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nthly rainfall

검색결과 306건 처리시간 0.028초

횡성호의 유기물 수지 및 거동 특성 (Organic Matters Budget and Movement Characteristic in Lake Hoengseong)

  • 정승현;박혜경;윤석환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238-246
    • /
    • 2012
  • Organic matters budget in Lake Hoengseong were monthly investigated from April 2009 to November 2009. The intense rainfall occurred at between July and August and the hydrological factors were highly varied during the rainfall season. By the concentrated rainfall, the elevation, influx and efflux were sharply increased and the turbid water was also flowed into the middle water column in Lake. The inflow of turbid water increased the nutrient concentrations in water body and this appears to stimulate of phytoplankton regard as the primary productivity of influx of organic matter. Monthly average concentration of dissolved organic carbon (DOC) was generally higher than the particulate organic carbon (POC) concentration in Lake, but Temporal and spatial variation of POC concentration was higher than DOC and the maximum POC concentration was recorded in surface water in August, had the highest phytoplankton biomass. Organic carbon concentration in inflow site was rarely changed during the dry season, but the concentration was rapidly increased by the initial intense rainfall. In organic matters budget, the most of the organic matters was inflowed from the inflow site at rainfall season. Especially, the influx of allochthonous organic matters during the intense rainfall was 72.4% in the total influx organic matters.

19세기 공주감영 측우기 강우량 18년 복원 (Restoration of 18 Years Rainfall Measured by Chugugi in Gongju, Korea during the 19th Century)

  • 부경온;권원태;김상원;이현정
    • 대기
    • /
    • 제16권4호
    • /
    • pp.343-350
    • /
    • 2006
  • The rainfall amount measured by Chugugi at Gongju was found in "Gaksadeungnok". Gaksadeungnok is ancient documents from governmental offices in Joseon dynasty. Rainfall data at Gongju are restored for 18 years of 19th century. In 1871, total rainfall amount is 1,338 mm. It is different by about 11% in the amount compared with Seoul Chugugi rainfall in 1871 and Daejeon modern raingauge measurement result during the 30 years (1971-2000). Annual march of monthly rainfall data at Gongju is similar with that of Seoul. Based on the results, restored rainfall at Gongju is consistent with Seoul Chugugi rainfall data. The rainfall amount restored in this study is measured by Chugugi which was installed at Gongju, in Chung-Cheong province. Furthermore, Gaksadeungnok includes rainfall amount reports by agricultural tool measurement in addition to Chugugi measurement. These facts prove a network of rain gauge in Joseon dynasty.

강수의 계절성과 면적평균강수량의 추정오차 (Rainfall Seasonality and Estimation Errors of Area-Average Rainfall)

  • 유철상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5권5호
    • /
    • pp.575-581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강수의 계절성에 따라 면적평균강수의 추정오차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평가하였다. 공간상관을 고려하는 경우와 고려하지 않는 경우 모두를 다루었으며, 각각의 경우에 대해 추정오차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유사한 경우로서 계절성을 무시하고 누가시간을 증가시켜 추정오차가 어떻게 변하는지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금강유역에 적용하였으며 30년 이상의 일 강수 기록을 가진 28개 지점의 자료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월 단위의 면적평균강수량에 대한 추정오차는 대체로 강수량에 비례하여 나타나며, 따라서 강한 계절성을 나타낸다. 그러나 이를 평균 강수량으로 나눈 상대오차는 1월과 12월을 제외하면 대략 5 - 8% 정도로 유사한 값을 보인다. (2) 연 강수량에 대한 추정오차는 연강수량의 3% 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3) 그러나, 강수량이 아닌 강수량의 표준편차를 기준으로 삼는 경우 면적평균강우의 추정오차는 월 단위 및 년 단위에서 동일하게 표준편차의 11% 정도로 계산된다. (4) 마지막으로, 공간상관을 고려하지 않는 경우의 추정오차는 고려하는 경우의 2배 정도까지 커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월별 토사유실량 평가를 위한 가중치 기법의 시험 적용 (Applying Weighting Value Method for the Estimation of Monthly Soil Erosion)

  • 이근상;박진혁;황의호;고덕구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5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70-74
    • /
    • 2005
  • 임하호 유역은 지질 및 토지피복이 토사유실에 취약한 구조를 가지고 있어 강우발생시 많은 토사가 호소로 유입되어 고탁수의 원인이 되고 있다. 특히 임하호 유역의 지질은 점토질 및 쉐일층으로 구성되어 있어, 강우발생시 흙탕물의 형태로 상당량의 토사가 호소로 유입되므로, 호소내 탁도관측자료는 유역내 토사유실을 평가하는 간접지표가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GIS 기반 수정범용토사유실공식을 활용하여 연토사유실량을 평가하였으며, 월별로 토사유실량을 배분하기 위해 시강우량자료를 이용한 강우가중치 기법을 개발하였다. 2003년도 탁도자료를 볼때, 강우가중치에 의한 월별토사유실량 방법이 강우량자료에 의한 월별토사유실량보다 더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중복간섭모형을 이용한 서울시 강우량 변화분석 (Analysis of Rainfall Change at Seoul City by Applying Multiple Intervention Model)

