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xed strains

검색결과 340건 처리시간 0.026초

맥아 당화액을 이용한 유산균음료의 제조에 관한 연구 (Studies on Preparation of Lactic Acid Fermented Beverages from a Malt Syrup)

  • 유태종;이주원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57-62
    • /
    • 1982
  • 맥아당화액과 탈지유의 단독 및 혼합배지에 젖산균을 배양시켜 적응성 여부를 보고, 시제품(試製品)을 관능검사로 비교 검토하여 그 결과를 아래와 같이 요약하였다. 1. 맥아당화액의 당도가 $10^{\circ}Bx$일 때 유산균의 생육이 가장 좋았다. 2. 맥아당화액에 효묘추출물(0.5%), sodium citrate(0.08%)를 첨가하여 젖산균을 배양한 결과 산도의 증가가 현저하게 나타났다. 3. 맥아당액에서 배양적성이 좋은 젖산균주들은 L. acidophilus, L. plantarum, L. lactis, L. bulgaricus-S. thermophilus 등 이였으며 그중에서 L. lactis가 가장 우수하였다. 4. L. lactis의 단독 starter와 L. lactis+S. diacetilactis를 혼합한 starter를 제조하여 활력을 비교하였을 때 L. lactis의 starter가 비교적 높았으나 관능적인 면에서는 L. lactis+S. diacetilactis의 혼합 starter가 좋았다. 5. 배지를 탈지유, 맥아당액, 탈지유+맥아당액(1 : 1)으로 구분하여 유산균을 배양하면서 시간에 대한 pH 및 산도, 균수측정을 한 결과, pH에서의 변화는 탈지유가 제일 높았고, 탈지유+맥아당액의 경우는 맥아당액과 흡사하였다. 산도와 균수에서는 맥아당액이 가장 열등하였으며, 탈지유+맥아당액은 탈지유배지만을 사용한 경우와 별 차이가 없었다. 6. 시제품(試製品)을 관능검사를 통하여 비교하였을 때 탈지유와 탈지유+맥아당액배지를 사용한 것(발효유타입)사이에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P{\leqq}0.05)$, 맥아당액(유산균음료타입)의 경우는 열등하였다. 그러나, 맥아당액의 유산균음료 시제품(試製品)과 시중의 유산균음료와 비교하였을 때 관능적인 차이는 없었다.

  • PDF

THE EFFECT OF MONOMER TO POWDER RATIO ON POLYMERIZATION SHRINKAGE-STRAIN KINETICS OF POLYMER-BASED PROVISIONAL CROWN AND FIXED PARTIAL DENTURE MATERIALS

  • Kim, Sung-Hun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5권6호
    • /
    • pp.735-742
    • /
    • 2007
  • Statement of problem. Although a number of previous investigations have been carried out on the polymerization shrinkage-strain kinetics of provisional crown and fixed partial denture (FPD) materials, the effect of the changes of liquid monomer to powder ratio on its polymerization shrinkage-strain kinetics has not been reported.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liquid monomer to powder ratio of polymer-based provisional crown and FPD materials on the polymerization shrinkage-strain kinetics. Material and methods. Chemically activated acrylic provisional materials (Alike, Jet, Snap) were investigated. Each material was mixed with different liquid monomer to powder ratios by volume (1.0:3.0, 1.0:2.5, 1.0:2.0, 1.0:1.5, 1.0:1.0). Time dependent polymerization shrinkage- strain kinetics of all materials was measured by the bonded-disk method as a function of time at $23^{\circ}C$. Five recordings were taken for each ratio. The result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one-way ANOVA and the multiple comparison Scheffe test at the significance level of 0.05. Trends were also examined by linear regression. Results. At 5 minutes after mixing, the polymerization shrinkage-strains of all materials ranged from only 0.01% to 0.49%. At 10 minutes, the shrinkage-strain of Alike was the highest, 3.45% (liquid monomer to powder ratio=1.0:3.0). Jet and Snap were 2.69% (1.0:2.0) and 1.58% (1.0:3.0), respectively (P>0.05). Most shrinkage (94.3%-96.5%) occurred at 30 minutes after mixing for liquid monomer to powder ratio, ranging from 1.0:3.0 to 1.0:1.0. The highest polymerization shrinkage-strain values were observed for the liquid monomer to powder ratio of 1.0:3.0. At 120 minutes after mixing, the shrinkage-strain values were 4.67%, 4.18%, and 3.07% for Jet, Alike, and Snap, respectively. As the liquid monomer to powder ratio increased, the shrinkage-strain values tend to be decreased linearly (r=-0.769 for Alike, -0.717 for Jet, -0.435 for Snap, $r^2=0.592$ for Alike, 0.515 for Jet, 0.189 for Snap; P<0.05). Conclusion. The increase of the liquid monomer to powder ratio from 1.0:3.0 to 1.0:1.0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shrinkage-strain kinetics of polymer-based crown and FPD materials investigated. This increased the working time and decreased the shrinkage-strain during polymerization.

