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nthly rainfall

검색결과 306건 처리시간 0.026초

월 평균 기온과 강우 자료를 이용한 일 기온 자료의 생성 (Generation of daily temperature data using monthly mean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data)

  • 문경환;송은영;위승환;서형호;현해남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52-261
    • /
    • 2018
  • 이 연구는 월평균 기상자료를 이용하여 일 최고기온, 일 최저기온을 생성하는 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진행되었다. 전국 23개 기상관서의 과거 30년간의 일기상자료를 분석하여 일 최고기온 및 일 최저기온의 연간 변동 경향을 나타내는 모수(중심값($\hat{U}$), 진폭(C), 편이(T))와 일간 변동을 반영하는 모수(A, B)를 탐색하였다. 그 중 중심값은 지점간의 연 평균자료로부터 도출하였고, 중심값을 제외한 모수들은 전국 평균을 기상생성과정에 적용하였다. 먼저 강우발생 유무에 따라 일 기상자료를 생성한 후 월 자료를 이용하여 보정하고 마지막으로 일 최고기온 및 일 최저기온을 생성하였다. 이 방법으로 전체 23개 지역에 대하여 월별로 생성하였을 때 전체 월별 분포의 95% 이상 관측된 분포와 유사한 일 자료를 생성할 수 있었다. 또 이 방법에 의해 과거 자료와 유사한 생장도일(Growing Degree Day)를 생성할 수 있었고, 조사대상이 아닌 지역에도 충분히 적용할 수 있었다. 이 방법은 기후변화시나리오 등 월 자료가 확보되어 있는 경우에 일기상자료를 생성하는데 유용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위성영상을 이용한 기후변화에 따른 미래 식생정보 예측 기법 제안 (Proposal of Prediction Technique for Future Vegetation Information by Climate Change using Satellite Image)

  • 하림;신형진;김성준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58-69
    • /
    • 2007
  • 지구상에서 육지 표면의 76%를 차지하고 있는 식생은 기후 변화와 관련하여 지역 부존 수자원과 환경 및 생태학적 시스템에 큰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위성 영상을 통해 추출된 NDVI를 통해 미래 식생정보를 예측하고자 넓은 지역에 대한 식생 피복의 파악이 용이한 NOAA 위성의 AVHRR 센서(1994년~2004년)와 Terra 위성의 MODIS 센서(2000년~2004년)로부터 얻을 수 있는 월별 정규화 식생지수(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NDVI)를 통하여 현 식생정보를 정량화하였다. 5년 동안의 NDVI 값은 NOAA보다 MODIS가 전체적으로 20% 정도 높게 추출되었다. 이로부터 국내 5대강 유역의 토지피복별 NDVI와 월평균 기상인자(평균기온, 최고기온, 최저기온, 강수량, 일조시간, 풍속, 습도) 사이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으며, NDVI는 평균기온과 상관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상관분석 결과 얻어진 NDVI-기온 선형 회귀식을 이용하여 기후변화 시나리오의 CCCma CGCM2 모의 결과 값으로부터 토지피복에 따른 미래 NDVI를 추정 하였다. NOAA NDVI에 의해 추정 된 미래 식생정보는 현재의 NDVI 최대치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현재 7월에서 8월 사이 최고에 이르렀다가 9월부터 감소하는 NDVI값이 미래에는 10월까지도 높게 지속되는 경향을 보였다. MODIS NDVI에 의해 추정 된 미래 식생정보는 7월에서 8월 사이에 현재보다 약 5% 정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 PDF

질산성 질소 기저유출이 지표수 수질에 미치는 영향 (Impacts of Nitrate in Base Flow Discharge on Surface Water Quality)

  • 김건하;이호식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9권1B호
    • /
    • pp.105-109
    • /
    • 2009
  • 강우유출수의 기저유출(base flow)이 지표수 수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이 논문에서는 기저유출로 발생하는 질산성 질소가 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USGS의 PULSE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월별 지하수 유출량을 수문 분리하였다. 2005년도 금강유역의 갑천2 지점의 지표수 수질 및 유량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지하수 수질자료는 정부기관 측정자료를 사용 하였다. 갑천2 지점의 상류는 농지 및 임야가 대부분이다. 수문분리 결과, 봄과 가을에는 하천유량의 85~95%가 기저유출 기여량이며 여름과 겨울에는 25~38%가 기저유출 기여량으로 나타났다. 갑천2 지점에서 질산성 질소의 월별 기저유출 부하량은 유역내 지하수의 평균 질산성질소 농도를 이용하여 산정하였다. 갑천2 지점에서 기저유출되는 질산성질소 부하량은 5.4 ton of $NO_{3}{^-}-N/km^{2}$로 추정되었는데, 이는 갑천2 지점의 지표수 질산성 질소 부하량인 9.2 ton of $NO_{3}{^-}-N/km^{2}$의 59%에 해당하는 값이다. 기저유출되는 질산성질소의 계절변화는 월별 질산성질소 부하량을 월별기저유출량으로 나누어 구하였는데, 우기시 질산성 질소의 기저유출농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를 통하여 지하수 수질 모니터링이 지표수 수질 관리에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낙동강 하구역 해양물리환경에 미치는 영향인자 비교분석(I) - 하구둑 방류량과 기상인자 - (Correlation between Meteorological Factors and Water Discharge from the Nakdong River Barrage, Korea)

