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ddle East Sea

검색결과 208건 처리시간 0.031초

OMP 방법으로 분석한 하계 동해의 수계 특성 (Summer Hydrographic Features of the East Sea Analyzed by the Optimum Multiparameter Method)

  • 김일남;이동섭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26권4호
    • /
    • pp.581-594
    • /
    • 2004
  • 하계 동해의 기원 해수 T-S diagram 방법에다 용존 산소를 추가시키고, 자료를 위도-경도 평면상에서 표시하는 방법으로 기원해수를 판별하였다. 하계에 동해에서 총 8개의 기원해수가 판별되었다. 표층해수로는 1) 고온-저염의 EKCW, 2) 고온-최저염의 NKSW, 3) 고온-고염의 MTSW, 4) 저온-저염의 TSCW의 4종류와 5) 최고염의 TMW, 6) 저온-저염-고농도의 산소를 가지는 LCW인 2종류의 중층수 그리고 심층수로 7) 저온-고염-고농도의 산소를 가지는 ESIW, 8) 최저온-고염-저농도의 산소를 가지는 ESPW 8종류로 구분할 수가 있었다. 특히, 동해 중 북부 해역에서 발견된 최저염의 NKSW(North Korea Surface Water), 기존에 알려진 대마난류 표층수에 비해 고염의 특징을 보여준 MTSW(Modified Tsushima Surface Water), 그리고 타타르 해협에서 시베리아 연안을 따라 남하하는 TSCW(Tatar Surface Cold Water)등이 이번 연구에서 새롭게 정의되었다. 조성비로 본 기원 해수의 흐름 총 8개의 기원해수에 대해 조성비 50% 이상을 기준으로 한 각 기원해수의 흐름을 Fig. 7에 나타내었다. 먼저 표층의 흐름을 보면, EKCW는 대한해협 서수도를 통해 동해 연안을 따라 북상하는 흐름을 보였고, MTSW는 대단해협 동수도를 통해 동해로 진입하여 $40^{\circ}N$ 부근까지 영향을 미쳤다. TSCW는 타타르 해협에서 시베리아 연안을 따라서 블라디보스톡 부근까지 남하를 하였고, NKSW는 동해 중부의 $40^{\circ}NP{\sim}42^{\circ}N$ 부근에 국지적으로 분포하였다(Fig. 7a). 중층에서는, TMW가 $40^{\circ}N$ 부근까지 영향을 미쳤고, 동해 북부 해역에서 기원한 LCW와 ESIW에 세력에 막혀 더 북진을 못하고 동진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LCW는 동해 북부해역에서 반시계 방향의 순환하는 흐름과 연안을 따라서 남하하는 흐름 두 종류의 흐름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Fig. 7b). 심층에서는, ESIW가 동해 북부 연안을 따라 $36^{\circ}N$ 부근까지 남하하는 흐름을 보였고, ESPW는 수심 500m 부근에서 시베리아 연안을 따라 남부 연안까지 남하하는 한 줄기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점차 수심이 깊어지면서 동해 남 북부 전체를 ESPW로 채우고 있어 어떤 흐름의 특징보다는 동해 전체의 상당한 부피를 차지함을 알 수 있었다(Fig. 7d). 동해 북부해역에서 생성되는 냉수들이 연안을 따라서 동해 남부해역으로 이동하는 흐름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동해 내부 순환의 큰 줄기는 연안을 따라 흐르는 냉수들의 흐름이며, 매년 동해남부 해역에 발생하는 용승 현상도 이러한 흐름의 연장선에 있음을 짐작할 수 있다(Lee and Kim 2003).

