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crobiological and quality characteristics

검색결과 217건 처리시간 0.028초

Effect of Modified Atmosphere Packaging Varying in CO2 and N2 Composition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Dry Fermented Sausage during Refrigeration Storage

  • Ameer, Ammara;Seleshe, Semeneh;Kang, Suk Nam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639-654
    • /
    • 2022
  • The current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he most suitable modified atmosphere packaging (MAP) on the physicochemical, microbiolog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fermented dry sausages during 45 days of refrigeration (4℃) storage period. Treatments were vacuum-packed (control), 25% CO2/75% N2 (MAP1), 50% CO2/50% N2 (MAP2), 70% CO2/30% N2 (MAP3), and 100% CO2 (MAP4). All MAP samples regardless of their CO2 composition significantly (p<0.05) decreased in pH, aw, total plate count, and lactic acid bacteria count values as compared to the vacuum-package during storage. The Enterobacteriaceae count in all MAP packaging was significantly (p<0.05) lower than the vacuum-packed samples and counts in MAP3 and MAP4 samples were markedly (p<0.05) lower than all other treatments in prolonged storage of 15 and 45 days. Based on the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 content at day 15 and 30 storage time, treatments are ranked as follows: Vacuum-packed>MAP1>MAP2>MAP3>MAP4. The a* of MAP4 was higher than all other treatments. In the final storage days, no variation was exhibited (p>0.05) among treatments in lactic acid aroma and sourness, and MAP2 samples had the lowest (p<0.05) overall acceptability. The use of MAPs with an increase in the CO2 from MAP1 to MAP4 samples can help in better microbial inhibition than vacuum package, and 70% CO2/30% N2 (MAP3) and 100% CO2 (MAP4) were effective to maintain several quality parameters (aw, pH, microbial inhibition, stability against lipid oxidation, and instrumental color traits) and extend the shelf life of dry fermented sausage.

변온숙성에 의한 명태(Theragra chalcogramma)식해의 품질유지 (Quality of Alaska Pollack Theragra chalcogramma Sikhae after Fermentation for Different Times)

  • 정은정;김훈;차용준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293-300
    • /
    • 2015
  • We sought to extend the shelf-life of Alaska pollack Theragra chalcogramma sikhae while maintaining quality. We compared the chemical, microbiological, and organoleptic characteristics of sikhae prepared under four different conditions. Control fish were fermented at ambient temperature ($21{\pm}2^{\circ}C$); other samples were stored at $5^{\circ}C$ after fermentation at ambient temperature for 36 h (A1), 60 h (A2), and 84 h (A3). Volatile basic nitrogen and amino-nitrogen levels, and total acidity increased with fermentation time in all samples, but the pH fell, attaining a relatively lower level in the control than in other samples. Over 90% of all viable cells were lactic acid-producing bacteria; this proportion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during fermentation. In terms of texture, only hardness was affected by fermentation. The hardness of the control fell more rapidly than did that of the other samples. In terms of sensory evaluation (the acceptance test and quantitative descriptive analysis [QDA]), A2 was superior to other samples after fermentation for different times; A2 maintained limited salability (6 points on the relevant index) for up to 17 days of storage.

Effect of sea tangle extract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reduced-salt, low-fat sausages using pre-rigor muscle during refrigerated storage