Acephate, Demeton-S-methyl 저항성계통(抵抗性系統) 복숭아혹진딧물에 대(對)한 살충제간(殺蟲劑間)의 연합독작용(連合毒作用) (Synergistic Action of Insecticide Mixtures to the Green Peach Aphid(Myzus persicae Sulz.) Resistant to Acephate and Demeton-S-methyl)

  • 최승윤;김길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151-157
    • /
    • 1987
  • 유기인계(有機燐系) 살충제(殺蟲劑) 도태저항성계통(淘汰抵抗性系統)(acephate, demeton-S-methyl) 복숭아혹진딧물(Myzus persicae Sul.)을 공시(供試), acephate, cypermethrin, demeton-S-methyl, pirimicarb 상호혼합(相互混合)의 연합독작용(連合毒作用)을 검토(檢討)하여 아래와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acephate 도태저항성계통(淘汰抵抗性系統)에 대(對)한 acephate: demeton-S-meyl 혼합(混合)에서는 1:1 혼합비(混合比)에서 최대(最大)의 협력효과(協力效果)를 나타내었다. 2. acephate 도태저항성계통(淘汰抵抗性系統)에 대(對)한 acephate: pirimicarb의 혼합(混合)에서는 유사작용(類似作用) 내지 독립작용(獨立作用)만 관찰되었을 뿐 협력작용(協力作用)은 관찰되지 못하였다. 3. acephate 도태저항성계통(淘汰抵抗性系統)에 대(對)한 acephate: cypermethrin의 혼합(混合)에서는 혼합비(混合比)에 관계(關系)없이 모두 길항작용(拮抗作用)을 나타내었다. 4. demeton-S-methyl 도태저항성계통(淘汰抵抗性系統)에 대(對)한 demeton-S-methyl: acephate, demeton-S-methyl: pirimicarb 혼합(混合)에서는 각각(各各) 2:3, 3:2 혼합비(混合比)에서 최대(最大)의 협력효과(協力效果)를 나타내었다. 5. demeton-S-methyl 도태저항성계통(淘汰抵抗性系統)에 대(對)한 demeton-S-methyl: cypermethrin의 혼합(混合)에서는 1:1 혼합비(混合比)에서 최대(最大)의 협력효과(協力效果)를 나타내었다.

  • PDF

쑥 추출물을 이용한 향균 및 김서림 방지에 관한 연구 (Study on Antibacterial and Anti-Fogging using mugwort extract)

  • 배상대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4호
    • /
    • pp.599-604
    • /
    • 2020
  • 코로나 19 이후 향균에 대한 인식이 많아 달라졌다. 외출 후의 손세정은 필수사항이 되었다. 또한 마스크 착용에 따라 안경에 김서림이 많이 발생한다. 이 문제점은 지금까지의 일상생활에 많은 불편함을 야기하고, 향균과 김서림 방지에 대한 우리들의 인식을 바꾸게 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쑥 추출물을 이용하여 향균 및 김서림 방지에 효과가 있는지 연구를 하였다. 쑥 추출물을 얻기 위해 쑥의 건조과정, 알코올 추출과정, 동결건조과정을 거쳤다. 쑥 추출물과 3:7로 혼합된 징크옥사이드, 천연제올라이트 혼합물을 사용하여 향균성 테스트를 실시하였으며, 쑥 추출물과 기타 혼합물을 사용하여 김서림 방지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향균성 테스트에서 시험균주로 사용된 E. coli와 K. pneumoniae의 경우 갯쑥추출물 1% 첨가배지부터 세균이 배양되지 않아 대표적인 그람음성균에 대한 항균력이 확인되었다. 김서림 방지 테스트에서 쑥 추출물 10wt% 혼합물이 고온부와 저온부 모두 매우 양호한 결과를 나타냈다. 우리는 쑥 추출물이 향균과 김서림 방지에 효과가 있어 코로나 19를 극복하는데 많은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프로바이오틱 유산균의 바이오제닉 아민 분해능에 영향을 미치는 배양 조건 (Incubation conditions affecting biogenic amines degradation of probiotic lactic acid bacteria)

