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noethanolamine(MEA)

검색결과 59건 처리시간 0.022초

MEA (monoethanolamine) 함침 메조포러스 물질을 이용한 CO2 회수 (CO2 Removal using MEA (monoethanolamine) Impregnated Mesoporous Materials)

  • 박예원;백일현;박상도;이재욱;박소진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5권6호
    • /
    • pp.573-581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MEA(monoethanolamine)를 함침한 메조포러스 물질을 이용하여 이산화탄소를 회수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MCM-41, MCM-48 및 SBA-15의 메조포러스 물질을 제조한 후 30, 50, 70 wt%의 MEA로 함침하였다. 함침한 메조포러스 물질의 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XRD, FT-IR, SEM, BET를 이용하였다. 이산화탄소 흡탈착 실험을 수행한 결과, 흡착량은 MCM-41>MCM-48>SBA-15 순으로 나타내었다. 최대 이산화탄소 흡착량은 50 wt% MEA 함침 MCM-41으로써 $40^{\circ}C$에서 $57.1mg-CO_2/gr-sorbent$이며, 이는 MCM-41과 비교할 때 8배 높았다. 그리고 20회 반복 흡탈착 실험 결과, 반복 실험에도 일정한 흡착능을 나타내었다.

Ni-Monoethanolamine 착염의 폴라로그라피- (A Polarographic Study of Nickel-Monoethanolamine Complex)

  • 손병영;양재현
    • 대한화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121-123
    • /
    • 1965
  • Ni(II)-Monoethanolamine(MEA)錯鹽의 水銀電極表面에 있어서의 還元反應의 反應機構를 폴라로그라프법을 써서 解明하였다. 이 錯鹽의 電極環元의 可逆程度를 直流 및 交流 폴라로그람으로 檢討하였더니 pH가 9.0보다 낮은 範圍에서는 錯鹽의 反應電流로 推測되는 非可逆性波를 나타니고 pH $9.5{\sim}11.0$ 사이에서는 Cd(II)波에 相當하는 比較的 可逆的인 well defined wave를 얻었다. MEA의 濃度와 pH를 變함으로서 얻은 波를 檢討한 結果 還元波는 이를 ligands와 빠른 平衡에 있는 Ni錯鹽에 基因하고 이 錯鹽의 化學式은 $Ni(MEA)_3OH$이고 總安定度常數는 約 $10^{20}$임을 밝혀내었다.

  • PDF

생물학적 방법에 의한 Monoethanolamine의 분해 연구 (Bacterial Degradation of Monoethanolamine)

  • 현준택;이인형;권성현;김동진;조대철
    • KSBB Journal
    • /
    • 제22권3호
    • /
    • pp.157-161
    • /
    • 2007
  • 본 연구는 수계에서의 생물학적 고찰이 거의 없었던 MEA 단독 물질을 전형적 활성슬러지와 Pseudomonas계 균주를 이용하여 분해특성을 분석한 것이다. 잠정적 결론으로서 첫째, MEA는 수계 유입 시 COD 및 $NH_4^+$ 농도의 상당한 증가를 유발하여 MEA는 $NH_4^+$로 78.1% 이상 전환되었다. 둘째, 공기 공급이 조절된 회분식 반응기에서 MEA 분해속도는 1000 mg/L에서 최대 19.23 mg/L/h, 고농도인 5000 mg/L에서 17.55 mg/L/h로서 미생물 순응이 담보되는 경우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순차적 순응단계를 거쳐 MLVSS가 상대적으로 작은 조건 (최대 820 mg/L)에서도 약 3개월간 안정적 장기 운전이 가능하였고, 최대 분해율은 약 95%였다. 넷째, $COD_{cr}$를 기초로 한 반응속도론 분석에 의하면 MEA 생분해는 1차 반응에 부합하였다. 향후 MEA의 생물학적 공법을 확립하기 위해 활성슬러지 시스템의 미생물 효소분석을 통해 순응단계를 최적화하는 연구를 수행할 계획이다.

Coverage-dependent adsorption behavior of monoethanolamine on TiO2 (110)

  • Sohn, So-Dam;Kim, Su-Hwan;Kwak, Sang-Kyu;Shin, Hyung-Joon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6년도 제50회 동계 정기학술대회 초록집
    • /
    • pp.126-126
    • /
    • 2016
  • Understanding adsorption behavior organic molecules at oxide surfaces is very important for the application of organic-inorganic hybrid materials. Recently, monoethanolamine (MEA) adsorbed on $TiO_2$ surface has received great interests because it can lower the work function of $TiO_2$ in photo-electronic devices such as OLED and solar cell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role of surface defects in adsorption behaviors of MEA at the rutile $TiO_2$ (110) surface by combined study of scanning tunneling microscopy and density functional theory calculations. Our results revealed that oxygen vacancy is the most stable adsorption site for MEA on $TiO_2$ (110) surface at low coverage. As coverage increases, the oxygen vacancies are occupied with the molecules and MEA molecules start to adsorb at Ti rows at higher coverages. Our results show that the defects at oxide surfaces and the intermolecular interactions are important factors for determining stable adsorption structure of MEA at $TiO_2$ (110) surfaces.

