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ddle-aged Working women

검색결과 37건 처리시간 0.026초

중년 직장여성의 성기능에 미치는 골반저근운동의 효과: 예비연구 (Effects of Pelvic Floor Muscle Exercise on Sexual Function in Employed Middle-aged Women: A Pilot Study)

  • 박형숙;김은경;김민영;양영옥;박경연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466-473
    • /
    • 200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effects of pelvic floor muscle exercise on sexual function and to present basic information on promoting sexual function for employed middle-aged women. Method: Data were collected from July to September, 2005 from a sample of 25 conveniently selected middle-aged working women from B city. For personal reasons, 10 dropped out, leaving 15 women who were treated with the exercise for 6 weeks. Outcome measures on sexual function were assessed by a self-report questionnaire based on the Female Sexual Function Index(Rosen et al, 2000 and translated by Kim, 2004). Cronbach ${\alpha}'s $ for the two studies were .82 and .96 respectively and for this study, .81. Descriptive statistics and Wilcoxon signed rank test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Results: The mean score for sexual function was 21.42(range 2-36). There were significant improvements in total sexual function, and 4 sub-scales of sexual function, sexual arousal, vaginal lubrication, orgasm, and coital pain. No significant improvements in sexual desire or sexual satisfaction were found. Conclusion: The small sample means findings must be interpreted with caution, but do suggest that pelvic floor muscle exercise could be an effective exercise for improvement of sexual function.

  • PDF

빛 요법이 중년여성의 스트레스, 우울, 수면의 질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무작위 대조군 연구 (Effects of Light Therapy on Stress, Depression, Quality of Sleep and Quality of Life in Middle-Aged Women: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 장미경;허명행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7호
    • /
    • pp.317-327
    • /
    • 2021
  • 본 연구는 빛 요법이 중년여성의 스트레스, 우울, 수면의 질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하기 위한 무작위 대조군 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I시 소재 일기관에 근무하는 중년여성 56명이며 자료수집 기간은 대조군은 2019년 8월 26일부터 9월 13일까지 실험군은 9월 16일부터 10월 4일까지 각 3주간 이루어졌다. 중년여성의 주관적 스트레스, 우울, 수면의 질 및 삶의 질은 스트레스 측정도구(NRS), 우울 측정도구(CES-D), 수면 측정도구(VHS), 삶의 질 측정도구(WHOQOL-BREF)로 측정하였으며 객관적 스트레스 지수는 Canopy9 RSA (IEMBIO, Gangwondo, Korea) 장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자료 분석은 IBM SPSS Statistics version 25.0을 이용하여 평균과 표준편차, 실수와 백분율, χ2-test, t-test, repeated measures ANOVA, ANCOVA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빛 요법을 적용한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주관적 스트레스(F=6.30, p<.001)가 유의하게 낮았고, 삶의 질 (F=2.80, p=.049)이 유의하게 높았다. 객관적 스트레스 지수, 우울, 수면의 질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빛 요법은 중년여성의 주관적 스트레스, 삶의 질에 부분적으로 효과를 보이고 있어 빛 노출이 제한된 직무환경에서 근무하는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한 반복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중년여성 근로자의 자아탄력성과 감정노동이 직장-가정 갈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go-resilience and Emotional Labor on Work-family Conflict among Middle-aged Female Workers)