  • Geon Ho Kim;Koo Bok Chin
    • Animal Bioscience
    • /
    • 제36권11호
    • /
    • pp.1738-1746
    • /
    • 2023
  •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quality characteristics of reduced-salt, low-fat pork sausage (PS) using pre-rigor muscle and sea tangle extract (STE) to reduce salt level of sausages during refrigerated storage. Methods: Pork ham was prepared with pre-rigor and post-rigor muscle from the local market. Sausages using post-rigor muscle were manufactured with the 1.5% of salt content, and samples with pre-rigor muscle were processed by different salt concentrations (0.8%). Accordingly, PSs were prepared in 4 treatments (REF, PS with 1.5% of salt using post-rigor muscle; CTL, PS with 0.8% of salt using pre-rigor muscle; TRT1, PS with 0.8% of salt and 5% of STE using pre-rigor muscle; TRT2, PS with 0.8% of salt and 10% of STE using pre-rigor muscle). For the evaluation of quality characteristics and shelf-life of reduced-salt PS, pH and color values, cooking loss (%), expressible moisture (%), textural properties, lipid oxidation (thiobarbituric reactive substances), protein denaturation (volatile basic nitrogen), and microbiological analysis (total plate counts and Enterobacteriaceae counts) were determined. Results: The pH and temperature of pre-rigor raw pork ham were higher than those of post-rigor pork ham. Hardness of TRT2 was higher than that of REF or CTL. TRT2 had higher gumminess and chewiness than CTL. TRT1 and TRT2 had lower volatile basic nitrogen than CTL. Total plate counts of TRT2 were lower than those of CTL. Expressible moisture values of TRT1 and TRT2 were similar to those of REF. The addition of STE into PS improved functional properties and shelf-life of PS. Conclusion: Reduced-salt PS containing pre-rigor muscle and STE had similar functional properties to those of regular-salt ones, while containing approximately 47% less salt compared to regular-salt level.

감마선 조사 분말수정과의 저장 중 관능적 품질특성 및 유전독성학적 안전성 평가 (Evaluation of the Sensory Quality Characteristics during Storage and Mutagenicity of Gamma-irradiated Sujeonggwa Powder (Korean Traditional Cinnamon Beverage))

  • 이현자;설민숙;박재남;김재훈;송범석;이주운;변명우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408-413
    • /
    • 2007
  • 본 연구는 감마선 조사된 분말수정과의 저장 중 관능적 품질특성 변화 및 돌연변이원성을 평가하고자 실시되었다. 미생물 분석결과 멸균을 위한 최소선량은 약 4.5 kGy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감마선 조사된 시료들의 관능평가를 실시한 결과 조사선량이 증가할수록 모든 평가항목에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며, 색도의 변화를 평가한 결과 감마선 조사선량이 증가함에 따라 명도($L^*$)는 유의적으로 증가하고 적색도($a^*$) 및 황색도($b^*$)는 유의적으로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S. typhimurium TA98, TA100을 이용한 돌연변이원성 실험에서 감마선 조사군의 전 용량단계에서 음성대조군과 동일한 수준의 돌연변이 집락수를 보여 돌연변이 유발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순 가공 식품 재료 활용을 위한 국, 탕용 구아바 채소 완자의 저장 기간에 따른 품질 특성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Microbiological of Simple Preprocessed Foods Vege-ball with Guava Leaf Powder for Soup during Storage)

  • 박지현;백옥희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585-592
    • /
    • 2012
  • 본 연구는 단순 가공 식재료 개발의 고부가가치와 국내산식품 재료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하여 구아바잎 분말과 콜라비 등을 이용하여 급식소에서 이용 가능한 국, 탕용 구아바 채소 완자를 개발하여 저장 중 미생물학적 및 품질 특성을 측정하였다. 구아바잎 분말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control)과 첨가한 구아바잎 채소 완자(VB)의 명도(lightness) 측정 결과, 구아바잎을 첨가할수록 명도는 높게 나타났다(p<0.05). 적색도(redness)와 황색도(yellowness)는 대조군을 제외한 첨가군시료에서는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구아바 채소 완자의 경도(hardness)의 범위는 1,175~1,600($g/cm^3$)이었으며, 구아바잎 분말을 첨가한 채소 완자가 대조군에 비하여 경도가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탄력성(springness), 부착성(cohesiveness)은 구아바잎 분말을 첨가할수록 유의적으로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DPPH, ABTS 활성 모두 대조군에 비하여 구아바잎 첨가군이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으며,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항산화 활성능 역시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p<0.05). 관능적 특성 결과, 맛(taste), 향미(flavor), 전반적인 바람직성(overall preference) 항목에서구아바잎분말0.1% 첨가한 구아바 채소 완자가 가장 높게 평가되었으며, 1% 첨가군은 낮은 기호도를 나타냈다. 구아바 채소 완자의 저장 기간 중 품질 특성을 조사한 결과, 산가의 변화에서는 구아바잎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산가는 유의적(p<0.05)으로 낮아졌으며, 저장 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점차 증가함을 보였다. 산가의 실험 결과와 마찬가지로 대조군의 과산화물가와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며, 구아바잎 첨가 채소 완자의 산패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TBA가는 대조군과 0.1% 첨가군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구아바잎 0.3% 이상 첨가한 채소 완자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총호기성 균은 저장 기간 동안 낮은 수준의 균이 검출되었으며(5.00 log CFU/g 미만), 효모 및 곰팡이는 구아바잎 분말을 첨가한 채소 완자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관능적인 부분과 항산화 효과를 동시에 부여할 수 있는 구아바잎을 첨가한 채소 완자의 제조가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국내 외식 및 급식업체용 단순 가공 식품 재료로 구아바잎 0.1%를 첨가한 채소 완자가 최적으로 판단되며, 구아바 채소 완자의 냉장 보관 시 안전한 저장 기간은 최대 8일이다.

