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nosodium L-glutamate

검색결과 46건 처리시간 0.03초

Production of Red Pigments by Monascus purpureus in Submerged Culture

  • Lee, Bum-Kyu;Park, No-Hwan;Piao, Hai-Yon;Chung, Wook-Jin
    • Biotechnology and Bioprocess Engineering:BBE
    • /
    • 제6권5호
    • /
    • pp.341-346
    • /
    • 2001
  • For the purpose of mass producing Monascus red pigments optimum medium composition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were investigated in submerged flask cultures. The optimum carbon and nitrogen sources were determined to be 30g/L of glucose and 1.5 g/L of monosodium glutamate (MSG). Of the three metals examined, Fe$\^$2+/ showed the strongest stimulatory effect on pigment production and some stimulatory effect was also found in Mn$\^$2+/. Optimum pH and agitation speed were determined to be 6.5 and 700 rpm, respectively. Under the optimum culture conditions batch fermentation showed that the maximum biomass yield and specific productivity of red pigments were 0.20 g DCW/g glucose and, 32.5 OD$\sub$500/g DCW$\^$-1/h$\^$-1/, respectively.

  • PDF

Optimization of Medium Composition for Lipopeptide Production from Bacillus subtilis N7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Luo, Yi;Zhang, Guoyi;Zhu, Zhen;Wang, Xiaohui;Ran, Wei;Shen, Qirong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52-59
    • /
    • 2013
  • The nutritional requirements for the maximum production of lipopeptides by Bacillus subtilis N7 (B. subtilis N7) were investigated and optimized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RSM) under shake flask fermentation. A one-factor-at-a-time experimental setup was used to screen carbon and nitrogen sources. A Plackett-Burman design (PBD) was employed to screen the most critical variables for lipopeptides production amongst ten nutritional elements. The central composite experimental design (CCD) was finally adopted to elucidate the composition of the fermentation medium. Statistical analyses (analysis of variance, ANOVA) of the results showed that KCl, $MnSO_4$ and $FeSO_4{\cdot}6H_2O$ were important components and that their interactions were strong. Lipopeptide production was predicted to reach 709.87 mg/L after a 60 h incubation using an optimum fermentation medium composed of glucose 7.5 g/L, peanut oil 1.25 g/L, $MgSO_4$ 0.37 g/L, $KH_2PO_4$ 0.75 g/L, monosodium glutamate 6.75 g/L, yeast extract and $NH_4Cl$ (5:3 w/w) 10 g/L, KCl 0.16 g/L, $FeSO_4{\cdot}6H_2O$ 0.24 mg/L, $MnSO_4$ 0.76 mg/L, and an initial pH of 7.0. Lipopeptide production ($706.57{\pm}3.70$ mg/L) in the optimized medium confirmed the validity of the predicted model.

(γ-Aminobutyric acid를 생산하는 Lactobacillus brevis AML15의 분리 및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Lactobacillus brevis AML15 Producing γ-Aminobutyric acid)

  • 신지원;김동걸;이용우;이형석;신기선;최충식;권기석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7호통권87호
    • /
    • pp.970-975
    • /
    • 2007
  • 국내해안의 젓갈과 김치류로부터 86종의 GABA 생산균주를 분리하였다. 분리된 균주들을 Thin layer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GABA 생성능이 우수한 AML15, AML45-1, AML72의 3종의 균주를 선발하였다. 선별된 3종의 균주의 아미노산 분석 결과 GABA 생성능이 가장 우수한 AML15 균주를 본 실험에 사용하였다. AML15의 분류학적 위치를 규명하기 위하여 16S ribosomal DNA 영역의 부분염기서열 분석을 실시하였다. 165 rDNA 분석결과 Lactobacillus brevis ATCC 367과 99%의 유사도를 나타내어 L. brevis AML15로 명명하였다. MRS 배지에 최종 전환 농도로 설정된 5%(w/v) monosodium glutamic acid를 첨가하고 배지의 초기 pH를 4.0, 5.0과 6.0으로 조정하여 배양한 결과 배지의 초기 pH가 5.0일 때 GABA 생성능이 가장 높게 조사되었다. GABA 생산배지에 GAD 효소활성에 조효소로 작용하는 PLP를 0. 10. 50과 100 ${\mu}M$의 농도로 첨가하여 아미노산 분석결과 PLP를 10${\mu}M$ 첨가하였을 때 10,424 $nM/{\mu}$l의 GABA가생산되었다. PLP를 첨가하지 않았을 때보다 PLP 첨가 후 GABA 생성이 증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레토르트파우치식품의 가공 및 품질안정성에 관한 연구(1) 레토르트파우치 진주담치 조미건제품의 제조 및 저장중의 품질안정성 (Studies on the Processing and Keeping Quality of Retort Pouched Foods (1) Preparation and Keeping Quality of Retort Pouched Seasoned-Dried Sea Mussel Products)