  • 전해옥;권유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1호
    • /
    • pp.187-196
    • /
    • 2017
  • 본 연구의목적은 중년여성 근로자의 자아탄력성과 감정노동이 직장-가정 갈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자료 수집은 A, B, C시에 소재한 직장에 근무하는 정규직과 비정규직에 종사자하는 중년여성 148명을 대상으로 2013년 10월 2일부터 2014년 4월 10일까지 자가 보고식 설문조사로 시행되었다. 연구결과, 중년여성의 직장-가정 갈등은 25.59(SD=11.99) 점으로, 대상자의 직장-가정 갈등은 거주유형(F=4.32, p=.015), 생활비 지출(r=.18, p=.028), 직업만족도(F=6.33, p<.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직장-가정 갈등과 자아탄력성은 유의한 음의상관관계를 보였으며(r=-.28 p=.001), 부모, 자녀와 함께 사는 거주유형(${\beta}=.29$, p=.045), 생활비 지출(${\beta}=.22$, p=.006), 직업만족도(${\beta}=-.20$, p=.015), 자아탄력성(${\beta}=-.28$, p<.001)이 직장-가정 갈등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약 19%의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F=6.61 p<.001). 그러므로 중년여성 근로자의 직장-가정 갈등의 수준을 감소하기 위한 전략으로, 직장-가정 갈등에 영향을 주는 거주유형 및 생활비 지출과 같은 사회경제적인 요인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또한 중년여성 근로자의 직업만족도 및 자아탄력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직업 환경 내의 심리적인 중재의 적용이 중년여성의 직장-가정 갈등 감소에 도움이 될 것이다.

강도별 유산소운동이 중년여성의 적혈구생성인자, BDNF와 인지기능, 작업기억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Erythropoiesis Factors, BDNF, Cognitive Function and Working Memory by Intensity Aerobic Exercise in Middle Aged Women)

  • 조원제
    • 한국체육학회지인문사회과학편
    • /
    • 제54권1호
    • /
    • pp.553-566
    • /
    • 2015
  • 본 연구는 강도별 규칙적인 유산소운동이 중년여성의 적혈구생성인자, BDNF와 인지기능, 작업기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경기도 Y시 소재 G구에 거주하는 40~60대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통제집단(n=9, non-exercise), 중강도 유산소운동집단(n=10, 50%VO2max, 200 kcal), 고강도 유산소운동집단(n=9, 70%VO2max, 200 kcal)으로 분류하여 12주간 주 3회의 빈도로 집단의 특성에 맞게 운동처치를 실시하여 운동전과 6주, 12주 후 채혈과 인지기능 및 작업기억검사를 통해 적혈구생성인자, BDNF, 인지기능 및 작업기억을 측정하였다. 모든 자료는 SPSS Ver. 15.0를 통해 집단, 시기, 상호교호작용의 비교를 위해 반복측정분산분석, 일변량분석 및 사후검증(LSD)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적혈구생성인자, BDNF, 인지기능, 작업기억에서 시기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 일변량분석을 통해 집단 내 시기에 따른 분석을 실시한 결과 중강도 유산소운동은 적혈구 수, 헤마토크릿, BDNF와 작업기억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p<.05), (p<.01), (p<.05), (p<.05), 고강도 유산소운동은 적혈구 수와 작업기억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1)(p<.001). 또한 집단 간 비교 결과 헤마토크릿은 중강도 유산소운동집단과 고강도 유산소운동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고(p<.01), 헤모글로빈은 중강도 유산소운동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5).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비추어볼 때 중년여성의 적혈구생성인자, BDNF, 인지기능 및 작업기억에 12주의 중강도 이상의 유산소운동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중년기 여성의 건강증진행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Health-Promoting Behavior of Mid-Life Women)

  • 이경희;김태주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310-319
    • /
    • 1999
  •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identify the health-promoting behavior and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promoting behavior, self-efficacy, self-esteem and climacteric symptoms among the middle-aged women.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101 women and data were obtained using a self-reported questionnaires.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a health promotion life styles profile, self-efficacy scale, self-esteem scale, and, climacteric symtoms check-list. Data was analyzed by the SAS program using ANOVA, Pearson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ple reggression.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 1. The scores on the health-promoting behavior scale ranged from 46 to 114 with a mean score of 77.95(SD=12.99). 2. The scores on the health-promoting behavior of housewive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working women. 3.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 1) self-esteem was the main predictor and accounted for 21.75% of the total variance in health-promoting behavior 2) Self-esteem, climacteric symptoms and health-promoting behavior were contributors to quality of life. 4. In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self-esteem was positively corelated with health-promoting behavior and negatively with climacteric symptoms. In conclusion, self-esteem, age and occupation were important variables in health-promoting behavior.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for the management of health in middle aged women to Increase their quality of life of them.

