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lecular weights

검색결과 874건 처리시간 0.026초

키토산 및 키토산 올리고당의 김치 관련 미생물에 대한 항균 특성 (Antimicrobial Characteristics of Chitosan and Chitosan Oligosaccharides on the Microorganism related to Kimchi)

  • 김명희;오세욱;홍상필;윤석권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1439-1447
    • /
    • 1998
  • 키토산 및 키토산 올리고당의 김치관련 미생물에 대한 항균특성을 검토하였다. 분자량 및 탈아세틸화도가 다른 5종의 키토산을 조제하여 김치에 첨가한 후, 관능검사, pH 및 산도를 검토한 결과, C-4 및 C-5(탈아세틸화도 $92{\sim}99%$, 분자량 $16,700{\sim}32,000)$가 우수한 조직감을 나타내었고 숙성적기로 평가된 대조구의 pH 4.1, 산도 0.50% 시점에서 pH 4.9 및 산도 0.35%를 나타내었다. 한편, C-4 키토산(분자량: 16,000, 탈아세틸화도: 99%)으로부터 $5{\sim}7$량체의 함량이 높은 키토산 올리고당을 조제하고 B. subtilis, B. cereus, Pse. fluorescens, E. coli, Lac. plantarum, Leu. mesenteroides, Lac. brevis, Ent. faecalis에 대하여 항균력을 측정한 바, 3.0% (w/v) 키토산은 $9{\sim}20mm$, 5.0% (w/v) 키토산 올리고당은 $8{\sim}24mm$의 성장억제환을 나타내었으며 키토산의 MIC는 $0.01{\sim}0.05%$ (w/v), 키토산 올리고당의 MIC는 $0.05{\sim}0.2%$로 나타났다. C-4 키토산 및 키토산 올리고당은 또한 초기, 적기 및 후기의 김치 유래 총 microflora에 대해서도 항균력을 나타내었고 특히 적숙기의 microflora에 대해서 가장 강한 항균력을 보였다. 따라서 C-4 및 키토산 올리고당은 김치의 저장성 개선제로서 응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었다.

  • PDF

Feeding Effect of an Anabolic Steroid, Nandrolone, on the Male Rat Testis

  • Lee, Dong-Mok;Min, Tae-Sun;Choi, In-Ho;Cheon, Yong-Pil;Chun, Tae-Hoon;Park, Chang-Sik;Lee, Ki-Ho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3권12호
    • /
    • pp.1566-1577
    • /
    • 2010
  • Nandrolone, 19-nortestosterone, is a synthetic androgenic-anabolic steroid promoting muscle growth. Nandrolone is also present in pig meat and sera at non-negligible levels. A number of scientific reports have suggested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incidence of infertility and increased meat consumption in humans.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determine out the effect of feeding nandrolone on the testis of the male reproductive tract. Mixtures of food and nandrolone at different concentrations (0.005 ppm and 0.5 ppm) were supplied to pubertal male rats for 6 weeks. Body weight was recorded every week during the entire experimental period. At the end of the treatment, the testis, epididymis, and epididymal fat were collected and weighted. Sperm numbers in the caudal epididymis were counted. Differential gene or protein expression of steroidogenic enzymes in the testes among experimental groups was determined by semi-quantitative real-time PCR or western blotting analysis, respectively. Histological changes of the testis induced by nandrolone treatment were examined by hematoxylin and eosin staining. Immunohistochemical analysis was employed to detect changes in the localization of steroidogenic enzymes in the testes among experimental animals.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on body, testis, epididymis, and epididymal fat weights among experimental groups. A significant increase of caudal sperm number was found in the 0.5 ppm nandrolone-treated group. Histological examination of the testes noted a high frequency of germ cell sloughing in seminiferous tubules of 0.5 ppm nandrolone-treated rats. Even though transcript levels of $3{\beta}$-hydroxysteroid dehydrogenase (HSD) I, $17{\beta}$-HSD4, and $17{\alpha}$-hydroxylase were influenced by nandrolone treatments, protein levels of all molecules examined in the present study were not significantly affected. Immunohistochemical analysis showed no visible changes in the localization of steroidogenic enzymes in the testes among experimental groups. The current study showed that oral intake of nandrolone in male rats for 6 weeks did not cause significant damage to the testis. It is considered that a feeding effect of nandrolone on male fertility would not be remarkable.