한.중.일 다자간 어업협력체 구성방안 연구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the Multiple Fishery Cooperation System Between Korea, China and Japan)

  • 심호진
    • 수산경영론집
    • /
    • 제39권2호
    • /
    • pp.81-108
    • /
    • 2008
  • Since the declaration made by UN Convention on the Law of the Sea on EEZs, The open seas of Northeast Asia, considerd as a convention area, needed new agreements in conformity with the changes brought by the introduction of the Exclusive Economic Zone(EEZ) system. The Contracting Parties of these agreements set up their own EEZs, which extend certain ranges from their baselines, Fishing in the other party's EEZ is done based on mutual agreements, which take into account traditional fishing activity in the zones. Seperate fishries management systems, in accordance with the relevant legal status of the waters, are applied to individual overlapping areas: Middle Zone in the Bast Sea and the waters south of jeju Island, Interim Measure Zone in the Yellow Sea and East China Sea, and the Transitional Zone in the Yellow Sea. They decided to conclude fisheries agreements as the provisional agreement under Article 74(3) of the UN Convention before the delimitations of the EEZs to avoid the territorial disputes. China and Japan concluded the Fishries Agreement in the November 1997, allowing each coastal State 52 mile EEZ. it was followed by Korea and Japan in September 1998, reaching a final compromise. And also Korea and China came to a satisfactary settlement in November 1998. Fisheries agreements have been established between the three North-east Asian States, the agreement are all bilateral. That implies inefficient resource management on the overlapping waters of the three states, especially on the East China Sea. The Korea-Japan Fisheries Agreement and the China-Japan Fishery Agreement worked as governing rules in the North-east Asian seas before the establishment of EEZs (Exclusive Economic Zones). However the conclusion of the bilateral fishery agreements, Korea China and Japan have developed EEZs, and these three countries have competed for the exploitation of fisheries resources. Therefore, the issue of fisheries resource management was no longer a single countries' problem and emerged as a common issue facing these three countries. In recognition of the above-mentioned problem, it is needed for the construction of cooperative System fishery management in the North-east Asian seas. Therefore, cooperative measures should be establishied. The final goal of the construction of fisheries management cooperative system is to establish sustainable fisheries in the North-east Asian seas. However, there is a big difference in fisheries management tools, fishing gear, exploitation rate of species, etc. This implies that a careful approach should be taken in order to achieve the cooperative fisheries management among Korea, China and Japan. conclusionly, the Governments of Korea, China and Japan should complement three bilateral agreemens, and which they prepares to 'Fisheries Resource Restore Program' Between Korea, China and Japan in the adjacent waters south of Jeju Island.

  • PDF

강릉-부산 간 동해안 해안단구 검토 (Review on Marine Terraces of the East Sea Coast, South Korea : Gangreung - Busan)

  • 최성자
    • 자원환경지질
    • /
    • 제52권5호
    • /
    • pp.409-425
    • /
    • 2019
  • 계단형 평탄지형면인 해안단구는 고해수면을 지시하는 표식지형으로 가까운 지질시대동안 일어났던 지구조운동 정보를 제공하는 지질학적으로 매우 의미 있는 지형이다. 한반도의 동해, 서해 그리고 남해안 모두 해안단구가 발달하고 있으며 그 중 동해안에 가장 잘 발달하고 있다. 동해안의 해안단구는 4-6조로 해발고도 수m 에서 수십m 상위에 발달하고 있다. 이들 중 최하위 단구를 제외한 모든 단구는 중기 플라이스토세 이후에 형성되었고, 특히 OSL 연령과 고지자기 층서의 블래이크 사건(Blake excursion event)에 따르면 2단구와 3단구는 공히 최종 간빙기에 대비된다. 플라이스토세 해수면변동 곡선과 단구의 구정선고도를 서로 대비하여 본다면 동해안에서 중기 플라이스토세 이후부터 중기 홀로세까지 광역적 지구조 운동이 일어났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강릉에서 부산까지 해안단구의 구정선 고도가 지역별로 상이하며 4개 지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강릉-용한리(I), 호미곶-나정(II), 나정-방어진(III), 왜성-부산만(IV). 구정선 고도가 지역 간 서로 다르게 발달하고 있는 것은 오천단층 혹은 그의 부수단층, 감포 선구조, 울산단층 등에 의한 지괴운동에 의한 것으로 해석된다. 구정선 고도와 단구 평탄면 형성시기를 상호 함수로 한 동해안의 융기율은 0.2-0.3m/ky 범위 내외이며, 구정선 고도에 따라 융기율은 지역적으로 다르다.