  • 이응호;정수열;구재근;권칠성;오광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55-362
    • /
    • 1983
  • 조미진주담치 건제품의 품질을 개선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진주담치를 원료로서 레토르트 파우치 조미진주담치건제품의 제조 및 저장중의 품질안정성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원료진주담치를 설탕 $1\%$, sorbitol $15\%$, glycerol $10\%$, 식염 $3\%$, monosodium glutamate $0.5\%$, 5-ribotide $0.5\%$ 및 물 $70\%$의 조미액에 $5^{\circ}C$에서 16시간 동안 침지시킨 다음 훈액처리($10\%$ Smoke EZ용액, 30초침지)한 후 가볍게 건조한다. 이것을 polyester/polyvinylidene chloride/말연신 polypropylene ($12{\mu}m/15{\mu}m/50{\mu}m$) 필름주머니를 사용하여 진공포장한 후 조리와 살균을 겸하여 열수순환식 레토르트에서 $120^{\circ}C$, 26분간 가열처리한 다음 급냉하여 레토르트 파우치 조미진주담치 건제품을 가공할 수 있었다. 이 제품은 $35^{\circ}C$에서 70일간 품질이 안정하게 유지되었으며, 특히 훈액처리조작은 제품의 색조와 향미를 개선하는 효과가 있었다.

  • PDF

Role of certain nutritional supplements and biological regulators in the epilepsy

  • Asif, Mohammad
    • 셀메드
    • /
    • 제3권4호
    • /
    • pp.29.1-29.11
    • /
    • 2013
  • Certain dietary contents, biological supplements might influence the occurrence or treatment of epilepsy. Some studies have found that the supplementation with individual nutrients reduced seizure frequency or improved other aspects of health in patients with epilepsy. Potentially beneficial dietary interventions include treating blood glucose dysregulations. Identifying and avoiding allergenic foods, and avoiding suspected triggering agents such as alcohol, aspartame, and monosodium glutamate. The Atkins diet (very low in carbohydrates) is a less restrictive type diet that may be effective in some cases. Nutrients that may reduce seizure frequency include vitamin B6, magnesium, vitamin E, manganese, taurine, dimethylglycine, and omega-3 fatty acids. Administration of thiamine may improve cognitive function in patients with epilepsy. Supplementation with folic acid, vitamin B6, biotin, vitamin D, and L-carnitine may be needed to prevent or treat deficiencies resulting from the use of anticonvulsant drugs. Vitamin K1 has been recommended near the end of pregnancy for women taking anticonvulsants. Melatonin may reduce seizure frequency in some cases, and progesterone may be useful for women with cyclic exacerbations of seizures. In most cases, nutritional therapy is not a substitute for anticonvulsant medications. However, in selected cases, depending on the effectiveness of the interventions, dosage reductions or discontinuation of medications may be possible. However, nutrient supplementation may be necessary to prevent or reverse the effects of certain deficiencies that frequently result from the use of antiepileptic drugs.

미생물 페니실린 아미다제에 관한 연구 (I) E. coli로부터 효소생산 조건의 최적화 (Studies on Microbial Penicillin Amidase ( I ) Optimization of the Enzyme Production from Escherichia coli)

  • Kim, Bong-Hee;Seong, Baik-Lin;Mheen, Tae-Iek;Moon H. Ban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29-34
    • /
    • 1981
  • 대장균으로부터 페니실린 아미다제의 생산을 최적화하기 위하여 배지조성 및 발효 중 효소생산에 미치는 제반영향들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최적배지조성은 3.5% 트립톤, 1.5% 글루타민산 소듐, 0.5% 이스트추출물 그리고 0.15%의 페닐초산이었다. 효소생산 유도물질로서 0.15%의 페닐초산을 발효초기에 가해줄 때 효소생산성이 약5배 증가하였다. 최적화된 배지 및 발효조건에서 발효 16시간만에 최대의 효소생산을 나타내었고 이때의 생산성은 약 102.5 units/l 발효액이었다. 이러한 최적조건에서 발효할 때 현재까지 보고된 효소생산성과 비교하여 상당한 생산능력의 향상을 보였다.

