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lecular bands

검색결과 497건 처리시간 0.026초

Molecular Survey of Latent Pseudorabies Virus Infection in Nervous Tissues of Slaughtered Pigs by Nested and Real-time PCR

  • Yoon Hyun A;Eo Seong Kug;Aleyas Abi George;Park Seong Ok;Lee John Hwa;Chae Joon Seok;Cho Jeong Gon;Song Hee Jong
    • Journal of Microbiology
    • /
    • 제43권5호
    • /
    • pp.430-436
    • /
    • 2005
  • In this study, the prevalence and quantity of a latent pseudorabies virus (PrV) infection in the nervous tissues of randomly selected pigs was determined via nested and real-time PCR. The nervous tissues, including the trigeminal ganglion (TG), olfactory bulb (OB), and brain stem (BS), were collected from the heads of 40 randomly selected pigs. The majority of the nervous tissues from the selected pigs evidenced a positively amplified band on nested PCR. In particular, nested PCR targeted to the PrV glycoprotein B (gB) gene yielded positive results in all of the BS samples. Nested PCR for either the gE or gG gene produced positive bands in a less number of nervous tissues ($57.5\%$ and $42.5\%$, respectively). Real-time PCR revealed that the examined tissues harbored large copy numbers of latent PrV DNA, ranging between $10^{0.1}\;and\;10^{7.2}(1-1.58{\times}10^7)$ copies per $1{\mu}g$ of genomic DNA. Real-time PCR targeted to the PrV gE gene exhibited an accumulated fluorescence of reporter dye at levels above threshold, thereby indicating a higher prevalence than was observed on the nested PCR ($100\%$ for BS, $92\%$ for OB, and $85\%$ for TG). These results indicate that a large number of farm-grown pigs are latently infected with a field PrV strain with a variety of copy numbers. This result is similar to what was found in association with the human herpes virus.

간흡충의 cysteine 단백분해효소의 세포독성 (Cytotoxicity of a cysteine proteinase of adult Clonorchis sinensis)

  • Hyun PARK;Man Young KO;Moon Kee PAIK;Ching Thack SOH;Jang Hoon SEO;Kyung-il IM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3권3호
    • /
    • pp.211-218
    • /
    • 1995
  • 간흡충의 병원성과 단백분해효소 활성도의 상관성을 밝히기 위하여 간흡충 추출물과 분비배설물 의 단백분해효소 활성도와 세포독성을 평가하였고 분비배설물에서 단백분해효소를 부분정제하고 생화학적 성질을 규명하였다. 여러 가지 단백분해효소 억제제를 사용하여 단백분해효소의 활성을 측정한 결과 간흡충에는 Rf값을 서로 달리하는 효소분획으로 되어있음이 관찰되었으며. 이러한 효소 분획은 azocasein을 기질로 한 활성부위 잔기 억제 실험에서 서로 상이한 활성부위잔기를 갖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간흡충 분비배설물의 세포독성은 단백질 농도를 $120\mu\textrm{g}/ml$까지 증가시키자 세포독성이 3배 증가했고. 이 효과는 NEM과 ntipain에 의해 억제되었다. 이 사실은 cysteine 단백 분해효소가 세포독성에 관여하는 것을 보여주고 있었다 이 단백분해효소는 최적활성치가 pH 7.5 이었다. 이 효소를 분비배설물로부터 23배 정제하였고 이때 회수율은 14.5%이었다. 부분정제한 단백분해효소의 분자량은 24 kDa이었다. 이 효소는 NEM, antipain에 의해 효소활성이 억제되었고, 동시에 세포독성도 억제되었다. 이 사실로부터 부분정제한 효소의 활성부위잔기는 cysteine이고 이 효소가 또한 분비배설되어 세포독성을 나타낸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Bacillus subtilis JK-56이 생산하는 chitinase isozyme의 정제와 특성 규명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he chitinase from Bacillus subtilis JK-56)