  • PDF

한국 중년여성의 경제활동여부에 따른 구강건강 및 삶의 질(HINT-8)의 연관성 : 제8기 국민건강영양조사를 바탕으로 (Relationship between Oral Health and Quality of Life (HINT-8) according to Economic Activity of Middle-Aged Korean Women : The 8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 김유린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127-135
    • /
    • 2022
  • 본 연구는 한국중년여성의 경제활동여부가 삶의 질과 구강건강에 미치는 융합적인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2019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사용하였고, 경제활동 여부가 구강건강관련 요인과 건강관련 삶의 질 (Korea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strument with 8 Items; HINT-8)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위해 복합표본 로지스틱 회귀분석과 선형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인구학적 특성을 통제하고, 경제활동을 하는 경우 HINT-8의 하위항목 중 4개의 항목(기운, 일하기, 기억, 잠자기)에서 유의한 영향이 있었다. 구강건강 상태를 보정한 경우 HINT-8의 2개의 항목(일하기, 기억)에서만 유의한 영향이 있었다(p<.05). 따라서 한국 중년여성의 경제활동이 삶의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구강건강상태가 그 영향요인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그 가치가 있다고 생각된다.

다중상태 생명표 모형을 활용한 중고령층의 근로 및 은퇴 생애과정 연구 (An Analysis of the Work and Retirement Life Course of Middle-and Old-Aged Koreans Using Multi-State Life-Table Models)

  • 우해봉
    • 한국조사연구학회지:조사연구
    • /
    • 제12권1호
    • /
    • pp.65-88
    • /
    • 2011
  • 본 연구는 패널조사에 기초한 다중상태 생명표 모형을 활용하여 우리나라 중고령층의 근로와 은퇴 그리고 사망으로 이어지는 생애과정을 분석하고 있다. 또한 기존의 생명표 분석이 성별 차이만을 고려하였음에 비해 본 연구는 교육수준을 추가적으로 고려하여 생명표를 작성함으로써 근로 및 은퇴 생애과정에서 관측되는 사회계층별 이질성을 추가적으로 고려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는 근로 및 은퇴 생애과정이 성별 그리고 교육수준별로 매우 이질적인 패턴을 보이고 있음을 보여 주었다. 성별 차이와 관련하여 여성은 남성에 비해 생존기간이 길지만 취업 기대여명이 낮음과 동시에 미취업 기대여명이 높게 나타남으로써 전체 생존 기간에서 미취업 기간이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높은 모습을 보여 주었다. 교육수준별 차이와 관련한 분석 결과는 전반적으로 취업 기대여명에서는 뚜렷한 차이가 관측되지 않는 반면, 미취업 기대여명에서의 격차가 유의미하게 나타남으로써 교육수준별 근로생애 차이는 대체로 미취업 기대여명에서의 차이임을 보여 주었다. 보다 구체적으로, 교육수준이 낮은 개인들은 교육수준이 높은 개인들과 유사한 수준의 취업 기대여명을 갖고 있지만, 미취업 기대여명이 유의미하게 낮음으로 인해 생존 기간의 보다 큰 비중을 노동시장에서 체류하고 있음을 보여 주었다.