  • PDF

유청을 이용한 Bacillus subtilis와 Lactobacillus plantarum의 혼합발효를 통한 γ-aminobutyric acid와 생리활성물질 강화 (Fortification of γ-aminobutyric acid and bioactive compounds in whey by co-fermentation using Bacillus subtilis and Lactobacillus plantarum)

  • 김근영;임종순;이삼빈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0권6호
    • /
    • pp.572-580
    • /
    • 2018
  • 본 연구는 모짜렐라 치즈 제조과정에서 분리된 유청을 B. subtilis HA와 L. plantarum EJ2014의 혼합 발효를 통해 ${\gamma}$-PGA, GABA 등의 기능성 물질이 강화된 발효물을 생산하고자 하였다. 유청 B. subtilis 발효 1일차의 시료 분석결과, pH는 6.51, 산도는 0.32%, 생균수는 8.39 log CFU/mL을 나타냈으며, 점질물과 점조도는 각각 6.06%와 $4.09Pas^n$로 발효 전보다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2차 L. plantarum 발효를 통해 유청 혼합발효물의 최종 pH는 4.57까지 감소하였고 산도는 L. plantarum 발효 1일째 1.39%로 증가하여 최종 산도는 1.73%를 나타내었다. B. subtilis 생균수는 2차 L. plantarum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5.83 log CFU/mL까지 감소하였으나 L. plantarum 생균수는 5.73 log CFU/mL에서 L. plantarum 발효 1일째 9.08 log CFU/mL로 급격히 증가한 후 L. plantarum 발효 7일까지 유지하였다. TLC 정성분석한 결과 L. plantarum 발효 5일 이후 MSG가 모두 소진되어 GABA로 전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HPLC 정량분석으로 MSG는 L. plantarum 발효 초기 3.40%에서 L. plantarum 발효 7일째 거의 소진 되면서 혼합발효물의 GABA 함량은 2.21%를 보였다. 환원당과 젖당 함량은 각각 발효 전 11.07과 6.73%에서 L. plantarum 발효 7일째 각각 4.97과 3.68%로 크게 감소하는 것을 보였다. 타이로신 함량은 발효가 진행되는 동안 증가되어 L. plantarum 발효 7일째 38.24 mg%를 나타내었다. 단백질 가수분해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SDS-PAGE를 통해 발효 후 유청 단백질들이 대부분 가수분해되어 저분자화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유청의 발효 전후에 따른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 결과 ABTS $RC_{50}$값은 26.81 mg/g에서 발효 후 8.78 mg/g, DPPH $RC_{50}$값 또한 발효 전 17.58 mg/g에서 발효 후 10.38 mg/g으로 감소하면서 혼합발효를 통해 전자 공여능이 향상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고초균-젖산균의 순차적 복합 발효를 통한 복합 기능성 물질 함유 황칠나무 추출물의 생산 (Production of Dendropanax morbiferus extract containing multi-functional ingredients by serial fermentation using Bacillus subtilis HA and Lactobacillus plantarum KS2020)