  • 임은서
    • 미생물학회지
    • /
    • 제53권4호
    • /
    • pp.273-285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프로바이오틱 유산균이 생산한 항균물질에 의한 바이오제닉 아민 생성균의 제어 효과와 박테리오신 및 유기산의 항균 활성에 영향을 미치는 배양 조건을 조사하였다. Lactobacillus plantarum FIL20 (64 AU/ml) 및 Lactobacillus paracasei FIL31 (128 AU/ml)의 박테리오신 용액은 Serratia marcescens CIH09과 Aeromonas hydrophilia RIH28에 각각 강한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고 FIL20과 FIL31 균주로부터 얻은 배양 상등액 내에 유산 함유량은 각각 $107.3{\pm}2.7mM$$129.5{\pm}4.6mM$로 나타났다. 따라서 L. plantarum FIL20과 L. paracasei FIL31이 생산한 박테리오신 용액(200 AU/ml) 및 배양 상등액($200{\mu}l/ml$)의 처리에 의해 S. marcescens CIH09 및 A. hydrophilia RIH28의 균수 및 히스타민과 티라민의 생성량을 유의하게 감소시켰다(P < 0.05). 초기 pH (5.0)와 배양 온도($15^{\circ}C$)가 낮은 조건 하에서 CIH09 균주가 생산한 히스타민과 티라민의 생성량은 L. plantarum FIL20이 생산한 박테리오신 용액이나 배양 상등액 처리에 의해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또한 식염 5% 혹은 아질산 칼륨($200{\mu}g/g$)과 FIL20 유산균의 항균물질을 혼용한 경우 바이오제닉 아민을 생성하는 세균의 균수와 유해 아민 함량을 유의하게 감소시켰다(P < 0.05). 결론적으로 L. plantarum FIL20과 L. paracasei FIL31의 박테리오신 및 유기산 용액은 허들 테크놀로지에 적용하여 바이오제닉 아민 생성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생물학적 보존제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전통 발효 된장으로부터 분리된 바이오제닉 아민 생성 바실러스균에 대한 유산균의 항균 활성 (Antibacterial activity of lactic acid bacteria against biogenic amine-producing Bacillus spp. isolated from traditional fermented soybean paste)

  • 임은서
    • 미생물학회지
    • /
    • 제54권4호
    • /
    • pp.398-409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된장으로부터 바이오제닉 아민 생성 바실러스균과 박테리오신 생산유산균은 16S rRNA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동정하였고, 이들 균주들의 혼합 배양으로 제조한 청국장의 이화학적 및 미생물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총10종의 시료로부터 바이오제닉 아민을 생성하는 바실러스균은 Bacillus licheniformis DB102, B. subtilis DB203, B. stearothermophilus DB206, B. pumilus DB209, B. subtilis DB310, B. coagulans DB311, B. cereus DB313, B. amyloliquefaciens DB714, B. amyloliquefaciens DB915, B. licheniformis DB917, B. cereus DB1019, B. subtilis DB1020, B. megaterium DB1022로 동정되었다. 바이오제닉 아민 생성 바실러스균에 대해 항균 활성을 나타낸 박테리오신 생산균은 Lactobacillus plantarum DLA 205, L. brevis DLA501, L. fermentum DLA509, L. acidophilus DLA703 및 Enterococcus faecalis DLA804로 확인되었다. 유산균의 박테리오신은 농도의존적으로 바이오제닉 아민 생성균의 생균수 및 아민 생성능을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따라서 유해 아민 생성균에 대한 항균 활성을 나타낸 유산균의 증식에 따라 유산균과 바실러스균을 혼합 배양하여 제조한 청국장의 pH, 암모니아태 질소 함량 및 바이오제닉 아민 함량은 대조구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아위버섯균의 생리적 특성 (The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Pleurotus ferulae Lanzi)