Poly(4-vinylphenol)(PVPh)/Ethyl Acetate 및 PVPh/Butyl Acetate 용액계의 액-액 상평형 (Liquid-Liquid Equilibria of Poly(4-vinylphenol)(PVPh)/Ethyl Acetate and PVPh/Butyl Acetate Solutions)

  • 김미경;김기창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3권6호
    • /
    • pp.704-714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Poly(4-vinylphenol)(PVPh)/Ethyl Acetate 및 PVPh/Butyl Acetate 용액계의 액-액 상분리 거동을 TOA(thermal optical analysis)법으로 측정하고, 측정된 상분리 데이터를 PC-SAFT 상태방정식을 이용한 액-액 상평형 관계로 고찰하였다. 실험을 수행한 PVPh/Ethyl Acetate 및 PVPh/Butyl Acetate 용액계의 상분리 거동은 두 용액계 모두 LCST 형태의 거동을 보였고 상분리 온도는 고분자의 분자량이 증가함에 따라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또한 용매의 분자량에 의한 영향으로는 용매의 분자량이 적은 PVPh/Ethyl Acetate 용액의 상분리 온도가 PVPh/Butyl Acetate 용액의 경우보다 낮은 온도 영역에 분포하는 경향을 보였다. 한편, PVPh/Ethyl Acetate 용액에서 PVPh와 용매 분자간의 수소결합에 의한 교차회합도를 FT-IR 스펙트럼 분석법으로 측정하고, 측정된 교차회합도로부터 PC-SAFT 모델의 교차회합 파라미터를 추산하였다. 추산된 교차회합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PVPh/Ethyl Acetate 및 PVPh/Butyl Acetate 용액의 binodal curve와 spinodal curve를 계산하였으며, 계산된 binodal curve는 상분리 실험에서 측정된 상분리 온도(흐림온도) curve와 어느 정도 잘 일치하는 경향을 보였다.

Effect of Recombinant Lactobacillus Expressing Canine GM-CSF on Immune Function in Dogs

  • Chung, Jin-Young;Sung, Eui-Jae;Cho, Chun-Gyu;Seo, Kyoung-Won;Lee, Jong-Soo;Bhang, Dong-Ha;Lee, Hee-Woo;Hwang, Cheol-Yong;Lee, Wan-Kyu;Youn, Hwa-Young;Kim, Chul-Joo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9권11호
    • /
    • pp.1401-1407
    • /
    • 2009
  • Many Lactobacillus strains have been promoted as good probiotics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diseases. We engineered recombinant Lactobacillus casei, producing biologically active canine granulocyte macrophage colony stimulating factor (cGM-CSF), and investigated its possibility as a good probiotic agent for dogs. Expression of the cGM-CSF protein in the recombinant Lactobacillus was confirmed by SDS-PAGE and Western blotting methods. For the in vivo study, 18 Beagle puppies of 7 weeks of age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the control group was fed only on a regular diet and the two treatment groups were fed on a diet supplemented with either $1\times10^9$ colony forming units (CFU)/day of L. casei or L. casei expressing cGM-CSF protein for 7 weeks. Body weight was measured, and fecal and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from the dogs during the experiment for the measurement of hematology, fecal immunoglobulin (Ig)A and IgG, circulating IgA and IgG, and canine corona virus (CCV)-specific IgG.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body weights among the groups, but monocyte counts in hematology and serum IgA were higher in the group receiving L. casei expressing cGM-CSF than in the other two groups. After the administration of CCV vaccine, CCV-specific IgG in serum increased more in the group supplemented with L. casei expressing cGM-CSF than the other two groups. This study shows that a dietary L. casei expressing cGM-CSF enhances specific immune functions at both the mucosal and systemic levels in puppies.

Molecular Mechanism of Tetrabromobisphenol A (TBBPA)-induced Target Organ Toxicity in Sprague-Dawley Male Rats

  • Choi, Jae-Seok;Lee, Young-Jun;Kim, Tae-Hyung;Lim, Hyun-Jung;Ahn, Mee-Young;Kwack, Seung-Jun;Kang, Tae-Seok;Park, Kui-Lea;Lee, Jae-Won;Kim, Nam-Deuk;Jeong, Tae-Cheon;Kim, Sang-Geum;Jeong, Hye-Gwang;Lee, Byung-Mu;Kim, Hyung-Sik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27권2호
    • /
    • pp.61-70
    • /
    • 2011
  • Brominated flame retardants (BFRs) are present in many consumer products ranging from fabrics to plastics and electronics. Wide use of flame retardants can pose an environmental hazard, which makes it important to determine the mechanism of their toxicity. In the present study, dose-dependent toxicity of tetrabromobisphenol A (TBBPA), a flame retardant, was examined in male prepubertal rats (postnatal day 18) treated orally with TBBPA at 0, 125, 250 or 500 mg/kg for 30 days.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body weight gain between the control and TBBPA-treated groups. However, absolute and relative liver weight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high dose of TBBPA-treated groups. TBBPA treatment led to significant induction of CYP2B1 and constitutive androstane receptor (CAR) expression in the liver. In addition, serum thyroxin (T4) concentration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the TBBPA treated group. These results indicate that repeated exposure to TBBPA induces drug-metabolising enzymes in rats through the CAR signaling pathway. In particular, TBBPA efficiently produced reactive oxygen species (ROS) through CYP2B1 induction in rats. We measured 8-hydroxy-2'-deoxyguanosine (8-OHdG), a biomarker of DNA oxidative damage, in the kidney, liver and testes of rats following TBBPA treatment. As expected, TBBPA strongly induced the production of 8-OHdG in the testis and kidney. These observations suggest that TBBPA-induced target organ toxicity may be due to ROS produced by metabolism of TBBPA in Sprague-Dawley rats.

