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lar

검색결과 4,056건 처리시간 0.039초

희유한 상악 제3대구치의 일예 (A RARE CASE OF THE MAXILLARY THIRD MOLAR)

  • 유영세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14권7호
    • /
    • pp.591-593
    • /
    • 1976
  • A rare case of the third molar on the site of right maxilla has observed from a 25 years old Korean female before and after extraction. The characteristics were as following ; 1. The morphology of third molar crown had resemblance to maxillary second molar, and sizes were smaller than G.V. Black's mearsurments. 2. In occlusal view, lingual cusp was largest and distolingual cusp was not seen, and decayed to the extent of degreei. 3. Numbers of root were 5 and they were not fused.

  • PDF

Remediation Groundwater contaminated with chromate using Micellar - enhanced ultrafiltration(MEUF)

  • 양지원;백기태;김보경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발표회
    • /
    • pp.306-309
    • /
    • 2002
  • Micellar-enhanced ultrafiltration was investigated to remediate groundwater contaminated with chromate using a cationic surfactant, cetylpyridinium chloride (CPC). Removal of chromate was expressed as a function of molar ratio of CPC to chromate. With 10 molar ratio of CPC, removal efficiency of chromate was reached to over 99%. The rejection of CPC was 90% at 1 molar ratio, gradually increased as the molar ratio increased.

  • PDF

Incidence of the Fourth Canal in Maxillary and Mandibular First Molars

  • Seo, Jeong-Il;Hwang, Ho-Keel
    • 대한치과보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치과보존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대회(제116회) 및 13회 Workshop 제3회 한ㆍ일 치과보존학회 공동학술대회 초록집
    • /
    • pp.574.1-574
    • /
    • 2001
  • Maxillary first molar, the "6-year molar", is the tooth largest in volume and most complex in root and root canal anatomy. Therefore, maxillary first molar is possibly the most treated, least understood. It is the posterior tooth with the highest endodontic failure rate and unquestionably one of the most important teeth. The earliest permanent posterior tooth to erupt, the mandibular first molar seems to be the most frequently in need of endodontic treatment.(omitted)

  • PDF

서울시내 D국민학교 아동의 상악및 하악제일대구치의 치아건강지수 (DENTAL HEALTH INDEX OF UPPER AND LOWER FIRST PERMANENT MOLAR OF D PRIMARY SCHOOL CHILDREN IN SEOUL)

  • 최구영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16권3호통권106호
    • /
    • pp.196-198
    • /
    • 1978
  • Statistically inquiring into dental health index of upper and lower first permanent molar for 1520 pupils of primary school in seoul. I got a conclusion as follows: 1. Lower first permanent molar was lower than upper first permanent molar in dental health index and conversely in DMF rate. 2. Elder pupils were lower than younger pupils in dental health index and conversely in DMF rate.

  • PDF

Thermodynamic Properties of Caffeine in Compressed Gas

  • 김정림;경진범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16권5호
    • /
    • pp.432-436
    • /
    • 1995
  • The solubility of caffeine in compressed carbon dioxide has been measured to determine its fugacity coefficient between 330 and 410 K up to 500 bar. The result allows the calculation of the thermodynamic excess functions such as the molar excess enthalpy, the molar excess free energy, and the molar excess entropy. The pressure variations of the molar excess functions of caffeine in the caffeine-CO2 mixture were discussed and also compared them with those in the caffeine-NH3 mixture.

하악 제1, 2대구치 단일 임플란트의 생존율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success rate of single implant replacing the mandibular first and second molars)