  • 박순;윤한삼;이인철;김헌태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11-117
    • /
    • 2008
  • 본 연구는 최근 11년간 (1996년${\sim}$2006년)의 낙동강 하구둑 방류량 자료를 바탕으로 하구둑 방류량의 경년변동 및 월별특성 즉, 낙동강 하구둑 월별총방류량, 일일평한방류량, 일일최대방류량을 산출하였으며, 하구둑 방류와 하천수 유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기상인자들과의 상관성을 검토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낙동강 하구둑으로부터의 11년간 총 방류량은 $224,576.8{\times}10^6m^3$이며 가장많이 방류된 연도는 2003년으로 $56,292.3{\times}10^6m^3$이다. 월별로는 8월이 23.4%의 $52,634.2{\times}10^6m^3$으로 가장 많고 7월이 23.1%, 9월이 17.0%의 순이었다. (2) 방류량 패턴을 시기별로 살펴보면 $7{\sim}9$월은 유하량이 많은 홍수기(방류란 $100{\times}10^6m^3$/day이상), $4{\sim}6$월 및 10월은 유하량이 보통수준인 평수기(방류량 $30{\times}10^6m^3$/day이상), $12{\sim}3$월은 유하량이 적은 갈수기(방류량 $16{\times}10^6m^3$/dayy미만)로 구분할 수 있다. (3) 방류량과 기상인자와의 상관성 비교에 있어서는 대체로 기온이 높고 증발량이 적으며 일조시간이 적은 시기에 많은 방류가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4) 방류량이 많을 경우 주 풍향은 NNE 및 SW, SSW 였다. 이러한 결과는 풍항에 따른 취송류의 영향으로 북풍이 불 경우 담수의 하구 집적화와 남풍이 불 경우 담수가 외해로 유출될 가능성이 높음을 시사한다.

  • PDF

수계별 소수력자원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Small Hydro Power Resources for River System)

  • 박완순;이철형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193.1-193.1
    • /
    • 2010
  • Small hydropower resources for five major river systems have been studied. The model, which can predict flow duration characteristic of stream, was developed to analyze the variation of inflow caused from rainfall condition. And another model to predict hydrologic performance for small hydropower(SHP) plants is established. Monthly inflow data measured at Andong dam were analyzed. The predicted results from the developed models in this study showed that the data were in good agreement with measured results of long term inflow at Andong dam. It was found that the models developed in this study can be used to predict the available potential and technical potential of SHP sites effectively. Based on the models developed in this study, the hydrologic performance for small hydropower sites located in river systems have been analyzed. The results show that the hydrologic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SHP sites have some difference between the river systems. Especially, the specific design flowrate and specific output of SHP sites located on North Han river and Nakdong river systems have large difference compared with other river systems.

  • PDF

Pre-Monsoon Dynamics of Zooplankton Community in the Downstream of the Gagok Stream, Eastward into the East Sea, Korea

  • Kim, Saywa
    • 환경생물
    • /
    • 제33권2호
    • /
    • pp.223-229
    • /
    • 2015
  • Pre-monsoon dynamics of zooplankton community were investigated in the downstream of the Gagok stream flowing into the East Sea of Korea. Monthly sampling was carried out to collect zooplankters at five sites in the stream during the period between April and July 2014. Dissolved oxygen contents exceeded $7.0mg\;L^{-1}$ all the time. Water temperature was in a range of 15.7 to $24.9^{\circ}C$ and pH 7.4 to 8.8, respectively. A total of 75 taxa consisted of 36 species of rotifers, 16 species of cladocerans, 16 species of copepods, four kinds of aquatic insects, two kinds of decapods and one nematod was occurred. One species of marine copepod and one cladoceran, and one species of brackish rotifer and one copepod distributed at the station located in the stream mouth. Zooplankton abundance showed to vary from 42 to 4202 individuals $m^{-3}$ due to the explosion of aquatic insects and Alona sp. at site 2 located in the downstream in April. Heavy rainfall during the monsoon period seems to decrease the zooplankton abundance caused by diffusion and drifting to the sea. Species diversity indices were generally high between 1.2~2.3 and were recorded to be high at the downstream throughout the study period. With the zooplankton dynamics, the influence of the input of sea waters into the stream seemed to be confined to some hundred meters of the stream mouth facing the East Sea.