  • 김응석;이정호;김중훈;박무종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4권3호
    • /
    • pp.33-41
    • /
    • 2004
  • 본 연구의 목적은 1967년부터 1996년까지 30년간의 서울시 자료를 이용하여 엘니뇨현상과 월 강우량의 변화를 분석하는데 있다. 연구에서는 간섭모형을 적용하여 서울시의 월 강우량 자료를 분석하였다. 현재까지의 엘니뇨의 발생시기를 추정하기 어려운 이유로 간섭의 시점을 기존의 문헌조사를 바탕으로 1972년 1976년, 1979년, 1982년, 1986년 그리고, 1991년을 선정하였다. 연구결과 엘니뇨의 효과는 서울시 월 강우량에 상당한 영향을 주고 있었다. 또한 엘니뇨의 영향은 월 강우량을 기준으로 최고 53.4mm에서 최저 2.5mm 영향을 주었다. 따라서 엘니뇨의 영향을 고려할 때 서울시의 발생가능한 자연적 재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장기간의 수자원 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Simulation Technique에 의한 수자원의 변동양상 및 그 모의발생모델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Variation Pattern of Water Resources and their Generation Models by Simulation Technique)

  • 이순탁;안경수;이의락
    • 물과 미래
    • /
    • 제9권2호
    • /
    • pp.87-100
    • /
    • 1976
  •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한강, 낙동강, 금강 및 영산강유역을 포함한 광역적인 하천유역에 있어서의 년 및 월유량과 항우량에 대하여 Correlogram 및 Spectrum 분석을 통한 시계열의 해석과 그 변동양상을 구명하고 이 특성을 기초로 해서 년 및 월수문량의 장기간의 Simulation을 위한 추계학적모델의 개발과 검토에 그 목적을 두었다. 먼저 수문량의 변동양상의 분석에 있어서는 미국, 유럽 및 호주대륙의 유량분석의 결과와 대비하면서 유량모집단의 표준편차($\sigma$)를 년유량의 대수평균치(L)에 대하여 지수함수의 관계식으로 표시하여 수자원량의 변동양상을 구명하였다. 다음 년수문량(유량 및 항우량)의 시계열의 각 성분을 알기 위하여 Correlogram 및 Spectral density분석을 행하였으며, 그 Simulation을 위한 단일이절 모델로서는 년수문량의 적정분포형인 대수정규분포와 Monte Carlo 방법에 기초를 둔 LN모델(Log-Normal Model)과 1차선형 자기회귀모델인 Markov모델을 설정하여 비교.검토하였다. 다음으로 월수문량(유량 및 항우량)의 시계열 및 추계학적 성분 역시 Correlogram 및 Spectral density분석에 의하여 구명하였으며, 그 Simulation에 있어서는 이 시계열특성과 낙동강 자료에 의하여 연구, 검토된 바 있는 상유천 월유량의 모의발생모델을 광역적으로 적용시키고 또한 월항우량에 대해서도 적용시켜서 이 모델의 적용성과 아울러 광역적인 월수문량의 모의발생모델을 확립토록 하였다.

  • PDF

수정 표준강수지수의 제안 및 적용 (A Modified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MSPI) and Its Application)

  • 류소라;유철상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7권7호
    • /
    • pp.553-567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SPI의 문제점을 보완하는 측면에서 수정 SPI(MSPI)를 제안하고, 이를 서울지점의 가물분석에 적용하여 비교하였다. MSPI는 강수량을 이동평균하기 전에 정규화 하는 과정을 추가하는 경우로 SPI가 강수의 절대량을 이월하는 반면 MSPI는 강수의 상대량을 이월하는 형태를 가지게 된다. 서울지점 월강수량자료는 1777년-1996년까지의 것으로 각각 전체자료 및 1900년을 전후로 한 장기건조기의 전반부 및 후반부를 따로 분석하여 비교될 수 있도록 하였다. 그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MSPI가 SPI에 비해 보다 현실적인 결과를 준다. 이는 1900년도 전후로의 장기건조기가 포함된 기록과 포함되지 않은 기록을 분석한 결과의 비교에서 확인되었다. (2) MSPI는 SPI에 비해 극단적인 강수사상에 덜 민감한 결과를 준다. 장기건조기의 전반부 및 후반부에 대해 MSPI를 적용한 결과를 비교하면 가뭄의 발생가능성은 보통 가뭄의 경우는 대체로 비슷하나 아주 심한 가뭄의 경우는 약간 줄어들었음을 파악할 수 있다(재현기간 약 18년에서 16년으로). 그러나 가뭄 발생 시 그 지속기간은 전반부에 비해 후반부가 길게 나타나고 있다(아주 심한 가뭄의 경우 약 2개월에서 2.5개월로). 이러한 결과는 상대적으로 극단적인 결과로 나타내는 SPI(아주 심한 가뭄의 경우 재현기간은 약 25년에서 10년으로, 지속기간은 1.5개월에서 3.5개월로)에 비해 보다 현실적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각사등록』에 의한 조선시대 경기도지역 측우기 우량 관측자료 복원 및 분석(1830~1893) (Restoration and Analysis of Chugugi Rainfall Data by 『Gaksadeungnok』 for Gyeonggi Province During the Latter Part of the Joseon Dynasty (1830~1893))