  • 정택균;팽준영;조진현;이상한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252-260
    • /
    • 2013
  • 연구 목적: 치과 임플란트가 소개된 이후로 단일 치아 상실에 따른 임플란트 수복에 관한 성공적인 연구 결과들이 보고되고 임상적으로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구강내의 다양한 부위에 따른 연구들이 있어 왔으나, 교합력이 강한 구치부 특히 하악 구치부에서 단일 임플란트에 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는 하악의 제1대구치와 제2대 구치 부위에 식립된 단일 임플란트의 생존율에 관해 연구,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 및 방법: 2002년부터 2009년까지 대구광역시 소재의 7개 치과의원에서, 하악 제1, 2대구치에 단일 임플란트 치료를 받은 환자 284명에게 식립된 308개의 임플란트를 대상으로 하였다. 하악 제1대구치에 168개의 임플란트가 식립되었고, 하악 제2대구치에 140개의 임플란트가 식립되었다. 이들 임플란트는 식립위치, 환자의 성별, 연령, 임플란트의 직경 및 길이에 따라 분석하였다. 결과:하악 제1대구치에서는 4개의 임플란트가, 하악 제2대구치에서는 10개의 임플란트가 실패하였다. 하악 제1대구치에서는 97.6%, 하악 제2대구치에서는 92.9%의 성공률을 나타내었다. 환자의 연령, 성별, 식립방법, 임플란트의 직경 등에 따른 차이는 관찰할 수 없었다. 결론: 하악 제1대구치 단일 임플란트의 생존율은 하악 제2대구치 단일 임플란트의 생존율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는 하악 제2대구치 부위의 골질이 좋지 않고, 하악의 해부학적인 구조로 인해 하악 제2대구치 부위에 과도한 교합력이 가해질 우려가 있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일부 대학생의 상악 대구치 임상치관의 형태와 크기 (Morphology and Size of Clinical Crowns of Permanent Maxillary Molars in College Students)

  • 전은숙;이정화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7호
    • /
    • pp.285-296
    • /
    • 2010
  • 이 연구는 상악 대구치 임상치관의 형태 및 크기를 계측하기 위해 건강한 영구치열을 갖는 C보건대학생 100명을 대상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임상치관의 교두높이, 치관폭, 치관두께는 좌우 대칭관계를 보였다. 2. 협면구의 강한 발육은 우측 제1대구치에서 우세함을 보였고, 협면소와는 우측 제1대구치에서 높은 출현률을 보였다. 3. 4교두형은 좌 우측 제1대구치에서 100%, 좌 우측 제2대구치에서 각각 78%, 75%로 나타났다. 4. 4교두형일때 원심설측교두 크기는 좌, 우 대칭관계를 보였다. 5. 교두정간 거리는 좌 우측 제1,2대구치 모두 근심 교두정간 거리가 컸다. 6. 카라벨리 교두의 발달은, 좌 우측 모두 제1대구치에서 높은 발육을 보였다. 7. 사주융선의 출현률은 우측 제1대구치에서 87.0%, 우측 제 2대구치에서는 73.0%의 출현율을 보였고, 좌측 제1대구치에서는 88.0%, 좌측 제2대구치에서는 73.0%로 이는 제1대구치에서 약한 치관우식증을 가지고 있는 사람 때문인것으로 사료되었다. 8. 근심변연융선결절 출현율은 좌 우측 모두 제1대구치에서 높은 출현율을 보였다. 원심부 결절은 우측 제1대구치에서 16.0%, 우측 제 2대구치에서 26.0%였고, 좌측 제1대구치에서 14.0%, 좌측 제2대구치에서 21.0%의 출현율을 보였다.

상악 제1대구치 이소 맹출의 예측 인자 (Predictive Factors of Ectopic Eruption of the Maxillary First Permanent Molar)

  • 선지민;남옥형;김미선;이효설;최성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284-291
    • /
    • 2016
  • 본 연구는 이소맹출한 상악 제1대구치의 자율적 수정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는 진단적 기초를 제공하기 위하여 정상군과 가역성과 비가역성 이소맹출의 차이점을 비교 평가하고자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상악 제1대구치와 인접치아 간의 장축과 교합평면간의 각도를 파노라마상에서 측정하였고, 제2유구치의 교합관계도 조사하였다. 이소맹출군과 정상군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지만(p < 0.05), 가역성과 비가역성 이소맹출군 간에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 > 0.05). 제2유구치와 제1대구치 그리고 제2대구치 치배 간의 각도는 정상군에 비해 이소맹출 군에서 작은 값을 보였으며, 근심 계단형이 이소맹출군에서 더 높은 빈도로 관찰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상악 제1대구치의 이소맹출은 상악 제1대구치와 제2대구치 치배의 각도와 관련이 있으며, 이소맹출한 상악 제1대구치는 상악 저성장의 3급 부정교합 환자에서 보다 빈번하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중간지대치가 포함된 고정가공의치의 지대치 주위조직에서 발생하는 응력에 관한 광탄성학적 연구 (A PHOTOELASTIC STUDY OF THE STRESS DISTRIBUTION IN THE SURROUNDING TISSUES OF THE FIXED PARTIAL DENTURE WITH INTERMEDIATE ABUTMENT)

