자구조적 성질과 전분지방질의 함량을 조사하여 겔 강도와 비교하였다. 전분의 아밀로오스 함량은 녹두, 도토리, 메밀, 밀, 옥수수, 쌀 순이었으며 겔 강도 역시 같은 순서로 나타나 이들 사이에서 가장 좋은 상관관계를 보였다(r=0.95). 묵전분의 아밀로오스의 특성을 보면 비묵전분보다 분자크기가 켰고(${\overline}D.P._{n}=1,800{\sim}1,580\;vs\;670{\sim}1,120$), 평균 가지수가 많았으나(${\overline}N.C.=2.9{\sim}5.4\;vs\;1.7{\sim}2.5$), 평균 가지 길이는 작았다(${\overline}C.L.=290{\sim}390\;vs\;390{\sim}450$). 묵전분의 아필로펙틴의 ${\overline}C.L.$은 비묵전분보다 컸으며 ($22.2{\sim}22.6\;vs\;18.9{\sim}21.3$), 전분지방질의 함량은 비묵전분보다 더 작았다($0.12{\sim}0.49\;vs\;0.68{\sim}1.26%$), 이들 분획물의 성질과 지방질함량은 겔 강도와 좋은 상관관계($r=0.76{\sim}0.84$)를 보였다. 따라서, 묵전분의 겔 형성능력은 아밀로오스 함량과 전분의 여러 특성이 종합적으로 작용해 나타내는 것으로 보인다.

  • PDF

묵 형성 전분의 특성에 관한 연구 (Characterization of mook(starch-gel food) forming starches)

  • 권미라;김성란;임경숙;안승요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5권2호
    • /
    • pp.92-98
    • /
    • 1992
  • 묵의 원료로 사용되는 동부, 녹두, 도토리와 묵의 원료로 사용되지 않는 팥, 밀, 고구마로부터 전분을 분리하여 이화학적 특성과 분자구조적 특성을 비교하였다. 아밀로오스 함량은 두류인 동부, 녹두, 팥에서 높았고, 밀, 도토리, 고구마의 순으로 낮았다. 아밀로그램에 의한 호화양상은 동부와 녹두 전분이 유사하였고, 팥 전분의 냉각점도와 고구마 전분의 최고점도가 높았으며, 밀 전분은 전반적으로 점도가 낮았다. 아밀로오스의 분자량 분포는 묵 형성 전분이 팥이나 밀보다 $5{\times}10^5$ 이상 큰 분자량의 것들이 많았으며, 예외로 고구마는 아밀로오스의 분자크기는 크나 아밀로오스 함량이 작아 묵을 형성하기 어려운 것으로 생각된다. 아밀로펙틴의 평균사슬길이는 $23{\sim}27$포도당 단위로 시료간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팥이 길었고 동부와 도토리가 짧았다. 아밀로펙틴의 $peak\;II(DP\;35{\sim}55)$에 대한 $peak\;III(DP\;10{\sim}20)$의 비율은 동부, 녹두, 도토리가 팥, 고구마, 밀 아밀로펙틴보다 컸다.

  • PDF

아밀로오스와 아밀로펙틴이 묵의 텍스쳐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mylose and Amylopectin on the Texture of Mook)

  • 김향숙;안승요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57-166
    • /
    • 1997
  • 묵의 형성과 그의 물리적 특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동두전분을 포함한 9가지 전분의 겔 텍스쳐를 비교 분석하였고, 아밀로오스와 아밀로펙틴이 묵의 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시험하였다. 10%의 전분으로 제조한 동부, 녹두, 도토리 및 메밀 전분 겔의 겔 지표는 2.11-2.37 범위로서 이들 상호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탄성 한계는 0.60이상이었다. 겔 강도 계수는 녹두 전분 겔이 1400으로서 가장 높았고, 동부, 도토리, 메밀 전분 겔은 약 700-1000범위에서 상호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절단성은 동부 전분 겔은 0.23이었고, 다른 전분 겔들은 0.46-0.62범위였다. 묵의 텍스쳐 특성에 있어서 아밀로펙틴은 겔 지표와 탄성한계에, 아밀로오스는 겔 강도 계수와 절단성에 기여하며, 이 두 분획은 어느 한 쪽 만으로는 묵을 형성할 수 없고 두 분획이 알맞은 비율로 배합되어 있을 때 비로소 묵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곡류와 감자 전분으로부터 분리한 아밀로오스를 동부 전분이나 동부 아밀로펙틴에 첨가하면 그 효과가 다르게 나타났으며, 곡류 전분에 동부 아밀로오스를 첨가하면 겔 강도 계수와 절단성은 증가되었지만 겔 지표와 탄성 한계는 향상되지 않았다. 그러나 감자 전분은 동부 아밀로오스의 첨가에 의하여 겔 강도 계수가 증가되고 절단성이 생김으로써 묵과 비슷한 텍스쳐 특성치를 나타냈다.