B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Preservation of Dokdo Island

  • Kim, Ki-Tai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5권1호
    • /
    • pp.59-62
    • /
    • 2002
  • Dokdo, which is located in the middle of the East Sea, is a small island tilth a total area of 0.186 $\textrm{km}^2$. However, this small island, with its mild oceanic climate, has rich bio-resources and picturesque natural surroundings. Dokdo in the crystaline waters and In the central area of the deep sea is a treasury of algaes (sea oak, sea mustard, gulf weed, laver, agar-agar, etc.), molluscs (squid, ear shell, conch, etc.) and fishes (Alaska pollack, anchovy, saucy, herring, etc.). On the other hand, there are a lot of grasses and various kinds of grasses on the land of Dokdo. And a lot of back-tailed gulls (about 20,000 Individuals) live on this island. There have been disputes on the sovereignty over Dokdo between Korea and Japan. Japan has claimed sovereignty over Dokdo since Japan incorporated the island into Japanese territory in 1905 when it occupied the Korean Peninsula by force. Korea governed Dokdo not only before 1905 but also after its liberation in 1945. The Korean government, while heavily financing building facilities like pleas and quays, is endeavoring to preserve the natural surroundings of this island.

해류 수직구조를 파악하기 위한 LADCP Casting 및 자료처리 방법 (Casting Lowered-ADCP and Data Processing Methods for Configuring Vertical Current Structure)

  • 김응;전동철;신창웅;김동국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33권spc3호
    • /
    • pp.397-407
    • /
    • 2011
  • To understand the vertical structure of ocean currents from raw data observed by lowered-ADCP (LADCP), these data require post-processing. Data were processed using Krahman's version 10.8 processing software based on Matlab. It is estimated the influence of auxiliary data affecting the processed current structure. The bottom-tracked velocities and the GPS information significantly contribute the offset on reference velocities in the bottom layer and barotropic ones in the middle layer, respectively. Good quality data can be obtained when LADCP is least tilted in pitch and roll during observation. In situ application of LADCP to the (northward) volume transports of Kuroshio in the East China Sea proved to be 24.8. Sv (= $1{\times}10^6m^3s^{-1}$) in October 2007, and 28.2 Sv in June 2008, respectively. The volume transport is relatively large over the continental slope when compared to the shelf or the deep sea.

강원도 고성연안에서 정치망으로 채집된 어류 종조성과 군집구조 (Species Composition and Assemblage Structure of Fish Collected by Set Net at the Coastal Waters of Goseong in Gangwon-do, Korea)

  • 이수정;양재형;서영일;김진구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95-106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남한측 동해 최북단인 강원도 고성군에서 2년간(2018~2019년) 매월 정치망을 이용하여 어류 종조성을 확인하였으며, 과거 연구와의 비교를 통해 동해 해양환경과 어류상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총 77개 분류군이 어획되었으며, 이 중에서 75개 분류군이 종 수준까지 확인되었다. 우점하는 분류군은 참복과, 가자미과 등이었으며, 우점종은 도루묵, 전어, 쥐치, 말쥐치, 전갱이 등이었다. 표층수온은 과거에 비해 겨울철 및 봄철에는 지속적으로 상승하였고, 봄철 어류 종조성은 과거 한류성 어종에서 최근 난류성 어종으로 변화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전 연구보다 참복과 어류의 종 다양성이 매우 높았는데, 이는 수온 상승과 함께 동해안으로 유입되는 참복과 어류의 양적인 증가와 관계가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어류 종조성에서는 과거 남부해역(삼척, 강릉)의 종조성과 유사해졌으며, 월별 군집분석 결과에서는 한류성 어종이 우점하는 1~4월 그룹과 방어, 고등어가 우점하는 7~10월 그룹, 그리고 난류성 어종이 우점하는 5~6월, 11~12월 그룹으로 나뉘어져서 1년 중 8개월이 동해안으로 회유하는 난류성 어종들이 우점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장기간 난류성 어종들의 우점하는 경향은 북방한계선의 확장, 서식적수온대의 장기간 형성, 그리고 풍부한 먹이에 따른 결과로 생각된다. 따라서, 동해안으로 회유하는 난류성 어종들의 상업적인 이용방법 모색과 동시에 효율적인 자원관리 정책의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한국항만도시의 입지, 인구성장과 화물집중도연구 (A Study on the Location, Population Growth, and Cargo Concentration of Korean Port-Cities)