제초제 Thiobencarb 처리에 의한 수도품종간 단백질 유형의 변화 (Protein Patterns of Rice(Oryza sativa L.) Cultivars as Affected by Herbicide Thiobencarb)

  • 김학윤;김길웅;신동현;김건우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54-361
    • /
    • 1996
  • Thiobencarb 처리에 의한 수도품종의 내성 정도를 조사하고 내성 메카니즘을 연구하기 위하여 내성 및 감수성 품종간의 단백질 함량, SDS-PAGE에 의한 단백질 유형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본 시험에 공시한 5개 품종 중 IR 10198-66-2와 IR 9660-50-3-1은 온실 및 실내실험에서 공히 thiobencarb에 대하여 내성을 보였으며 IR 22, IR 31802-48-2-2, IR 20656-R-R-R-6-1은 제초제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생장이 크게 억제되어 감수성을 나타내었다. Thiobencarb 처리에 의한 단백질의 함량은 내성 및 감수성 품종간에 뚜렷한 차이를 보였는데 감수성 품종의 단백질 함량은 제초제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크게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내성품종의 경우 감소가 거의 없었다. SDS-PAGE에 의한 단백질 밴드는 내성 품종의 경우 5ppm 처리에서도 변화가 없었으나 감수성 품종은 5ppm 처리에서 94-30 kD 사이와 14.4kD 부근의 단백질 밴드가 사라지는 경향을 보였다. Thiobencarb 3ppm을 처리한 감수성 품종인 IR 22의 2차원 전기영동에 의한 단백질 패턴에서는 14.4kD와 55kD 부근의 spot가 사라지거나 density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상의 단백질 함량과 유형의 변화로 미루어 보아 thiobencarb 처리는 감수성 품종의 특정 단백질 합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벼의 thiobencarb에 대한 내성은 이 부위의 단백질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유기산에 의해 가수분해된 알긴산에서 폴리만뉴론산과 폴리글루론산을 분리하는 간단한 방법 (A Simple Method for Isolation of Polymannuronate and Polyguluronate from Alginate Hydrolyzed by Organic Acids)

  • 이동수;신명교;변재형;이진우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34-39
    • /
    • 2009
  • 분자량이 1,283 kDa인 알긴산을 0.4 M 유기산을 사용하여 $100^{\circ}C$에서 3시간 반응시켜 가수분해하였다. 유기산에 의하여 가수분해된 알긴산의 분자량은 7.5에서 53.2 kDa이었다. 유기산으로 가수분해된 알긴산을 구성하는 만뉴론 산과 글루론산의 비율은 가수분해하지 않은 알긴산과 비교하여 큰 차이가 없었다. 사용한 유기산 중에서 알긴산을 가수분해하는 가장 효과적인 유기산은 초산이었다. 사용한 초산의 농도 및 반응시간이 증가할수록 가수분해된 알긴산의 분자량은 감소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가수분해된 알긴산의 분자량과 초산의 농도 및 반응시간과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관계식을 구하였다. 초산으로 가수분해한 알긴산의 pH를 조절하여 폴리만뉴론산과 폴리글루론산을 분리하였다. 초산과 반응하는 시간이 증가할수록 폴리만뉴론산에 존재하는 만뉴론산의 비율은 증가하였다. 폴리만뉴론산에 존재하는 만뉴론산의 비율은 $100^{\circ}C$에서 0.4 M 초산과 1시간, 3시간 및 5시간 반응하였을 경우에 각각 75%, 90% 및 98%이었다.

김치유래 Pichia속 효모가 생산하는 $L-galactono-{\gamma}-lactone\;oxidase$의 분리 정제 및 특성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L-galactono-{\gamma}-lactone$ Oxidase in Pichia sp. Isolated from Kimchi)