  • 전홍기;김낙원;정영기
    • 생명과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77-86
    • /
    • 2002
  • 토양으로부터 chitinase를 생성하는 균주를 분리하여 동정한 결과 Bacillus subtilis로 판명되었으며, 분리한 균주를 Bacillus subtilis JK-56이라 명명하였다. B. subtilis JK-56의 chitinase 생산 최적 조건을 검토한 결과 1% chitin, 0.5% polypeptone, 0.1% KCI, 0.05% MnS $O_4$.4$H_2O$이며 초발 pH 7.0, 배양온도 37$^{\circ}C$에서 가장 많은 효소를 생산하였다. 본 균주가 생산하는 chitinase를 정제하기 위해서 native-PAGE를 이용해 효소활성 band를 확인한 결과, 1개의 강한 활성 band와 2개의 약한 활성 band를 가지는 isozyme으로 확인되었다. 확인된 isozyme을 정제한 결과, isozyme 중 1개의 강한 활성 band를 정제하였고 정제된 효소를 Chi-56A라고 명명하였다 Chi-56A의 효소 특성에 관해서 실험한 결과 분자량은 약 53kDa, pI는 4.3으로 확인되었다. 본 효소는 $65^{\circ}C$까지 상당히 안정하였으며 효소의 최대활성 온도도 $65^{\circ}C$로 확인되는 등 열에 대해 상당히 안정한 효소로 확인되었다. Collidal chitin에 대한 정제효소 Chi-56A의 $K_{m}$ 값은 17.33g/L였다. 그리고 pH 6.0에서 최대의 활성을 나타내었고, 산성범위보다 알칼리범위에서 안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Mn^{2+}$ 존재 하에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고 C $O^{2+}$$Mg^{2+}$ 존재 하에서도 활성이 약간 증가한 반면에 H $g^{2+}$ 존재 하에서는 상당한 저해를 받았다. Chito 올리고당에 대한 분해 산물을 HPLC로 확인해 본 결과 짝수개의 올리고당의 분해산물은 (GlcNAc)$_2$만을 생산하였고 홀수개의 올리고당에 대해서는 GlcNAc와 (GlcNAc)$_2$를 생산하는 것으로 비환원성 말단으로부터 이당체인 diacetyl chitobiose ((GlcNAc)$_2$)를 생산하는 exo형 chitinase로 추정 된다.

Nuclear polyhedrosis virus의 polyhedrin 아미노산 및 polyhedrin gene 염기서열 분석 (The amino acid analysis of polyhedrin and DNA sequence of ployhedrin gene in nuclear polyhedrosis virus)

  • 이근광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37-46
    • /
    • 1995
  • H. cunea nuclear polyhedrosis virus (HcNPV) 의 polyhedrin 아미노산 및 polyhedrin gene 의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Polyhedrin 은 SDS-PAGE 상에서 3개의 polypeptide band 가 나타났고 주요 polypeptide 는 약 25 Kd 의 분자량을 갖고 있었다. 또한 polyhedrin 은 17 개의 다른 아미노산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HcNPV DNA를 EcoRI 효소로 절단하여 $\alpha^{32}P$로 labelling 된 Autographa californica (AcNPV) polyhedrin gene cDNA 의 probe DNA를 이용하여 hybridization 한 결과 polyhedrin gene은 EcoRI 절편들중 H 절편에 양성반응을 나타냈다. 또한 polyhedrin gene 을 포함하고 있는 EcoRI-H 절편을 pUC8 벡터에 cloning한 다음 이를 hPE-H라고 이름하였다. HcNPV genome DNA 의 promoter 부위를 sequence한 결과 TATA box의 염기배열은 polyhedrin gene 전사 개시위치로부터 위쪽으로 -79 bp 의 5' flanking 부위에서 발견되었다. polyhedrin gene 내 CAAT box는 TATA box 측면 염기 배열에서 나타나지 않았고, 4개의 tandem repeat 5'-CTAATAT-3' 와 5'-TAAATAA-3'의 염기는 polyhedrin gene내 전이 개시 위치로 부터 위쪽으로 -141 과 -108 bp 또는 -83 bp 부위에 존재하였으며, 다른 하나는 전이 개시위치로 부터 아래쪽으로 -52 bp 부위에서 발견되었다. 그리고 polyhedrin gene 내 전이 개시위치로 부터 위쪽으로 -141 bp 부위는 다량의 AT (78%) 염기가 존재하였다. 또한 polyhedrin 의 개시 coding region 은 ATG 였고 종결 coding region은 TAA 였다.