  • 박노경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61-87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location, population growth. and cargo concentration of Korean port-cities. In the location theory, Sommer (1976) and McGee (1967) models are newly introduced, as are the Rimmer (1967), Bird (1965), Hoyle (1981) models. which were already introduced in previous studies from Korea. Analysis of population growth in the Korean port-cities is conducted using data from 1966 to 1998. Rimmer and Hoyle's concentration models are used to measure cargo concentration from 1966 to 2000. The main result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Korean ports are concentrated on the East Sea, the Southern Sea, and the West Sea. Their locations are closely related with the hinterland. the inland city, and growth of port-cities. In considering the foreign countrys' cases, Korean port-cities are similar to the models of Bird and Hoyle. Second, the populations of Ulsan and Pohang grew at the fastest rate in 1966-1998, while the port cities in the Honam and Jeiu region grew at much lower ratios. Most port cities are located near large industrial complexes. Third the growth rates of Gwangyang, Daesan, Pohang, Pyungtaeg, and Samchunpo increased, while those of Busan. Mukho, Masan, Mogpo, Yeosu, and Sokcho declined. Of particular note, the growth rate of Busan remained negative after the late 1980s. Fourth. empirical results using the Rimmer (1967) model indicate that Gwangyang, Daesan, Pyungtag, and Pohang have shown the concentration. But the deconcentration was shown from the Busan, Mukho, Janghang, Gunsan, Mogpo, Yeosu, Masan, Sokcho. and Jeju. Fifth, the concentration of ports located in West coast region has shown the mixed results between concentration and deconcentration except the concentration of early 1970s and 1990s. The concentration of ports located in East coast region has shown the concentration before the middle of 1980s. And deconcentration after the middle of 1980s have appeared. The Southern coast region has shown the continuous deconcentration except the partial concentration of early 1986. and 1991. Planners of Korean ports should find out the factors of concentration and deconcentration of each ports and should determine factors such as investment priority level. size and scope in order to ensure the balanced development of regional ports and port-cities.

  • PDF

한반도의 해수면 상승을 고려한 설계조위 산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stimation of Design Tidal level Considering Sea Level Change in the Korean Peninsula)

  • 추태호;심수용;양다운;박상진;곽길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464-473
    • /
    • 2016
  • 이산화탄소의 배출 증가와 지구온난화, 엘리뇨 현상, 라니냐 현상 등과 같은 이상기후 현상의 발생빈도 증가로 인하여 전 세계적으로 내륙과 해안의 온도가 상승하고 있다. 지구온난화로 인한 바닷물의 열팽창 그리고 빙하의 해빙 등으로 인한 지구의 해수면은 매년 2.0mm/yr(전 세계 평균값)의 속도로 상승하고 있다. 그러나 해안에 인접한 수리구조물 혹은 해안 수리구조물을 설계할 시 기준이 되는 설계조위는 과거 관측된 조위 값으로부터 4대 분조 및 조화상수를 분석하거나 수치모형 실험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설계조위는 구조물의 설계빈도에 상응하는 해수면의 상승속도를 감안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는 국립해양조사원(Korea Hydrographic and Oceanographic Administration; KHOA)에서 운영하고 있는 46개소의 조위관측소를 대상으로 관측개시일부터 2015년까지 시단위로 조위자료를 수집하였다. 우리나라를 크게 남해동부, 남해서부, 동해남부, 동해중부, 서해남부, 서해중부, 제주로 총 7개의 해역으로 구분하여 월별, 연별 변동추이 및 연평균 상승률 분석을 수행하였다. 향후 국지적 해수면상승의 원인규명 및 설계조위 고려 시 기초자료로 활용가능 할 것으로 판단된다.