대전지역 산성강우의 화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emical Characteristics of Acid Rain in Taejon City)

  • 구자공;박경렬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47-153
    • /
    • 1993
  • From March 1990 to August 1991, every each 5mm bulk precipitation samples were collected at one residental area in Taejon City to investigate chemical characteristics of acid rain. Major ion concentrations of rain samples $(pH, SO_4^{2-}, NO_3^-, CL^-, NH_4^+, Na^+, K^+, Ca^{2+}, Mg^{2+})$ were analysed and compared with the concentration of air pollutants (T. S. P, $SO_2, NO_x$) that were measured by Ministry of Environment. The results of statistical analysis are as followings. Rain pH was relatively high on October and January and relatively low on August, November and February. Major anion is sulfate, and it's concentration is 2.36 times higher than nitrate's, and major cations are ammonium, sodium and calcium ion. Monthly variation of sulfate and calcium concentrations are higher than the others. Ion concentration and rain pH were correlated negatively with rainfall amount. Major ions in rain samples were $SO_4^{2-}, NO_3^-, NH_4^+, Ca^{2+}$ and regression equations are proposed by multiple regression of measured data. Also, regression equation between air pollutants(T. S. P, $SO_2$) and $SO_4^{2-}, Na^+, K^+, Ca^{2+}, Mg^{2+} ions in rain samples were made. From this wer can predict rain pH.

  • PDF

구미하수처리장 방류구에서의 소수력발전 설치 및 운영에 관한 연구 (Feasibility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Small Hydro-Power Plants in Gumi Sewage Treatment Plant Discharge Point)

  • 나동훈;이승환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73-181
    • /
    • 201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ossible installation of small hydro-power plant at the discharge point of Gumi sewage treatment plant (STP) using treated wastewater. Sufficient amount of water to transfer to electric power and the selection of proper location are two essential elements for the construction of small hydro-power facility. Preliminary analysis based on site visit and existing data in Gumi STP were made. Capacity of the small hydro-power plants and exact location were determined by geomorphological condition and flow duration characteristics. Flow duration characteristics and its duration curve were identified using monthly rainfall data in Gumi STP. Relevant facts of small hydro-power system in other STP were referred to adopt to Gumi STP situation. Flowrate of treated effluents and effective head between flow chamber and the location of hydraulic turbine in Gumi STP are found to be $3.70m^3$/sec and 3.5m respectively. Electric generation rate based on this feasibility study was estimated to be 86.3kW/h. Yearly electric generation rate was expected to be 932.4MMh. Proposed small hydro-power plant construction in Gumi STP is to be reasonable.

BLRPM을 이용한 서울지점 시단위 강우의 월별 경년변화 연구 (A Study on The Monthly Trend of Seoul Hourly Rainfall Using BLRPM)

  • 황석환;김중훈;유철상;정성원;유도근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9년도 학술발표회 초록집
    • /
    • pp.1162-1166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공간상의 한 점에 대한 연속시간 강우모델로 시간단위의 통계특성을 재현하는데 유용하다고 알려진 BLRPM(Bartlett-Lewis Rectangular Pulse Model)을 이용하여, 측우기 자료를 포함하는 서울지점의 일강우 자료를 분해하고 지속시간별로 집성하여 모의된 시단위 단기 강우의 정량적 장기변화 특성을 분석해 보았다. 모의자료의 전이확률과 발생빈도 분석결과, 측우기 관측계열(CWK)에 비해 근대 우량계 관측계열(MRG)의 무강우 지속기간은 길어지고 강우지속기간은 짧아졌음을 알 수 있다. 이는 과거에 비해 근래의 강우지속기간이 짧아졌음을 의미하고, 근래 강우량의 양적증가와 같이 고려해 보면 근래의 강우강도가 과거보다 매우 높아졌음을 증명해 준다. 1960년대 전후로 구분한 자료계열(BCC와 ACC)에 대하여 지속시간별 모의 강우량의 평균과 분산의 비(증감률)를 월별로 비교한 결과, 전반적으로 9월이 증가의 정도가 가장 컸고 8월도 비교적 큰 증가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6월은 오히려 약간 감소한 경향을 나타냈다.

  • PDF

기상재해연구-태풍과 해난- (A Study on the Meteorological Disaster in Korean Waters)

  • 박종길;김유근;안영화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27권1호
    • /
    • pp.56-63
    • /
    • 1991
  • This paper aims to describe the relation between the weather condition, especially typhoon and a shipwreck in Korean waters. For this study, it was investigated the statistical characteristics of a shipwreck due to the weather, pressure patterns governing the shipwreck in Korean waters. and the relation between the intensity of typhoon and the amount of a disaster.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monthly occurrence frequency of a shipwreck was the heighest in July followed by February, March in descending order. 2) The pressure patterns governing the shipwreck were classified broadly into six types and pressure pattern which had most occurrence frequency of a shipwreck was Type V and then cames Type I, Type III and type IV in that order. 3) Occurence frequency of a shipwreck and the amount of a kinetic energy of typhoon have nothing to do with each other. In case of Wind-Typhoon that brought more a strong wind than a heavy rainfall, there were seriously affected ships and buildings by the win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