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noecy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9초

성발현 연관 분자마커를 이용한 단성화 참외 선발 (Marker-Assisted Selection for Monoecy in Chamoe (Cucumis melo L.))

  • 방선웅;송기환;심성철;정상민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4권1호
    • /
    • pp.134-141
    • /
    • 2016
  • 멜론에서 개발된 단성화 연관 마커인 T1ex를 참외계통 선발에 적용하였다. T1ex 마커가 멜론에서는 단성화에 대해 두 가지 크기의 변이를 보였으나 참외에서는 단일 크기 변이를 보였고 하나의 계통을 제외한 나머지 105 계통에서 단성화와 양성화에 대한 표현형과 유전자형이 99% 일치함을 보였다. 또한 T1ex 단성화 연관마커의 MAS 적용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참외 품종 육성에 이용되고 있는 240개 개체 중 분자마커 선택법으로 선발된 98개체를 비교해 본 결과 표현형과 유전자형이 100% 일치하였고, 이형 유전자형을 조기에 효과적으로 제거 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멜론에서는 적용이 어렵다고 판단된 단성화 연관 마커 T1ex가 참외에서는 계통 육성과정에서 적용 가치가 매우 높다고 평가된다.

A rare duodichogamous flowering system in monoecious Toona sinensis (Meliaceae)

  • Lee, Hakbong;Kang, Hyesoon;Park, Wan-Geun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2권2호
    • /
    • pp.50-59
    • /
    • 2018
  • Background: Duodichogamy is the rarest form of dichogamy in angiosperms, which is characterized by flowering in the sequence of male${\rightarrow}$female${\rightarrow}$male. Disentangling factors promoting duodichogamy require the discovery of more duodichogamous species in angiosperms. However, extremely limited information on duodichogamous species makes it difficult to make general conclusions. Given the inflorescence morphology and flowering characteristics, the Meliaceae family is highly likely to contain duodichogamous species. Methods: We selected 48 individuals from 20 populations in Korea and investigated their flower morphology, arrangement of flowers by sexual condition within inflorescences, and flowering phases and duration of male and female flowers of Toona sinensis (Meliaceae) for 5 years (2011-2015) to determine if the species shows duodichogamous flowering. Results: Toona sinensis belonging to Meliaceae possessed functionally unisexual flowers with rudimentary parts of the opposite sex. The floral organs in male were larger than those in female, except for ovary length and width. In dichasium, male flowers were observed on primary or lateral branches, whereas female flowers were borne only on lateral branches. Overall, individuals from six different populations flowered in the male${\rightarrow}$female${\rightarrow}$male sequence, thereby male is blooming far longer than female flowers at the level of individual trees (male vs. female = 17-20 days vs. 2-4 days). Conclusions: This is the first study to report a duodichogamously flowering species, T. sinensis, within Meliaceae. Several flowering characteristics observed from T. sinensis may be important clues used to discover additional duodichogamous Meliaceae species. Short flowering period and relatively small number of female flowers, which is analogous to reduced ovule numbers observed in other duodichogamous species, may intensify male-male competition in T. sinensis. This study contributed to narrowing down potential candidates of duodichogamy based on their geographic distributions and flowering time.

한국산 나자스말속(Najas L.)의 수리분류학적 연구 (Numerical taxonomic study of Najas L. (Hydrocharitaceae) in Korea)

  • 나혜련;최홍근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26-140
    • /
    • 2012
  • 국내에 분포하는 나자스말속(Najas L.) 분류군의 형태적 변이를 파악하고 각 분류군의 식별형질을 검토하기 위하여 32개 정량형질을 이용하여 주성분분석을 수행하였다. 나자스말속의 분류군에서 잎의 너비, 엽초의 모양, 엽연의 거치수, 약실의 수, 한 줄에 배열하는 종자의 그물눈 수와 길이의 비 등이 유용한 식별형질로 파악되었다. 자웅이주인 민나자스말(N. marina)은 잎과 줄기, 수꽃과 암꽃, 열매가 대형으로서 자웅동주인 다른 분류군들과 뚜렷하게 구분되었다. 자웅동주인 분류군들 중에서 나자스말(N. graminea), 실나자스말(N. gracillima), 동아나자스말(N. orientalis)은 영양 형질에 의하여 식별이 가능하지만, 톱니나자스말(N. minor)과 큰톱니나자스말(N. oguraensis)은 수꽃에 있는 약실의 수에 의해서만 구분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