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chan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Dongbu-Mook (Cowpea Starch Gel) by the addition of Soybean Oil and Salt

대두유와 소금의 첨가에 따른 동부 묵의 기계적 텍스쳐 및 관능적 특성

  • 구미영 (중앙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 이재경 (중앙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 김기숙 (중앙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Published : 2002.06.01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oybean oil and salt on the mechanical texture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Dongbu-Mook (Cowpea Starch Gel). As the amount of the soybean oil was increased, the hardness and chewiness of the Mook were decreased.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hesiveness and springiness. While the Mook samples made with commercial Dongbu-Mook flour didn'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those made with lab-manufactured Dongbu-Mook flour without salt showed higher hardness, chewiness than the ones with salt. The Mook made of commercial Dongbu-Mook flour was found to be higher in the hardness and lower in the cohesiveness than the one made of lab-manufactured Dongbu-Mook flour. In sensory evaluation, as the amount of soybean oil was increased, all the samples showed higher yellowness and greasiness, and lower clarity, hardness and chewiness. For the samples with salt, the yellowness was high, and the hardness was low. The Mook samples made with lab-manufactured Dongbu-Mook flour had low chewines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larity and greasiness. Overall, the Mook samples made with commercial Dongbu-Mook flour showed the best quality, when soybean oil was not added and salt was added. For the Mook made with lab-manufactured Dongbu-Mook flour, the sample with 2% oil and salt was the best.

동부 묵가루 제조 방법과 대두유 첨가량과 소금의 첨가 유무를 달리한 묵을 제조하여 기계적인 texture특성을 측정하고, 관능검사를 실시하여 대두유와 소금의 첨가가 묵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소금의 첨가유무에 관계없이 대두유의 첨가량이 많을수록 hardness, chewiness는 전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나, cohesiveness, springiness는 대두유 첨가량에 따라 큰 차이가 없었다. 시판 묵가루를 이용하여 만든 묵이 실험실 제조 묵가루를 이용한 묵보다 hardness는 높았고, cohesiveness는 낮았으며, springiness, chewiness는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2. 관능검사 결과 대두유를 첨가할수록 노르스름하고, 불투명하며, 느끼하고, 부드럽게 평가되었으나, 전반적인 바람직성에서는 바람직하지 않은것으로 평가되었다. 그러나 소금을 첨가하였을 경우 소금을 첨가하지 않은 시료보다 대두유 첨가량에 따른 차이가 적었으므로 묵 제조 시 대두유와 소금을 첨가하여 부드러우며, 기본적인 간을 나타내는 묵을 만들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

References

  1. 윤서석 : 한국식품사. 신광출판사, 88, 1974
  2. 이선영, 김경애, 정난희, 전은례 : 동부앙금의 단백질 함량이 Gel화 특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조리과학회지, 13(5): 627, 1997
  3. 문수재, 손경희, 박혜원 : 묵의 식품과학적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15(4): 31, 1977
  4. 김향숙, 안승요 : 두류, 곡류 및 감자전분의 호화특성. 한국조리과학회지, 10(1): 80, 1994
  5. 조연화, 장정옥, 구성자 : 동부의 이화학적 특성과 동부묵의 Rheology에 대하여. 한국조리과학회지, 3(1): 54, 1987
  6. 최병한 : 메밀의 영양과 이용법. 월간 식생활, 47, 1993
  7. 김향숙, 권미라, 안승요 : 동부 전분의 이화학적 특성. 한국식품과학회지, 19(1): 18, 1987
  8. A.O.A.C: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6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1996
  9. 김향숙 : 동부전분의 호화 및 겔화 특성. 한국조리과학회지, 10(1): 76, 1994
  10. 윤혜현, 이혜수 : 동부 조전분 및 정제전분의 이화학적 특성. 한국조리과학회지, 3(1): 31, 1987
  11. 주나미, 전희정 : 지방첨가가 녹두전분 Gel의 Texture에 미치는 영향 - 제 1보 이화학적 특성 및 기계적 검사에 의한 평가. 한국조리과학회지, 7(4): 63, 1991
  12. Takahashi, S. and Seib, P. A., Paste and gel properties of prime corn and wheat starches with and without native lipids. Cereal Chem., 65: 474, 1988
  13. 안명수 : 식품과 조리원리 -조리과학-. 신광출판사, 62, 1997
  14. 정구민 : 묵 제조용 전분의 분자구조와 지방질. 한국식품과학회지, 23: 633, 1991
  15. 이상금, 신말식 : 첨가물질을 달리한 혼합 전분겔의 텍스쳐 특성. 한국식품과학회지, 27(6): 928, 19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