  • PDF

RAPD Marker를 이용한 Hedera속 식물의 다양성 조사 (Assessment of Genetic Diversity of Hedera spp. Using RAPD Marker Technique)

  • 정미순;정연화;이자현;최정근;김광수;한태호
    • 화훼연구
    • /
    • 제16권1호
    • /
    • pp.28-35
    • /
    • 2008
  • Hedera helix 11계통, Hedera rhombea 3계통, Fatshedera lizei 1계통, 그리고 Fatsia japonica 1계통을 수집하였다. RAPD primer 10개를 이용하여 수집된 3속의 재료들의 유전적 다양성을 측정하였다. 3속을 재료로 사용하여 밴드간 96.9%의 높은 다형성을 보였다. 총 97개의 RAPD 밴드를 이진화하여 UPGMA 방법을 이용하여 계통도를 작성하였다. Hedera helix 계통들은 모두 1개의 그룹에 속하였으며 8계통의 유전적 거리는 극도로 적었으며 나머지 3계통 역시 유전적으로 가까웠다. 하지만 형태적으로는 높은 다형성을 보였다. 따라서 수집된 유전자원을 이용한 돌연변이체 개발이 가능성이 있는 방법으로 제시되었다. Fatsia japonica는 유전적으로 관계성이 적어 다른 종들과 평균 0.63의 유전적 거리를 보였다. Hedera helix와 Fatsia japonica 속간 교배를 통하여 개발된 Fatshedera lizei는 Hedera rhombea 계통들과 함께 계통도에서 위치하였다.

Peniophora sp. JS17 유래 멜라닌 탈색 효소 생산을 위한 배지 조성의 최적화 (Optimization of Media Composition on the Production of Melanin Bleaching Enzyme from Peniophora sp. JS17)

  • 손민정;김연희;남수완;전숭종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250-258
    • /
    • 2019
  • 삼림지역의 고목에서 분리한 Peniophora sp. JS17 균주는 사람 머리카락 유래 멜라닌을 탈색하는 세포 외 분비효소를 생산했다. JS17 균주는 laccase 및 manganese peroxidase 활성을 나타냈지만 lignin peroxidase 활성은 나타내지 않았다. 본 균주를 회분배양한 결과 멜라닌 탈색 활성은 laccase 활성으로부터 유래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Peniophora sp. JS17 균사체로부터 멜라닌 탈색 효소를 생산하기 위한 배지 조건을 조사하였다. 다양한 합성 배지 중에서 minimal medium (2% glucose, 0.2% malt extract, 0.1% $KH_2PO_4$, 0.4% $MgSO_4{\cdot}7H_2O$)이 가장 높은 laccase 활성을 나타내었다. Laccase 생산에 대한 배양 조건을 최적화하기 위하여 minimal medium의 조성 중에서 탄소원 및 질소원에 대한 영향을 조사하였다. 다양한 탄소원 및 질소원 중에서 각각 2% xylose 및 0.4% tryptone의 경우에 가장 높은 laccase 활성을 나타내었다. Ammonium sulfate 침전 및 Hitrap Q Sepharose column을 이용하여 정제한 효소는 SDS-PAGE에서 약 70 kDa의 분자량 부근에 2종류의 isozyme 형태로 존재 하였다. 멜라닌 탈색율은 HBT 및 syringaldehyde의 존재하에서 48시간 만에 각각 77% 및 55%를 나타내었고, mediator가 없는 조건에서는 9%의 멜라닌 탈색율을 나타내었다.