Effects of Different Marination Conditions on Quality, Microbiological Properties,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Pork Ham Cooked by the Sous-vide Method

  • Jeong, Kiyoung;O, Hyeonbin;Shin, So Yeon;Kim, Young-Soon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506-514
    • /
    • 2018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marinade under different conditions (temperature and vacuum) on pork ham cooked by the sous-vide method ($61^{\circ}C$ and 98.81% vacuum for 45 min). Control group was non-marinade pork ham. The samples were marinated under 1 of 4 conditions: $4^{\circ}C$, 98.81% vacuum (treatment group $T_1$); $4^{\circ}C$, atmospheric pressure ($T_2$); $20^{\circ}C$, 98.81% vacuum ($T_3$); and $20^{\circ}C$, atmospheric pressure ($T_4$). The pH value was higher in the control (6.02) than in the treatment groups (4.30-4.42, p<0.001). Shear force was the lowest in the control: 18.14 N. Lightness and redness values were higher in the control (p<0.001). The chroma value significantly decreased from 12.74 to 7.55 with marinade (p<0.001). Total viable and coliform counts of raw meat were 84.6 and 3.67 Log CFU/g, respectively. After the marinade, the total viable count decreased to 3.00-14.67 Log CFU/g (p<0.001). Coliforms were not detected. After sous-vide cooking, no viable microorganisms were detected in any group. Treatment groups generally showed high scores on consumer preference. The marinade and sous-vide cooking had a positive effect on sensory characteristics. They provided safe conditions for sanitary evaluation. As a result, it appears that marinade at refrigeration temperature is better than that at room temperature.

단감 분말을 첨가하여 제조한 고추장의 미생물학적 특성 및 관능적 특성 (Microbiological and Organoleptic Characteristics of gochujang, Korean Traditional Red Pepper Paste Added with Different Levels of Sweet Persimmon Powder)

  • 김정연;황수정;은종방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4권4호
    • /
    • pp.303-308
    • /
    • 2011
  • 전통고추장의 품질을 개선하고 기호성을 높이기 위하여 단감을 분말화 하여 고추장에 0, 3, 4, 5% 첨가하여 단감 분말을 첨가한 고추장을 제조하고 $20^{\circ}C$에서 90일 동안 숙성시키면서 미생물학적 특성 및 관능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고추장의 숙성 중 총균수는 숙성 초기부터 숙성 마지막 단계까지 서서히 증가하여 $10^8$ CFU/g 수준을 유지하였고 모든 숙성 과정에서 대조구와 단감 분말 첨가한 것 사이에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p <0.05). 효모 및 곰팡이 수는 숙성기간 동안 $10^4-10^5$ CFU/g을 유지하였다. 고추장의 관능검사를 숙성 30, 60, 90일 째 실시한 결과, 관능적 특성에 있어서 단감 분말의 첨가는 고추장의 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단맛의 경우에 단감 분말 첨가량에 비례적으로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고, 감칠맛의 경우에도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전체적 기호도 측면에서 보았을 때 숙성 30일 경에는 유의적 차이가 없었으나(p <0.05), 숙성이 진행됨에 따라 4% 단감분말 첨가구가 관능적으로 높은 값을 나타냈으며 숙성 최종 단계에서 단맛과 감칠맛 그리고 전체적 기호도에서 높은 선호도를 보여 단감 분말을 첨가한 고추장을 제조 시 단감 분말을 4% 첨가하는 것이 적절할 것으로 생각된다.