  • 조하만;김상원;박진;김진아;전영신
    • 대기
    • /
    • 제23권4호
    • /
    • pp.389-400
    • /
    • 2013
  • Chugugi and Wootaeck rainfall data of Gyeonggi Province from 1830 to 1893 were restored from the "Gaksadeungnok" that is the government records between the central government and the local during the Joseon Dynasty. The restored data periods were 27, 10, 9 and 14 years for Kwangju, Suwon, Ganghwa and Gaeseong, and the total number of restored data was 655 for the Chugugi and 427 for the Wootaek, respectively. The variation pattern of monthly rainfall by Chugugi was investigated and it showed that the monthly rainfall more than 300 mm was recorded 25 times with 18 times in July, 5 times in August and 3 times in June. The cases of more than 500 mm were also recorded 8 times with the maximum 787 mm at the Kwangju in July 1862, showing the similar pattern to Seoul. The monthly mean rainfall for the Gyeonggi Province were 259 mm in July, 204 mm in August and 121 mm in June, which were about one third of that of Seoul.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Chugugi and Wootaek data was carried out to derive the quantitative values of Wootaek observations. It revealed that 1 'Ri' of Wootaek observation was equal to approximately 1 'Chon (Chugugi unit)' or 20 mm, while 1 'Seo' was very variable between 2 and 6 'Boon (Chugugi unit)' with the median value approximately 3 'Boon' or 6 mm. Recalculated Wootaek data showed that the monthly rainfall in July, August, and June were 289 mm, 154 mm, and 124 mm, respectively. Through this study, some features of the rainfall variation pattern during 1830~1893 were figured out, and quantitative interpretation of Wootaek data became possible based on the restored rainfall data from the "Gaksadeungnok". Though many pages of the book have been lost during the last hundreds years, "Gaksadeungnok" is still very meaningful and of practical use, for it contains plenty of the local data throughout the whole country during the latter part of Joseon Dynasty. Therefore, further studies are strongly recommended on the restoration of climate related data and on the climatic tendency of 19th century of Korean peninsular.

Analysis of drought in Northwestern Bangladesh using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and its relation to Southern oscillation index

  • Nury, Ahmad Hasan;Hasan, Khairul
    •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21권1호
    • /
    • pp.58-68
    • /
    • 2016
  • The study explored droughts using the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SPI) in the northwestern region of Bangladesh, which is the drought prone area. In order to assess the trend and variability of monthly rainfall, as well as 3-month scale SPI, non-parametric Mann-Kendall (MK) tests and continuous wavelet transform were used respectively. The effect of climatic parameters on the drought in this region was also evaluated using SPI, with the Southern Oscilation Index (SOI) by means of the wavelet coherence technique, a relatively new and powerful tool for describing processes. The MK test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monthly rainfall trends in the selected stations, whereas the seasonal MK test showed a declining rainfall trend in Bogra, Ishurdi, Rangpur and Sayedpur stations respectively. Sen's slope of six stations also provided a decreasing rainfall trend. The trend of the SPI, as well as Sen's slope indicated an increasing dryness trend in this area. Dominant periodicity of 3-month scale SPI at 8 to 16 months, 16 to 32 months, and 32 to 64 months were observed in the study area. The outcomes from this study contribute to hydrologists to establish strategies, priorities and proper use of water resources.

우리나라 주요지점에 있어서의 강우해석에 관한 수문통계학적 연구

  • 이원환
    • 물과 미래
    • /
    • 제5권2호
    • /
    • pp.30-43
    • /
    • 1972
  • The paper describes on the hydrologic analysis of point rainfall data of the three major areas, such as in Seoul, Pusan and Taegu. Scheme of the paper is analyzed five research cases. Contents of the analysis are carried out five kinds of transformed variables for determination of rainfall distribution types and two kinds of reliability tests on unusual(extraordinary) values each rainfall durations:short durations, long durations, long durations, monthly and yearly. Rainfall depth probability had been computed methods of hydrologic amounts analysis namely logarithmic transformations or Gumbel-Chow method and so on, but in this paper it is calculated log xi, n-square root transformations by using normal distribution function and normalization of rainfall distributions is examined graphical tests and $X^2-test$(chi-square test). Furthermore, rainfall depth probability is calculated taking into account the safty factors of project life of hydraulic structures. We think it is advanced contents that considering priceless experiences, the life of structures, conditions and more problems of planning engineers and designers, proposed rainfall amounts(proposed values) are presented charts or figur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