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llipede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3초

Antennal Sensory Organs in the Female Millipede Orthomorphella pekuensis (Polydesmida: Paradoxosomatidae)

  • Chung, Kyung-Hwun;Moon, Myung-Jin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10권4호
    • /
    • pp.183-189
    • /
    • 2006
  • The fin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antennal sensory organs of a female millipede, Orthomorphella pekuensis, were observed with 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On the surface of the antenna, four basic types of sensory receptor with the function of either mechanical or olfactory reception are identified in this female millipede. Of these, chaetiform sensilla (CS) and trichoid sensilla (TS) are related to mechanical reception, and four large apical cone sensilla (AS) and three subtypes of basiconic sensilla ($BS_1,\;BS_2,\;BS_3$) are likely to function in olfactory reception, as these receptors have porous structure commonly. Although this millipede also possess a number of primary or secondary sexual characters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reproduction, we could not observe their prominent sexually dimorphic characters in the antennal sensilla with the exception of minor structural and numerical differences.

An Updated Checklist and Perspective Study of Millipedes (Arthropoda: Myriapoda: Diplopoda) in the Korean Peninsula

  • Nguyen, Anh D.;Jang, Kuem Hee;Hyun, Jung Su;Hwang, Ui Wook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32권1호
    • /
    • pp.44-48
    • /
    • 2016
  • The Korean peninsula has diverse habitats and so would be expected to have a rich millipede fauna because of its location between the Paleoarctic and Oriental regions. To facilitate studies on millipedes, this work provides an updated list and discussion of Korean millipedes. A total of 69 species had been recorded up to 2010, but since then no new species have been reported. Among 69 species, 49 are endemic to the Korean peninsula. From 1950 to the present, an average of only seven new species from the Korean peninsula has been described per decade. This number does not reflect the biodiversity of millipedes in Korea, especially when compared to Taiwan, which has only one-third the area of the Korean peninsula, but from which a greater number of millipede species have been recorded (75 vs. 69 species). Japan has twofold the land area of the Korean peninsula, and an almost threefold higher number of millipede species. Further, more-intensive surveys will likely result in identification of more millipede species in the Korean peninsula.

An Annotated Checklist of Millipedes (Myriapoda: Diplopoda) Inhabiting the Korean Peninsula

  • Gyeongmin Kim;Ameenat Abdulqadri Adebimpe;Anh D Nguyen;Zoltan Korsos;Ui Wook Hwang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39권4호
    • /
    • pp.133-154
    • /
    • 2023
  • The Korean Peninsula is geographically located in the centre of Far Eastern Asia and has complex and various climate conditions following longitudinal topology, which would expect to be result in high diversity and endemism of millipede. In this study, the millipede fauna of the Korean Peninsula consists of 68 species plus 5 subspecies from 29 genera, 15 families and 7 orders. Of these species/subspecies, 29 and 12 are endemic i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respectively; nine are recorded in both South Korea and North Korea. Each species has been provided comprehensive information including an original report, taxonomic changes, distribution, and remarks if necessary. Moreover, unsolved taxonomic uncertainty of some species included in this checklist should be investigated through further study.

Microstructure of the antennal sensory organs in female millipede Oxidus gracilis (Polydesmida: Paradoxomatidae)

  • Chung, Kyung-Hwun;Moon, Myung-Jin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15권1호
    • /
    • pp.53-61
    • /
    • 2011
  • The fin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antennal sensory organs of a female millipede Oxidus gracilis (Polydesmida: Paradoxomatidae) were observed with both 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FESEM) and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EM). We could identify four apical cones and three basic types of antennal sensillae in a. gracilis as follows: chaetiform sensilla (CS), trichoid sensilla (TS) and basiconic sensilla (BS). Of these, both types of CS and TS can be observed throughout all antennal segments except the terminal 8th article, whereas the BS are observed within the cuticular depressed regions of the articles from the 5th to the 7th segment. According to their relative microstructure and location, the BS arc divided further into three subtypes: large ($BS_1$) small ($BS_2$) and spiniform ($BS_3$). The $BS_1$ can be seen on the 5th article only, while $BS_2$ can be seen on the 5th and 6th articles. The $BS_3$ is characteristically seen within the depressive region of the 7th article. Both the CS and TS of O. gracilis are similar in structure, and they are related to the function of mechanical reception; however, four large apical cones (AP) and three subtypes of BS are likely to function in gustatory and olfactory reception.

나노시대의 정보저장장치 : SPM 정보저장장치를 중심으로

  • 김영식
    • 기계저널
    • /
    • 제43권5호
    • /
    • pp.57-65
    • /
    • 2003
  • 이 글에서는 차세대 정보저장장치 기술 중에서 특히, IBM의 Millipede로 인해 부각되고 있는 SPM 정보저장장치의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이 기술에서 해결해야 할 과제를 바탕으로 국내의 연구 동향에 대해 간략하게 살펴볼 것이다.