  • 조광헌;최부병;박남수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55-69
    • /
    • 198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stress distributions of the fixed partial denture with five unit intermediate abutment. This fixed partial denture was attached to a three dimensional photoelastic epoxy resin model. Three dimensional photoelastic models were used, with the stress areas recorded photographically. A vertical load was applied to the second molar, which is the most posterior abutment of the fixed partial denture. Similarly, a vertical load was applied to the first molar because this tooth receives the heaviest masticatory load. These loads were added to two types of fixed partial denture. the rigid connector, and the nonrigid connector which was connected on the distal side of the intermediate abutment by a key and keyway device. After the stress patterns in surrounding tissues were observed,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as follows: 1. When the vertical load was applied to the first and second molars on the occlusal surfaces, the surrounding tissues of the roots of the canine, the second premolar, and the second molar were all compressive stresses. 2. When the vertical load was applied on the occlusal surface of the second molar, the tissue surrounding the roots of the canine, the second premolar, and the second molar all showed more stresses with the nonrigid connector than with the rigid connector. 3. When the vertical load was applied to the occlusal surface of the first molar, the stress concentration on the canine and the second molar was similar, whether the rigid or nonrigic connectors were used. However, on the second premolar, the stress concentration shown by the nonrigid connector was noticeably more than that shown by the rigid connector. 4. Whether the rigid or nonrigid connectors were used, when the load was placed on the first molar, the stress concentration on the canine and the second premolar was greater than that observed for the second molar. When the load was placed on the second molar, the load affected the second molar more than the canine and the second premolar.

  • PDF

비가역성 이소맹출로 분류된 상악 제1대구치의 맹출 특성에 관한 방사선학적 연구 (RADIOGRAPHIC STUDY OF ERUPTION CHARACTERISTICS FOR UPPER PERMANENT 1ST MOLAR CLASSIFIED AS IRREVERSIBLE ECTOPIC ERUPTION)

  • 임엘;이상호;이난영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556-562
    • /
    • 2009
  • 이소맹출은 유전적 요인 혹은 여러 가지 국소적 요인에 의해 치아가 비정상적인 위치로 맹출하는 경우를 말한다. 이소맹출이 가장 빈번히 발생하는 치아는 상악 제1대구치로 이를 방치할 경우 인접치의 치근흡수 및 이에 따른 조기탈락으로 영구치 맹출공간 부족을 야기하며, 결과적으로 부정교합을 유발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그러나, 치료에 앞서 이소맹출중인 치아가 자발적으로 맹출하기를 기다려볼 것인지 혹은 조기에 치료를 하여 제2유구치의 치근흡수나 탈락을 예방해야 할 것인지에 대한 결정이 선행되어야 한다. 현재 이를 위한 몇몇 진단학적 기준이 제시되고 있으나 학자간 이견이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방사선학적 검사를 통해 상악 제1대구치의 이소맹출이 조기 발견된 증례들 중 전방에 위치한 제2유구치의 치근이 흡수되어 비가역적 특징을 보인다고 판단되는 증례에 대해 특별한 처치 없이 주기적인 검진을 통해 자발적으로 해소된 결과를 관찰하였다. 이와 함께 상악 제2유구치 치근흡수의 정도와 상악 제1대구치의 맹출 기울기에 따른 후향적 분석을 통해 상악 제1대구치 이소맹출의 유형을 예측하고자 하였다. 상악 제2유구치의 치근 흡수 정도에 따라 grade I에서 IV로 분류하였고,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 상에서 양측 안와의 최하방점을 연결한 수평선과 상악 제1대구치의 근심면을 따라 연결한 수직선을 기준으로 하여 근심각(mesial angle)을 측정하였다. 결과적으로는 상악 제2유구치의 치근 흡수 정도보다 상악 제1대구치의 맹출 기울기가 이소맹출의 유형을 진단하는 데에 있어 더 신뢰할만한 기준이라고 판단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