  • PDF

내부순환식 기포탑 반응기 상에서 MEA (monoethanolamine) 용액에 의한 이산화탄소 분리 및 메탄회수 (Methane Recovery and Carbon Dioxide Stripping by MEA Solution the Autocirculation Bubble Lift Column Reactor)

  • 이인화;김선일;박주영
    • 공업화학
    • /
    • 제18권3호
    • /
    • pp.239-244
    • /
    • 2007
  • 이산화탄소 분리 및 메탄 회수를 동시에 수행하기 위한 배출구가 두 개로 분리된 내부순환식 기포탑 반응기를 이용하여 $CO_2$ 분리용 흡수제인 모노에탄올아민(MEA)의 최적조건을 도출하였다. 5 wt% MEA 수용액에서 이산화탄소의 흡수 및 탈기 반응 시 pH 변화, 공기주입량에 따른 이산화탄소 탈기량 및 메탄 함량변화를 관찰하였다. 또한 액상수위 및 초기 MEA 흡수액 온도변화에 따른 이산화탄소 흡수 및 메탄 회수율을 측정하였다. 최적반응조건은 정상상태에서 액상수위 40 mm, 공기주입량은 1.5 L/min, 흡수액의 온도 $25^{\circ}C$이었다

부식억제제로 모노에탄올아민을 사용한 금속의 전기화학적 특성 (Electrochemistry Characterization of Metal Using Monoethanolamine as Corrosion Inhibitor)

  • 박근호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88-94
    • /
    • 2012
  • 순환전압전류법을 사용하여 전류-전압 곡선을 측정하였다. 전기화학적 특성과 금속의 표면상태간의 관계는 전자현미경(SEM)을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그리고 순환전압전류법에 의한 전기화학적 측정은 3 전극 시스템을 사용하였다. 측정 범위는 초기 포텐셜에서 -1350 mV까지 환원시키고, 연속적으로 1650 mV까지 산화시키고, 다시 초기지점으로 환원시켜 측정하였다. 스캔속도는 50, 100, 150, 200 및 250 mV/s를 선정하였다. 그 결과, 부식억제로 모노에탄올아민(MEA)을 사용하여 금속의 C-V 특성은 순환전압전류법으로부터 산화 전류에 기인한 비가역 공정으로 나타났다. 부식억제제로 MEA을 사용하였을 경우에는 전해질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확산계수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구리의 SEM 이미지를 보면, 전해질 농도를 증가시키면 표면부식은 증가하였다. 부식억제제로 $1.0{\times}10^{-3}M$ MEA를 첨가시키면, 전해질 농도 0.1 N의 경우 확산계수가 상대적으로 커서 부식억제 효과가 적었다.

모노에탄올아민 흡수제의 열화특성 분석 (Degradation of Aqueous Monoethanolamine Absorbent)

  • 조영민;남성찬;윤여일;문성준;백일현
    • 공업화학
    • /
    • 제21권2호
    • /
    • pp.195-199
    • /
    • 2010
  • 이산화탄소 포집을 위해 가장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방법은 알카놀아민인 모노에탄올아민(MEA) 용매를 이용한 가역적 화학흡수이다. 이러한 MEA 용매는 $CO_{2}$와 반응성이 우수한 반면 다른 흡수제에 비해 연소배가스에 포함되어 있는 이산화탄소, 산소 및 기타 산성가스들에 의한 흡수제의 성능저하, 부식 및 열화현상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정유공정의 스팀 리포밍공정으로부터 열화된 MEA 시료를 이용하여 연구되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흡수제인 MEA 용매와 열화된 용매의 성능을 비교 분석하였다. MEA 30 wt% 흡수제와 열화물(DP) 20 wt% + PZ 10 wt% 흡수제의 경우 흡수용량이 각각 $0.5365mol_{CO2}/mol_{absorbent}$$0.5939mol_{CO2}/mol_{absorbent}$로 증진제(PZ)에 의해 흡수능이 향상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반면 흡수속도는 MEA 30 wt% 흡수제가 $1.1610kg_{f}/cm^2{\cdot}min$로 열화물(DP) 20 wt% + PZ 10 wt% 흡수제의 $0.5310kg_{f}/cm^2{\cdot}min$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열화물 30 wt% 단독으로 사용하였을 때 $0.3525kg_{f}/cm^2{\cdot}min$보다는 향상되었다. 따라서 적합한 증진제의 선정을 통해 열화물도 $CO_{2}$ 흡수제로서 재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Analysis on Chemical Ingredients with Anti-microbial Activity in Water-based Metalworking Fluids