  • 손수진;강혜미;박윤호;황보미향;이삼빈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38-148
    • /
    • 2024
  • 황칠나무 추출물의 순차적 복합발효를 통한 복합 기능성 물질들을 강화시킨 발효소재를 개발하였다. 황칠 추출물에 MSG와 glucose를 첨가한 후 1차 B. subtillis HA 발효를 통해 γ-PGA와 단백질 분해효소를 생성시켰다. 이후 skim milk와 glucose, yeast extract를 추가적으로 첨가하여 30℃에서 L. plantarum KS2020에 의한 2차 복합 발효를 통해서 기능성 물질인 GABA를 생산하였다. 황칠 추출물의 고초균 발효에서 생성된 점질물 및 점조도은 발효 2일 4.21±0.04 Pa·s, 4.1%±0.48%로 높은 점조도 값과 점질물을 함량을 보였다. pH 및 산도는 각각 8.9±0.01, 0.00±0.00이었으며 생균수는 7.27 log CFU/mL에서 발효 2일에 9.50 log CFU/mL로 높은 생균수를 보였다. 순차적 복합 발효가 진행되면서 고초균의 생균수는 4.30 log CFU/mL로 크게 감소하였으며 젖산균은 9.12 log CFU/mL로 증가하였다. Protease 활성 및 tyrosine 함량은 각각 0.8 unit/g, 57 mg%로 측정되었다. 이후 연속적 복합 발효 과정에서 발효 5일 차 106 mg% 정도로 증가되었으며, SDS-PAGE를 이용하여 casein 단백질이 분해된 것을 확인하였다. GABA 정성분석 결과 skim milk 5%만을 첨가한 조건을 제외하고 glucose, yeast extract가 추가로 첨가된 모든 조건에서 전구물질 MSG가 소진되면서 GABA로 전환되었다. 이중 최적 조건을 골라 정량분석을 진행하였으며 18.29 mg/mL의 GABA 함량을 나타내었다. 최종 황칠 복합 발효물은 γ-PGA, peptides, 고농도 GABA를 함유한 발효소재로써 다양한 식품의 원료 활용이 기대된다.

원유에서 분리한 Lactobacillus acidophilus RMK567의 GABA 생성 및 생리적 특성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GABA Production of Lactobacillus acidophilus RMK567 Isolated from Raw Milk)

  • 임상동;김기성;도정룡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5-23
    • /
    • 2009
  • 본 연구는 국내 각 지역의 목장에서 수거한 원유에서 분리된 젖산균을 대상으로 monosodium glutamate 1%가 첨가된 10% 환원탈지유에 $37^{\circ}C$에서 18시간 배양한 후 GABA 양이 $711.40{\mu}g/g$ D.W을 생산하는 우수한 균주를 선발하였다. 선정된 균은 Gram 양성, rod형태의 동종발효균이며, 당 발효실험과 16S rDNA 분석결과 Lactobacillus acidophilus로 판명되었고, L. acidophilus RMK567로 명명하였다. 발효유에 적합한 starter인지 확인하기 위해 생리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L. acidophilus RMK567은 배양온도 $40^{\circ}C$에서 빠른 생장을 보였고, pH 4.3에 도달하는데 15시간이 소요되었다. 16종의 항생제 중 kanamycin, neomycin, streptomycin에 대해 내성이 높았으며, 효소활성실험에서 leucine arylamidase와 ${\beta}$-galactosidase의 활성도가 높았다. 담즙 첨가시 약간의 영향을 받았으나 담즙에 대한 내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pH 내성 실험결과 pH 2에서 큰 변화가 없음에 따라 내산성이 있었다. 항균력 시험에서는 Escherichia coli에 대해 29.2%, Salmonella typhimurium와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해 각각 39.1%, 51.4%의 억제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GABA 생성능이 우수한 기능성 발효유 제품의 스타터로 L. acidophilus RMK567은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팽이 및 수경인삼 분말 및 요구르트 발효에 의한 γ-Aminobutyric acid (GABA)의 전환효율 증진 (Effect of Conversion Rate of γ-Aminobutyric acid (GABA) by Yogurt Fermentation with Addition of Nanoparticle Winter Mushroom and Hydroponic Ginseng)

  • 신평균;김희정;유영복;공원식;오연이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334-337
    • /
    • 2015
  • 팽이버섯 내에 존재하는 GAD 효소를 발효를 통해 활성화 시켜 MSG를 GABA로의 전환율을 높이고자 하였다. 효과적인 고농도 GABA를 생산하기 위해 나노분말 팽이버섯에다가 수경재배한 인삼을 첨가하여 야쿠르트발효기에서 발효한 결과 GABA 전환율은 팽이나노인삼분말 발효군(88%) > 팽이분말 발효군(52%) > 팽이나노분말 발효군(44%)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MSG를 기질로 첨가하는 식품에서 활용할 가치가 있으리라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