8-9세기 해로의 활성화와 지중해 해상교역 (Arab Sea Trade with the Far East and the Mediterranean in the Eighth and Ninth Centuries)

  • 정문수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345-354
    • /
    • 2002
  • 8-9세기는 무슬림 상인의 주도로 페르시아만에서 남중국까지의 해로가 활성화되는 시기이다. 동서교류에서 해로가 육로를 능가하는 이 시기에는, 이 간선 해로를 따라 그 동단인 동아시아해역과 그 서단인 지중해 해역이 설정되었다. 먼저 간선 해로에 관해, 기존 연구에서 미진하게 검토한 페르시아만에서 인도 동쪽 바다까지의 왕복 항로와 아랍선박을 검토하였으며 심해항행이 진행되었다는 것을 지적하였다. 다음으로 이 시기에 동아시아해역의 해상무역이 장보고의 활약으로 활성화되었던 것과는 달리, 지중해 해역은 로마제국 시대의 활기를 잃고 상대적으로 위축되어 있다는 것을 지적하였다.

한반도 주변 해역 5개 정점에서 파랑과 바람의 관계 (Relations between Wave and Wind at 5 stations around the Korean Peninsula)

  • 고희종;방익찬;김태희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40-252
    • /
    • 2005
  • 한반도 주변 해역의 5개 지점(덕적도, 칠발도, 거문도, 거제도, 동해 정점)에서 관측된 기상청의 해양 기상 관측 부이 자료를 이용하여 각 해역에서 바람과 파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전반적으로는 서해 정점에서는 파도가 바람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고 남해 정점에서는 파도가 바람의 영향을 가장 적게 받으며 동해 정점에서는 그 중간이며 각 정점별 특징은 다음과 같다. 칠발도에서는 풍속이 강한 겨울철의 주 풍향인 북서방향으로 바다가 트여있고 얕은 수심에 의한 여울효과로 가장 높은 파고가 발달하며 풍향과 파향이 다른 정점에 비해서 가장 잘 일치한다. 이에 비해 덕적도는 북서방향이 황해도에 의해 막혀 있기 때문에 취송거리가 제한되어 겨울철에 충분히 발달한 파도가 생기지 않는다. 이러한 취송거리의 제한은 남해 정점에서 더 크다. 북풍이 우세한 남해의 두 정점에서는 북쪽의 육지 때문에 파도의 발달이 제한되어 바람이 강해도 파고는 거의 높아지지 않는다. 남해 정점에서는 어느 방향에서 바람이 불든지 모든 파향의 파가 고르게 유입되며 그 중 우세한 파향은 항상 동중국해에서 유입되는 방향이다. 그 방향은 거문도와 거제도에서 각각 남쪽 방향과 남서 방향이며 이 방향으로는 바람이 약할 때도 파도가 유입된다. 동해 정점에서는 수심이 깊어 파도가 크게 발달하지만 풍향과 파향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많아 파고의 발달이 칠발도에서 보다는 낮다. 이와 같이 풍속과 더불어 풍향이 파랑발달에 중요한 이유는 풍향에 의해 취송거리가 결정되기 때문이다. 덕적도와 칠발도에서 풍향이 변하지 않고 오래 지속되는 경우를 보면 파향이 풍향과 일치하며 파고는 최대풍속 후에 최대파고가 나타나는 반응시간이 길수록 커지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러나 풍향과 파향이 일치하지 않는 동해 정점의 경우에서는 풍속이 크고 반응시간이 길어도 파고가 서해 정점에서와 같이 많이 높아지지는 않는다. 이상의 결과는 풍속이 클수록, 취송거리가 길수록, 지속시간이 길수록 파고가 크게 발달하는 일반적인 경향과 더불어 각 정점별로는 육지와 바다의 방향, 해저지형, 주변해역의 규모 등의 환경조건에 의해 바람에 의한 파도의 발달율이 달라지는 것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