  • PDF

계림갈퀴노래기(Anaulaciulus koreanus koreanus) 촉각 감각모의 미세구조 (Microstructure of the Antennal Sensilla in the Millipede Anaulaciulus koreanus koreanus (Julida: julidae))

  • 정경훈;문명진
    • Applied Microscopy
    • /
    • 제39권2호
    • /
    • pp.141-147
    • /
    • 2009
  • 노래기는 눈의 기능이 퇴화된 야행성 동물로서, 외부 환경으로부터 오는 자극을 감지하는 발달된 촉각을 가진 대표적인 절지동물이다. 계림갈퀴노래기 촉각의 미세구조를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대형의 말단원추 감각기 (AP) 4개와 모상 감각모 (CS), 관상 감각모 (TS), 추상 감각모 (BS) 등 3종류의 감각모가 구분되었다. 기계적 자극을 수용하는 모상 감각모와 관상 감각모는 말단 마디를 제외한 모든 마디에 고루 분포되어 있었고, 화학적 자극을 수용하는 추상 감각모는 제5마디부터 제7마디까지의 원위 말단부에 형성된 큐티클 함몰부에서만 특이적으로 관찰되었다. 추상 감각모는 미세구조적 특징에 따라 다시 3종류가 구분되었는데, 길이가 긴 제1형 ($BS_1$)은 제5마디에 분포되어 있었고, 길이가 짧은 제2형 ($BS_2$)은 제6마디에, 그리고 가시모양의 제3형 ($BS_3$)은 제7마디에만 분포되어 있음이 확인되었다. 특히, 노래기 종류에 따라 촉각에 분포된 추상 감각모의 개수와 분포 양상 등은 종간의 차이가 현저하여 분류학적 형질로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고운까막노래기(Oxidus gracilis) 안테나 감각모의 미세구조 (Fine Structure of the Antennal Sensilla of the Millipede Oxidus gracilis(Polydesmida: Paradoxomatidae))

  • 정경훈;문명진
    • Applied Microscopy
    • /
    • 제37권4호
    • /
    • pp.231-238
    • /
    • 2007
  • 고운까막노래기(Oxidus gracilis) 안테나 표면에 형성된 감각기관과 감각모의 미세구조적 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주사전자현미경(FESEM)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안테나는 8개의 마디로 이루어져 있었으며, 큐티클의 표면에는 화학적 및 기계적 감각을 담당하는 다양한 종류의 감각기들이 형성되어 있었다. 고운까막노래기 안테나에서는 기본적으로 대형의 원추말단 감각기(AC)와 3종류의 감각모-모상 감각모(Cs), 관상 감각모(Ts), 추상 감각모(Bs)-가 구분되었다. 원추말단 감각기는 말단마디인 제8 마디에 4개가 형성되어 있었고, 끝이 날카로운 모상 감각모와 관상 감각모는 말단 마디를 제외한 모든 마디에 분포되어 있었다. 추상 감각모는 제5 마디부터 제7 마디까지의 원위 말단부에 형성된 큐티클 함몰부에서만 관찰되는데, 그 미세구조적 특성에 따라 다시 3종류로 구분되었다. 길이가 긴 제1형($Bs_1$)은 제5 마디에만 분포되어 있었고, 길이가 짧은 제2형($Bs_2$)은 제5 마디 및 제6 마디에, 그리고 가시 모양의 제3형($Bs_3$)은 제7 마디에만 분포되어 있음이 확인되었다.

평안노래기 (Cawjeekelia pyongana) 안테나 감각기의 미세구조 (Microstructure of the Antennal Sensory Organs in the Millipede Cawjeekelia pyongana (Polydesmida: Paradoxomatidae))

  • 정경훈;문명진
    • Applied Microscopy
    • /
    • 제37권2호
    • /
    • pp.73-82
    • /
    • 2007
  • 다지류 노래기의 안테나는 다양한 환경 자극을 감지하는 탁월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 안테나의 구조적 특성은 감각하는 자극의 종류와 밀접한 연관을 가지고 있으므로 본 연구는 띠노래기목의 평안노래기(Cawjeekelia pyongana)를 실험재료로 하여 다지류 안테나 표면의 미세구조를 주사전자현미경(FESEM)으로 관찰하였다. 노래기의 안테나는 8개의 마디로 이루어져 있었고, 큐티클의 표면에는 후각과 기계적 감각을 담당하는 다양한 종류의 감각기들이 형성되어 있었다. 평안노래기 안테나의 감각기들은 말단마디에 형성된 4개의 대형 원추말단(Ac) 감각기와 관상 감각모(Ts), 모상 감각모(Cs), 추상 감각모(Bs) 등 3종류의 감각모들로 이루어져 있음이 확인되었다. 관상 감각모는 제1마디를 제외한 전체 마디에 걸쳐 관찰되었고, 모상 감각모는 제4마디부터 제7마디까지, 그리고 추상 감각기는 제5마디부터 제7마디까지의 표면 함몰부에서만 관찰되었다. 추상 감각기는 그 미세구조적 특징에 따라 길이가 긴 제1형$(Bs_1)$과 길이가 짧은 제2형$(Bs_2)$, 가시 모양의 제3형$(Bs_3)$으로 다시 세분되었다. 제1형은 제5마디에만 분포되어 있었고, 제2형은 제5마디 및 제6마디에, 그리고 제3형은 제7마디에만 분포되어 있음이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