  • 김대식;채정기;위계문;윤대령;오득실;장경수;손한길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88-96
    • /
    • 2004
  •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국내외에서 수집된 아위버섯 4균주(F-1, F-2, F-3, F-4)를 공시하여 우량 균주를 선발한 결과 균사생장이 빠르고 균사밀도가 좋은 F-2 균주를 선발하였다. 선발된 아위버섯균은 MYPA배지에서 균사생장이 가장 좋았으며, 균사생장 최적 온도는 $25{\sim}30^{\circ}C$이며 $30^{\circ}C$에서 가장 빨리 자랐다. 그리고 균사배양 최적 산도는 pH 5.0~6.0 이었다. 아위버섯균의 균사생장을 위한 최적배지조성은 탄소원에서는 다당류인 soluble starch이고 그 다음으로는 maltose였으며, 최적 탄소원인 soluble starch의 적정농도는 1%(w/w)였다. 질소원에서는 yeast extract 0.25%(w/w), malt extract 0.25%(w/w)를 혼합하였을 때 가장 빠른 생장속도를 보여주었으며, malt extract 만을 첨가하였을 때는 균사생장이 극히 부진하였다. 아위버섯균의 현미경 관찰 결과 일부 세포벽의 박벽화와 침식 현상이 관찰되었지만, 이 같은 현상이 광범위하게 관찰되지 않았다는 점에서 아위버섯균에 의한 리기다소나무재의 분해는 매우 미미한 것으로 사료된다. 아위버섯균에 의해 분해된 리기다소나무재의 편광현미경 관찰 결과 일부 세포의 S3에서 복굴절성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아위버섯균이 부분적으로 셀룰로스를 분해하고 있음이 관찰되었다. 그러나 이 같은 복굴절성이 소멸되는 가도관은 많지 않아 아위버섯균에 의한 리기다소나무재의 셀룰로스의 분해 역시 크지 않았음을 보여주고 있다. 아위버섯균의 졸참나무재의 분해결과 리기다소나무재에 비하여 방사조직과 축방향유세포에서 분해가 상당히 이루어졌고, 목섬유에서도 부분적으로 침식과 박벽화가 상당히 진행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Bavendam Test결과 아위버섯균은 탄닌산을 분해하여 갈색의 대사물질을 형성하여 전형적인 백색부후균의 부후형태를 나타내었다.

  • PDF

멸치 젓갈 숙성에 따른 미생물상의 변화에 대하여 (STUDIES ON THE VARIATION OF MICROFLORA DURING THE FERMENTATION OF ANCHOVY, ENGRAULIS JAPONICA)

  • 이종갑;최위경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105-114
    • /
    • 1974
  • 멸치 젓갈의 숙성에 따른 미생물의 종류와 그 상(相)의 변화를 구명하기 위하여 생육 환경을 지배하는 염분농도와 pH의 변화 그리고 영양원인 질소화합물의 분해과정을 total-N, amino-N, protein-N, non-protein-N, TMA, VBN의 측정으로 고찰하였다. 산업적으로 젓갈 제조시기인 1973년 5월 부산 근해산 봄멸치를 인도산 암염율 $22\%$ (w/w) 가하여 $20\~25^{\circ}C$에서 숙성시키면서 약 6개월간 실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viable cell 총균수로 본 lag phase는 약 20일간이었고 이후 급격히 증가하여 35일 경에 최고치 $5\times10^4$/g에 달하였으며 Stationary phase가 약 20일간 유지되었으며 lag phase가 긴 것이 특징이었다. 2. 숙성초기에는 ($0\~30$일) Pseudomonas, Achromobacter, Flavebacterium, Brevibacterium Pedioceccus Sarcina, Micrococcus와 중기에는 Saccharomyces, Torula가 분리되었으며 그 중에서 Pediococcus 가 가장 우세하였다. 3. pH값은 숙성이 진행될수록 하강하다가 100일 경에 $5.5\~5.6$에서 거의 일정하였다. 4. 염분 농도는 육질에서 10일경에 최고치 $21\%$에도 달하였다가 서서히 감소하여 $18\%$에 이르고 것에서는 감소하여 50일 경에 $28\%$를 유지하였다. 5. 질소 화합물의 변화는 육질에서는 total-N이 제조후 10일에 $3.3\%$ 최고치에 달하였다가 감소하여 100인 후에는 $2.8\%$로 거의 평형을 유지하였고 젓국에서는 증가하여 100일 경에 total-N $2.3\%$, non protein-N$1.8\%$, amino-N$1.1\%$에 달하여 완만하게 증가하고 젓죽 및 육질중의 TMA는 악 10일 후에 $9mg\%$에 달하여 평행을 이루다가 100일 이후에는 약간증가했고 VBN은 20일 후에 $80\%$에 달한 후 100일까지는 완만하게 변하다가 120일 후에는 다시 증가하여 젓국에서는 $160mg\%$, 육질에서 $140mg\%$ 었다.