Multiplex SSR마커를 이용한 느타리(Pleurotus ostreatus) 품종 판별 (Identification of Pleurotus ostreatus cultivars with the application of multiplex-simple sequence repeat markers)

  • 최종인;정화진;나경숙;오민지;김민근;류재산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76-80
    • /
    • 2021
  • 느타리 품종구분을 위한 마커의 개발을 위하여 곤지7호의 어버이 일핵 균사중의 하나인 MT07156-97의 전체 유전자 염기서열을 바탕으로 제작한 251개의 SSR 프라이머를 제작하였다. 우선적으로 수한1호, 곤지7호, 흑타리 품종에 다형성 여부를 관찰하여 20개의 SSR을 선발하고, 이를 10개 품종에 적용하였다. 단일의 프라이머로는 일부 품종이 구분되지 않았으므로, 선발된 프라이머 간의 다양한 조합(multiplex 방식)을 적용한 결과 모든 품종을 판별할 수 있는 분자마커 다형성을 보인 프라이머 "166+115" 조합을 선발하였다. 별도로 프라이머 115와 166가 만들어 낸 산술적인 유전자좌(loci) 31개보다 12개 많은 40개의 유전자좌가 증폭되어 다양한 품종에 특이적인 분자마커를 제공할 수 있었다. 개발된 분자마커는 종균의 품질관리, 품종의 판별, 신품종 보호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한국 마늘 Potexvirus의 cDNA 유전자 분리 및 분포에 관한 연구 (Identification of a Potexvirus in Korean Garlic Plants)

  • 송종태;최진남;송상익;이종섭;최양도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8권1호
    • /
    • pp.55-62
    • /
    • 1995
  • 한국 마늘 바이러스의 유전자 구조와 병 발생 메카니즘을 연구하기 위하여, 바이러스가 감염된 마늘잎으로부터 바이러스 입자를 분리하고 RNA를 추출하였다. 그 virus RNA를 이용하여 마늘 바이러스 cDNA 유전자 은행을 만들어 일부 clone의 염기 서열을 결정하였다. 여기에서 얻은 cDNA clones 중에서 poly(A) tail을 갖는 clone S81를 분리하고 873 bp의 전체 염기서열을 결정하였다. Clone S81의 염기서열을 다른 식물 바이러스와 비교한 결과 potexvirus의 껍질단백질 부분의 염기서열과 $30{\sim}40%$의 유사성을 보여주었다. Clone S81은 바이러스 RNA의 3' 말단 부위에 해당하고, 껍질단백질의 N-terminal 3개 아미노산이 빠진 open reading frame (ORF) 및 3'-noncoding region을 포함하고 있다. 3' 말단 부분에는 바이러스 복제과정에서 cis-acting element로 작용한다고 여겨지는 hexamer motif와 polyadenylation signal이 존재한다. 이 clone을 probe로 하여 Northern blot을 실시한 결과 genome의 크기는 7.5 knt라는 것을 알 수 있었고 clone S81은 potexvirus의 cDNA clone이라는 결론을 얻었다. 한국 마늘에서 이 바이러스의 분포 양상을 알아보기 위해 껍질단백질에 대한 항체를 만들었다. 먼저 발현벡터를 이용하여 대장균에서 대량으로 발현시키고 affinity chromatography로 껍질단백질을 정제하였다. 그 단백질을 토끼에 주사하여 껍질단백질에 대한 항체를 얻었다. 이 항체를 사용하여 다양한 지역에서 재배되는 마늘잎의 추출액에 대해 immunoblot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분자량 29,000과 27,000 위치에서 signal을 보였다. 분자량 27,000 단백질이 29,000이 분해되어 생긴 산물인지 알아보기 위하여 그 추출액을 $37^{\circ}C$에서 시간을 달리하여 incubation한 후 immunoblotting하였다. 그 결과도 마찬가지로 같은 위치에서 signal을 보여줬다. 따라서 한국 마늘에는 재배되는 지역에 따라 다소 다르기는 하지만 대체로 두 종류의 potexvirus로 감염되어 있다고 추정된다.