  • PDF

일부 장.중년층의 영양섭취상태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에 관한 연구 (Nutrient Intake and Related Factors in Middle-Aged Urban Adults)

  • 이행신;계승희;김복희;김초일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516-526
    • /
    • 2001
  • Working towards the compression of morbidity, we attempted to find the way to contribute to desirable aging and/or healthy old age. By looking into the factors affecting nutrient intake in middle-aged adults, we sought to find ways to improve their health status, Two hundred and fifty middle-aged adults from 40 to 60 years of age residing in Seoul and its vicinity were recruited for the survey. Subjects were interviewed for general characteristics, dietary habits lifestyle, status and food intake by a trained interviewer. Two -day food record was included in addition to the 1 -day 24 hr recall. Date were analyzed for the relationship among nutrient intake, health status, socio-economic status dietary habits and lifestyle using a statistical program (SAS) Although the mean energy intake of the subjects did not reach the recommenced dietary allowances(RDA), mean protein intake was well above the RAD for both sex groups(111.2% and 129.1% for men and women, respectively) The caloric contribution of fat was 15 to 20 % of total energy intake among different groups. Riboflavin was the most deficient nutrient and its mean intake reached only 71.0% of RDA for mean This seemed to be due to the lower intake of milk and dairy products among middle-aged Koreans who are more accustomed to traditional meals. Income and exercise habit we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fluencing the nutrient intake of middle-age adults. Also, BMI, smoking habit, level of education regularity of meal, and hours of sleeping influenced the nutrient intake, In conclusion, middle-age adults appeared to have similar problems with the elderly in terms of nutrient intake and this age group should to included when considering nutritionally vulnerable groups in addition to the elderly and young children. The improvement in the nutrition status of middle-age adults is even more important because that could lead into the better health the elderly.

  • PDF

Health status of menopausal women and correlates

  • Kannur, Deepa;Itagi, Sunanda
    • 식품보건융합연구
    • /
    • 제4권1호
    • /
    • pp.1-13
    • /
    • 2018
  • The health status of menopause and its correlates among middle aged 160 rural and urban women was studied during 2015. The women who attained menopause and belonging to 40-55 years age range were selected from 8 villages of 4 talukas of Dharwad and Bagalkot Districts. The health status of women was evaluated by using standardized questionnaire, Post Graduate Institute of Medical Education and Research (PGI). The structured interview schedule was used to collect personal information like name of the family members with their age, relationship with respondent. The Socio Economic Status (SES) of family was assessed by using Socio Economic Status scale developed by Agarwal (2005). The results revealed that 53.75 per cent respondents shown moderately affected followed by 26.25 per cent mildly affected and 20 per cent of women indicated severely affected health status. The mean value of health status in rural women is higher ($23.67{\pm}7.02$) than mean value of ($21.50{\pm}6.89$) urban women means the rural women had more health problems than urban women. Health status were high negatively significantly related with SES, education and occupation means women belonged to better SES category, literate and working women experienced less health problems compared to women who had poor SES, illiterate and non-working.

중년남성 근로자의 분노표현양식과 직무 스트레스가 심혈관질환 발생위험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Anger Expression Style and Occupational Stress on the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 in Middle-aged Male Workers)

  • 이연향;이가언;전혜정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206-215
    • /
    • 2021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factors affecting cardiovascular disease in middle-aged male workers.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137 male office workers over 40 years old and under 60 years old working in small- and medium-sized workplaces from three southern provinces of Korea.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elf-reported questionnaires and health screening reports from the 2014 National Health Examination. The influencing factors included general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anger expression style, and occupational stress.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ANOVA, and regression analysis with SPSS 22.0. Results: The mean score of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 was 6.73±4.69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exercise (t=2.13, p=.035) working time (t=-2.15, p=.034).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when adjusted for exercise and working time, the probability of becoming under a cardiovascular disease risk was 21% higher for those who anger-in (OR=1.21, 95% CI=1.02~1.44, p=.027) and 12% higher for those perceived occupational stress (OR=1.12, 95% CI=1.01~1.24, p=.030).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developing the strategies for middle-aged male workers to encourage exercise and to decrease occupational stress, as well as an appropriate anger expression style to improve holistic aspect of health considering their demographic characterist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