  • PDF

Biopolymer 생산성 Bacillus속 균주의 원형질체 형성과 재생 (Protoplast Formation and Regeneration of Bacillus strains producing biopolymer)

  • 임무현;김성호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2권1호
    • /
    • pp.20-28
    • /
    • 1999
  • Biopolymer를 생산하는 Bacillus속의 균주개량의 목적으로 biopolymer를 생산하는 균주인 Bacillus subtilis K-1과 유당 이용능이 있는 Bacillus coagulans의 원형질체 형성과 재생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영양요구성과 항생제 내성의 marker가 부여된 두 변이주의 원형질체 형성조건에서 Bacillus subtilis mutant SM-2의 경우, 대수기 중기에 penicillin G(1.0 unit/ml)를 첨가한 다음 1.5시간 반응 후 삼투압 안정제로서 0.4 M sucrose와 $25\;{\mu}g/ml$의 lysozyme이 함유된 lysis fluid(LF, pH 7.0)내에서 $37^{\circ}$, 40분간 반응시켰을 때, 원형질체 형성율은 99.6%, 세포벽 재생율 2.4%였다. Bacillus coagulans mutant CM-12의 경우 대수기 중기에 penicillin G 0.3 unit/ml와 glycine 0.5%를 혼합첨가하고 1시간 반응시킨 후 삼투압 안정제로서 0.6 M lactose와 $300\;{\mu}g/ml$의 lysozyme이 함유된 LF(pH 7.0)내에서 $37^{\circ}$, 30분간 재생시켰을 때, 원형질체 형성율 90.8%, 세포벽 재생율 2.2%였다. 세포벽 재생효율을 높이기 위한 재생배지는 trypticase soy broth(TSB)에 0.4 M sucrose, 0.7% casamino acd, 1% PVP, 25 mM $CaCI_2$, 25 mM $MgCI_2$, 1.5% agar가 함유된 배지에 0.4% soft agar로서 중층 했을 때 Bacillus subtilis SM-2의 재생율은 5.1%, Bacillus coagulans CM-12의 재생율은 10.3%로 $2{\sim}4$배 가량 향상 되었다.

  • PDF

올리고뉴클레오티드 칩(Oligonucleotide Chip)을 이용한 항결핵제 감수성과 관련된 Mycobacterium tuberculosis rpoB 유전자의 점돌연변이 판별 방법 (Detection of Point Mutations in the rpoB Gene Related to Drug Susceptibility in Mycobacterium Tuberculosis using an Oligonucleotide Chip)

  • 김현정;김성근;심태선;박용두;박미선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0권1호
    • /
    • pp.29-41
    • /
    • 2001
  • 결핵환자에 있어 rpoB 유전자 염기서열 돌연변이로 인해 생겨나는 rifampin(RIF)내성은 화학요법치료에서 나타나는 다제내성의 표지자로서 많은 연구가 되어 있으며 rifabutin(RIB)은 이러한 RIF의 내성을 보이는 일부 점돌연변이에 대하여 감성 또는 내성을 보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mycobacteria rpoB 유전자의 특정 DNA 서열(17 bp)을 고정한 올리고뉴클레오티드 칩을 개발하여 rpoB 유전자의 점돌연변이으로 인한 RIF과 RIB의 감수성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방법 : 사용된 올리고뉴클레오티드 칩은 RIF 내성 프로브 및 RIB 감성 프로브를 포함하도록 고안되었으며, 각각의 돌연변이에 상응하는 야생형 프로브를 동일한 염기서열에서 선정하여 형광 시그날 세기의 직접비교에 의해 보다 정확한 탐지를 가능하게 하였다. 결과 : 15개의 임상 분리체를 검사한 결과 RIF 내성으로 밝혀진 돌연변이중 13개의 임상 분리체에서 RIB 감수성 돌연변이 종류를 판별할 수 있었다. 결론 : 올리고뉴레오티드 칩으로 rpoB 유전자에 대한 점돌연변이 연구는 결핵환자에 대한 RIF과 RIB 약제내성 유무를 판단케 함으로써 효과적인 화학요법치료를 가능케 할 것이며 기존 방법과 비교시 효율 및 재현성이 매우 높다고 판단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