  • PDF

묵의 구조와 텍스쳐 (Structure and Textural Property of Mook)

  • 배광순;손경희;문수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85-191
    • /
    • 1984
  • 전분 젤의 특성을 정토하기 위하여 녹두, 감자, 고구마로 제조한 전분 겔 및 감자, 고구마 전분에 녹두 전분을 혼합하여 제조한 전분 겔의 구조 및 텍스쳐를 측정하고. 관능검사에 의해 전분 겔의 수응력을 평가하였다. 균일하고 porous한 구조를 보인 녹두 겔이 텍스쳐 측정치가 높은 값을 나타냈으며 관능검사에서도수응력이 높게 평가되었다.

  • PDF

Maltogenic amylase를 이용한 고구마 전분겔의 텍스쳐 특성 변화 (Changes of the Textural Properties of the Sweet Potato Starch Gels using Maltogenic Amylase)

  • 권미라;정동선;박관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649-654
    • /
    • 1993
  • 효소를 이용하여 전분을 수식하여 묵의 텍스쳐 특성을 개선하고 아울러 기능성 탄수화물을 첨가시켜 불성을 개선하고 건강식품화하고자 하였다. 전분의 분자수식을 위하여 maltogenic amylase를 이용하였으며 고구마 전분의 구조를 modification시켜 묵을 제조하고 또한 분지 글루코올리고당과 도토리 전분을 혼합하여 10% 전분겔을 제조한 후 Instron을 사용한 기계적 검사와 관능검사를 병행하여 텍스쳐 특성을 시험하였다. 고구마 전분에 maltogenic amylase를 0.02% 첨가하였을 때 텍스쳐 개선효과가 가장 켰으며 묵의 품질이 우수하였다. 이는 효소에 의해 긴 아밀로오스와 아밀로펙틴이 묵이 형성될 수 있는 길이로 잘라졌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Bacillus licheniformis maltogenic amylase(BLMA)를 이용하여 제조한 분지글루코올리고당을 첨가한 경우, 12.5%를 첨가하였을 때 텍스쳐 특성이 가장 향상되었다. 도토리 전분을 혼합하여 전분겔을 제조한 경우에는 50%를 혼합하였을 때 가장 텍스쳐 특성이 향상되었고 100% 도토리만으로 제조한 전분겔보다 수응력이 우수하였다.

  • PDF

두류 전분의 호화와 겔화 성질 (Gelatinization and Gelling Properties of Legume Starches)

  • 이애랑;김성곤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738-747
    • /
    • 1992
  • 묵은 전분의 겔화 성질을 이용한 우리나라 고유의 식품으로서 묵의 재료로는, 녹두, 메밀과 도토리가 이용되어 왔으나 최근 동부가 녹두의 대용으로 이용되고 있다. 묵에 대하여는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으나, 연구자들 사이에 농도와 가열호화방법의 차이로 아직도 묵에 대한 체계적인 결과가 없는 실정이다. 묵의 성질 규명을 위하여 여러 두류의 전분 또는 앙금을 이용한 겔의 성질에 대한 연구가 최근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아직도 묵에 대한 용어의 정의가 식품학적으로 통일되어있지 못한 실정이므로 앞으로 묵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요망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우리나라의 주요 두류를 대상으로 전분 또는 앙금의 성질을 종합 정리하였다.

  • PDF

대두유와 소금의 첨가에 따른 동부 묵의 기계적 텍스쳐 및 관능적 특성 (Mechan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Dongbu-Mook (Cowpea Starch Gel) by the addition of Soybean Oil and Salt)

  • 구미영;이재경;김기숙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75-279
    • /
    • 2002
  • 동부 묵가루 제조 방법과 대두유 첨가량과 소금의 첨가 유무를 달리한 묵을 제조하여 기계적인 texture특성을 측정하고, 관능검사를 실시하여 대두유와 소금의 첨가가 묵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소금의 첨가유무에 관계없이 대두유의 첨가량이 많을수록 hardness, chewiness는 전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나, cohesiveness, springiness는 대두유 첨가량에 따라 큰 차이가 없었다. 시판 묵가루를 이용하여 만든 묵이 실험실 제조 묵가루를 이용한 묵보다 hardness는 높았고, cohesiveness는 낮았으며, springiness, chewiness는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2. 관능검사 결과 대두유를 첨가할수록 노르스름하고, 불투명하며, 느끼하고, 부드럽게 평가되었으나, 전반적인 바람직성에서는 바람직하지 않은것으로 평가되었다. 그러나 소금을 첨가하였을 경우 소금을 첨가하지 않은 시료보다 대두유 첨가량에 따른 차이가 적었으므로 묵 제조 시 대두유와 소금을 첨가하여 부드러우며, 기본적인 간을 나타내는 묵을 만들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동부와 녹두전분의 이화학적 특성비교 (Comparison of Physicochemical Prolperties of Cowpea and Mung Bean Starches)