  • Park, Dong-Uk;Kim, Bok-Hwan;Lee, Kwon-Sup
    • 한국환경보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보건학회 2004년도 International Conference Global Environmental Problems and their Health Consequences
    • /
    • pp.217-222
    • /
    • 200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imate if the level of several chemical ingredients including alkanolamines or ethanolamines (EA) examined in the specific synthetic metalworking fluid (MWF) ‘A’ can cause anti-microbial activity and health effect. Three water-based MWF products (‘A’, ‘B’, and ‘C’) were studied every week for two months. Chemical ingredients such as formaldehyde, boron, EA, and copper were examined. In the sump where MWF ‘A’ was used, not only the total level of EA, monoethanolamine(MEA), diethanolamine(DEA) and triethanolamine(TEA), but also boron level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other MWFs. ANOVA statistical tests indicated that levels of pH, alkalinity, boron, MEA, DEA and TEA in MWF ‘A’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other MWF types. Correlation tests also found that levels of pH, alkalinity, boron, MEA, DEA and TEA in MWF ‘A’ are significantly correlated. We suggested the assumptions that excessive concentrations of EA, and borate at a high pH level, may cause anti-microbial resistance synergically. To demonstrate this assumption, additional study is need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s of microbes and excessive concentrations of EA, and borate at a high pH level.

  • PDF

Analysis on Chemical Ingredients with Anti-microbial Activity in Water-based Metalworking Fluids

  • Park, Donguk;Lee, Jonghang;Lee, Kwonsup
    • KSTLE International Journal
    • /
    • 제4권2호
    • /
    • pp.52-55
    • /
    • 2003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imate if the level of several chemical ingredients including alkanolamines or ethanolamines (EA) examined in the specific synthetic metalworking fluid (MWF) "A" can cause anti-microbial activity and health effect. Three water-based MWF products ("A", "B", and "C") were studied every week for two months (from June 1, 2002 to July 30, 2002). Chemical ingredients such as formaldehyde, boron, EA, and copper were examined. In the sump where MWF "A" was used, not only the total level of EA, monoethanolamine(MEA), diethanolamine(DEA) and triethanolamine(TEA), but also boron level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other MWFs. ANOVA statistical tests indicated that levels of pH, alkalinity, boron, MEA, DEA and TEA in MWF "A"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other MWF types. Correlation tests also found that levels of pH, alkalinity, boron, MEA, DEA and TEA in MWF "A" are significantly correlated. We suggested the assumptions that excessive concentrations of EA, and borate at a high pH level, may cause anti-microbial resistance synergically. To demonstrate this assumption, additional study is need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s of microbes and excessive concentrations of EA, and borate at a high pH level.

실험실 규모 이산화탄소 흡수장치의 연속운전시 모노에탄올아민 열화 특성 (Degradation of Monoethanolamine during Continuous Operation of a Laboratory Scale CO2 Absorption System)

  • 강지아;우원구;임호진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385-393
    • /
    • 2016
  • Oxidative and thermal degradation of alkanolamines for a promising $CO_2$ capture technology of absorption might cause decrease in $CO_2$ capture efficiency and formation of hazardous byproducts. In this study, characteristics of a representative absorbent of monoehtanolamine (MEA) were examined for a long term operation using a laboratory scale absorption system. An $CO_2$ absorption system with ID 56 mm and absorption zone height 100 cm was developed for the characterization. Absorption solution of 30 wt% MEA was circulated at 100 mL/min to treat air with 15% $CO_2$ and 1 ppm NO at 10 L/min. Temperatures of absorber and stripper were maintained at $40^{\circ}C$ and $120^{\circ}C$, respectively. For the course of 5 weeks continuous operation, MEA concentration was decreased approximately by 70% and $CO_2$ removal efficiency was dropped from 95% to 65%. Ionic byproducts of $NH_4{^+}$, $NO_2{^-}$, and $NO_3{^-}$ were accumulated up to 48 g/mL, 0.2 g/mL, and 1.5 g/mL, respectively, tracking the variation of MEA concentration. Formation of various organic byproducts were also ob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