  • PDF

Helicobacter pylori 항원을 이용한 면역우유의 항체특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Characteristics of Antibody from Milk Immunized with Some Helicobacter pylori Antigen)

  • 박창호;예은주;김수정;배만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619-625
    • /
    • 2005
  • 본 연구는 위염, 위궤양, 위림프종 및 위암과 같은 소화기 질환의 원인균으로 알려진 H. pylori균을 항원으로 하여 젖소에 면역시킨 후 생산된 우유의 항원 항체의 특이성, H. pylori균 응집력, 항체의 산과 알칼리 및 열에 대한 안정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Anti-H, pylori항체의 SDS-PAGE에 의한 분자량측정 결과 heavy chain은 50 kDa 정도, light chain은 24 kDa 정도로 확인되었다. H. pylori 항원 단백질의 분자량을 측정 한 결과 12개의 band가 확인되었고, anti-H, pylori의 항원 특이성을 알아보기 위해 western blotting을 한 결과 혈청, 혈청정제, 유청, 유청정제 모두 7개의 항원성 물질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주 항원성 물질은 분자량이 97, 66, 34 kDa이었다. 유청내 anti-H. pylori 특이 항체의 항균작용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실시한 균응집 반응결과 H. pylori 균에 대해 1/10의 높은 응집가를 나타내었다. 우유 및 유제품 생산시 발생할 수 있는 산${\cdot}$알칼리 및 열에 대한 anti-H, pylori항체의 안정성 실험결과 $pH5\~10$범위에서 안정한 상태로 $100\%$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Anti-H, pylori 항체의 열에 대한 안정성 실험에서는 $60^{\circ}C$에서 60분간 안정한 상태를 보였고, $70^{\circ}C$에서도 비교적 안정한 상태였으나 60분 경과 후 $40\%$정도 활성이 감소하였다. $80^{\circ}C$에서는 4분간 처리 했을 때 $77\%$의 활성을 유지하였고, $100^{\circ}C$에서도 1분간은 비교적 안정한 상태였다.

삼척과 원산의 지리적 민들조개(Gomphina aequilatera, Sowerby) 집단의 유전적 변이 (Genetic Variations in Geographic Venus Clam(Gomphina aequilatera, Sowerby) Populations from Samcheok and Wonsan)

  • 김종래;정창호;김용호;윤종만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0권4호
    • /
    • pp.227-238
    • /
    • 2006
  • 한반도의 동쪽에 위치해 있는 삼척(venus clam from Samcheok; VCS)과 원산(venus clam from Wonsan; VCW) 지역에서 채취된 민들조개(Gomphina aequilatera)에서 genomic DNAs(gDNAs)를 분리 추출하였다. 증폭산물은 primer agarose 전기영동법에 의해서 생성되었고, EtBr에 의해서 염색된 이후에 자외선에 의해서 확인되었다. 150 bp에서 2,400 bp에 해당되는 shared loci, polymorphic 및 specific loci를 얻기 위해서 BION-21, BION-23, BION-25, BION-27, BION-29, BION-31 및 BION-33와 같은 7개의 primer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7개의 primer는 VCS 민들조개 집단에서 147개의 polymorphic loci(147/954 loci, 15.41%)와 VCW 집단에서 274개의 polymorphic loci(274/996 loci, 27.51%)를 확인하였다. 이것은 VCS 민들조개 집단에서 보다 VCW 집단에서 더 높은 유전적 변이를 나타내고 있다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 특히 BION-21 primer에 의해서 나타난 700 bp는 민들조개 2개 집단에서 공통적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러한 것은 집단이나 종을 확인할 수 있는 marker로서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이러한 특이한 primer는 개체, 종 및 집단에서 서로 다른 DNA 다형성을 나타내며, 개체나 집단을 확인하는 데 유용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개 민들조개 집단의 개체들을 비교해 보았을 때 SAMCHEOK no. 03와 WONSAN no. 22에서 가장 긴 유전적 거리(0.696)를 나타내었다. 3개의 genetic groupings and dendrogram을 포함한 complete linkage cluster analysis을 통해서 볼 때 지리적 거리가 있었지만 삼척과 원산 2 민들조개 집단의 개체 정체성과 다소 가까운 친척관계를 확인시켜 주었다. 분자적인 표지인자로부터 얻어진 종내 분류와 clustering analyses은 패각 크기, 패각 형태 및 패각 색깔과 같은 형태적인 형질을 기초한 재래적인 종 분류를 지원하고 있다. 따라서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RAPD 분석은 VCS 민들조개 집단이 VCW 집단과 어느 정도 차이가 있다는 것을 확인시켜 주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