  • 윤계순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39-46
    • /
    • 1989
  • Mung bean starch gel (Mook) and gel made from starch of cowpea are similar properties in texture. In order to elucidate the similarity between these two starch gels, som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owpea starch were compared with those of mung bean starch. Water bildings capacity of cowpea starch (183.6%) was a little low than that of mung bean starch (184.2%). The solobility, swelling power and optical transmitance of the cowpea starch showed a smiliar pattern to mung bean starch, but cowpea starch had a little lower solubility than mung bean starch. Amylogram of mung bean strach (4, 5, 6, 7%) shoved no peak viscosity but cowpea starch (4, 5, 6%) showed peak viscosity and both starches showed high viscosities when cooling. Cowpea and mung bean starches had the blue value of 0.41 and 0.47, the alkali number of 8.4 and 8.0, the amylose content of 30.5 and 32.1%, the molecular weight of amylose of 30,000 adn 29,258 and glucose unit per segment of amylopectin of 27.6 and 26.8 respectively. The shape of cowpea and mung bean strach granules were round and elliptical, and the mean vlalue of major axis, minor axis and the ratio of these were 20.7 and 21.8 ${\mu}{\textrm}{m}$, 14.6 and 14.4 ${\mu}{\textrm}{m}$ and 1.42 and 1.51, respectively. The extent of retrogradation determined by the glucoamylase digestion method and syneresis showed that cowpea starch gel was larger than that syneresis showed than cowpea starch gel was larger than that of mung bean starch gel. The redults of X-ray diffraction studies showed A pattern for two starches, Diffraction peak of gels disappeared with gelatinization of starches but that of two starch gels storaged for 2 days at 5$^{\circ}C$ showed a similar patterm.

  • PDF

옥수수 전분과 Hydrocolloids 첨가가 녹두 전분 및 묵의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dded Corn Starches and Hydrocolloids on the Characteristics of Mungbean Starch and the Mook(Starch Gel))

  • 박옥진;김광옥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618-624
    • /
    • 1988
  • 대체 전분과 hydrocolloids(xanthan gum과 locust bean gum의 혼합물)첨가에 따른 조전분 및 녹두묵의 특징을 평가하기 위해 DSC와 amylograph를 이용하여 전분의 호화양상을 측정하였고, 관능검사 및 IUTM 측정을 통해 묵의 텍스쳐 특성을 조사하였다. 상 전이 엔탈피는 녹두-가교 혼합 전분이 녹두-비 변성혼합 전분보다 녹두 조전분에 더 유사하제 나타났다. Hydrocolloids 첨가는 초기점도 증가에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온도가 높아지면서 점도를 현저하게 증가시켰다. $50^{\circ}C$까지 냉각한 후의 점도는 가교혼합 전분과 녹두 조전분이 유사하게 나타났다. 관능검사의 삼점검사 결과에서는 표준묵과의 차이를 감지하지 못하는 농도가 가교전분에서 더 높았다. 또한 혼합전분 사용시 녹두묵의 단단한 정도와 응집력이 hydrocolloids첨가시 그 차이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IUTM 측정결과, 변형도에 따라 받는 힘의 크기가 다른 것을 알 수 있으며 90% 변형에서 나타난 단단한 정도는 관능검사의 결과와 유사한 경향을 나타냈다. 따라서 본 실험과 같은 조건하에서는 녹두묵 제조시 hydrocolloids를 첨가함으로써 대체 전분의 이용가능성을 더 증가시킬 수 있다고 생각된다.

  • PDF

감마선을 조사한 시판 도토리묵의 저장 중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Gamma Irradiated Commercial Arcon Starch Gel during Storage)

  • 김민희;김현주;허옥순;이주운;변명우;김미리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816-821
    • /
    • 2007
  • The physical properties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acorn starch gels (Dotori Mook), which were gamma-irradiated up to 3 kGy, were evaluated during storage at $4^{\circ}C$. Even at the dose of 2 kGy, the gamma irradiation decreased total bacteria in the Dotori Mook during 5 days of storage, to lower than the detection limit $(10^2CFU/g)$. The hardness of the control sample increased according to the days of storage, while the gamma irradiated samples had decreased hardness according to the irradiation dose. The sample irradiated at 3 kGy maintained the same hardness as the control at day 0 of storage. Irradiation did not affect the Hunter color values.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off-odor, color, springiness, and overall acceptability (p<0.05) at the irradiation dose of 2 kGy.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irradiation of Dotori Mook, up to 2 kGy, does not affect the quality of the Mook during storage, with regard to texture and sensory characteristics. Moreover, the irradiated Mook was superior in maintaining hardness and had prolonged shelf-life time by sanit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