  • 오지영;한영숙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1135-1142
    • /
    • 2003
  • 본 연구는 김치의 발효 말기에 비타민 C의 증가 현상을 조사하였으며, 이는 김치 발효 후기에 생육하는 효모에 의한 현상으로 미생물인 효모에서 비타민 C 생합성 경로를 밝히기 위해 수행된 것으로 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김치의 숙성에 따른 pH와 총 산함량의 변화는 김치가 숙성되면서 pH는 담금 초기 5.29에서 숙성 33일에 pH 3.50으로 감소되었고, 총 산함량은 담금 초기 0.24%에서 숙성 33일에 2.48%로 증가되었으며, 비타민 C의 함량을 측정한 결과 발효 3일째까지 점점 상승하다 감소되었으나, 발효 15일째는 19.58mg%로 초기 함량보다 다소 높게 측정되었다. 김치의 PG 활성은 김치 숙성초기에는 낮았으나, 김치 숙성 10일 이후부터 증가되어 발효 13일에는 15.4unit/mg protein으로 PG활성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김치에서 분리된 효모 중 배양액의 비타민C의 함량이 높게 측정된 효모를 선별하였으며, 동정결과 Pichia onychis, Pichia rabaulenis, Pichia jadinii, Candida humilis로 각각 동정되었다. 분리, 동정된 효모 중 비타민 C생성량이 가장 높았던 Pichia onychis 16-4 균주로부터 비타민 C 합성 조효소액을 추출하였으며, specific activity는 7.26unit/mg protein로 나타났다. 최종 정제 시 효소활성은 4,698unit/mg protein으로 나타나 처음보다 647.10배로 농축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정제된 효소액의 분자량은 31,000, 39,000, 50,000 KD으로 3개의 subunits를 갖는 것이 확인되었다. 정제된 효소는 $L-galactono-{\gamma}-lactone$를 최적 기질로 사용하였으며 $35^{\circ}C$에서 pH 7.8일때 최적활성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 정제된 효소는 산소를 전자수용체로 하는 $L-galactono-{\gamma}-lactone$ oxidase임을 알 수 있었다.

상어육(肉)중의 수분유지제(水分維持劑) 침투(浸透) (Penetration of Some Humectants into Shark Muscle)

  • 이종수;구재근;차용준;이응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475-481
    • /
    • 1984
  • 상어육을 시료로 하여 sucrose, sorbitol, glycerol, propylence glycol등 4 종류의 수분유지제(水分維持劑) 용액 중에서 침투량을 측정하였다. 또한 침투에 미치는 수분유지제(水分維持劑) 농도 및 온도의 영향을 검토하고 침투속도식을 유도하였다. 상어육을 10% 수분유지제(水分維持劑) 용액에 침지할 때는 10시간 전후, 30% 용액에서는 7 시간 정도에서 거의 평형에 도달하였다. 수분유지제(水分維持劑) 종류에 따른 침투 속도는 분자량이 작을수록, 온도가 높을수록 빨랐다. 그리고한종류의 수분유지제(水分維持劑)를 10%로 하여 침지할 경우와 여러종류의 수분유지제(水分維持劑)를 각각 10% 되도록 혼합한 용액에 침지할 경우 침투속도에는 차이가 없었다. 상어육을 10% 및 30% 용액에 침지할 경우 수분유지제(水分維持劑) 침투량은 다음의 회귀직선식으로 예측가능 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M\;=\;a\;{\log}(c{\cdot}t)\;+\;b$$ (M : 침투량, t : 침지시간, c : 수분유지제(水分維持劑)농도, a, b : 상수)

  • PDF

대복피로부터 항보체 활성다당의 추출, 정제 및 그 특성 (Extraction, purification and properties of anti-complementary polysaccharide from Arecae Pericarpium)

  • 권경섭;신광순;조홍연;양한철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5권4호
    • /
    • pp.308-314
    • /
    • 1992
  • 선별과정 중 가장 높은 항보체 활성을 보였던 대복피를 대상으로 활성물질의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추출 및 정제를 행하였다. 대복피를 열수추출, methanol 환류 및 ethanol 침전을 행한 후, 투석 및 동결건조를 거쳐 활성획분 AC-1을 얻었는 바, 이들은 총당 48.2%, 산성당 14.6%, 단백질 36.8%로 구성되어 있었고 주구성당으로 rhamnose, arabinose, mannose 및 galactose를 함유하고 있었다. 이들은 다시 cetavlon(cetyltrimethylammonium bromide) 처리에 의해 AC-2, AC-3, AC-4로 분획되었으며 특히 AC-2의 경우 활성과 수율면에서 우수 하였다. 이들은 periodate 산화에 의해 활성의 감소를 일으킨 반면 pronase 소화에 의해서는 활성의 변화가 없는 특성을 보여 주었다. 더우기 AC-2는 DEAE-Toyopearl 650C($Cl^-$형) 및 Sephadex G-100을 이용한 연속적인 column chromatography를 통하여 활성이 우수한 AC-2-IIIa와 AC-2-IIIc로 분획되었으며 전자의 경우 rhamnose, mannose, galactose 및 glucose가, 후자의 경우 mannose, galactose 및 glucose가 주구성당이었다. 이들 활성다당들은 gel 여과 및 전기영동 결과, 순수한 물질임이 확인되었으며 이들의 분자량은 각각 120,000 및 15,000 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