감마선 조사된 고춧가루 첨가 콩나물 무침의 저장 중 품질의 변화 (Quality Changes of Kongnamul Muchim (Cooked Soybean Spouts) Stored with Gamma-Irradiated Red Pepper Powder)

  • 송범석;박재남;김재훈;신미혜;변명우;권중호;이주운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5권5호
    • /
    • pp.642-647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고춧가루의 오염된 미생물을 제거 또는 소시키기 위해 감마선조사를 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콩나물 무침을 제조 한 후 저장 중 미생물학적 안전성과 품질 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콩나물 무침용 원재료의 총세균수 평가 결과 고춧가루와 마늘의 경우 5.72와 2.40 log CFU/g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른 재료에서는 검출한계 이하였다. 대장균군과 곰팡이/효모의 경우 고춧가루에서만 각각 3.11, 3.48 log CFU/g 수준으로 나타났다. 고춧가루에 10 kGy 수준의 감마선을 조사한 후 콩나물 무침을 제조 시 저장 중 미생물이 검출한계 이하로 나타났다. pH와 색도의 경우 감마선 조사에 따른 유의적 차이가 없었으며, 관능적 품질 역시 조직감을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유의적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10 kGy 이하로 조사된 고춧가루를 이용한 콩나물 무침은 관능적 품질변화 없이 미생물학적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적채 추출물의 기능성 및 적채를 첨가한 우리밀 국수의 품질특성 (Functional Properties of Brassica oleracea L- Extracts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Korean Wheat Noodles With Brassica oleracea L.)

  • 김미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9호
    • /
    • pp.1443-1449
    • /
    • 2005
  • 본 연구는 품질 특성과 기능성을 가진 우리밀 국수를 개발하기 위하여 적 채 분말을 물과 $70\%$ 에탄올로 추출하여 추출물의 전자공여능 및 아질산염 소거능 등의 기능성을 검토하고 적채를 첨가한 우리밀 국수의 품질특성을 검토하였다. 추출물의 전자공여능은 물 및 에탄을 추출물 모두에서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전자공여능도 증가하였으며 1000 ppm에서 물 추출물은 $64\%$, 에탄을 추출물은 $76\%$로 에탄올 추출물의 전자공여능이 물 추출물보다 높았다. 추출물의 아질산염소거능은 물 및 에탄을 추출물 모두에서 pH가 낮아짐에 따라 증가하여 PH 1.2에서 가장 높았고 동일 pH에서는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증가하였다. 적채를 첨가한 우리밀 국수 생면을 $20^{\circ}C$에서 일주일간 저장하였을 때 적채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총균수 및 진균수는 대조구의 최대균수를 나타낸 저장일의 균수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 우리밀 적채국수의 색도 측정 결과 명도(L)는 생면과 건면의 경우 적채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낮아졌으며 적색도(a)는 생면, 건면, 삶은면 모두에서 적채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아져 $7\%$ 첨가구가 가장 높았고 황색도(b)는 생면과 건면의 경우 적채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낮았다. 삶은면에서는 적색도 감소가 가장 큰 $5\%$ 첨가구에서 황색도 및 명도가 가장 높았다. 적채를 첨가한 우리밀 건면과 삶은면의 관능검사 결과 색을 제외한 모든 기호도에서 $3\%$ 첨가구가 가장 높아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5).

감마선 조사 마(Yam)즙의 미생물학적 및 일반품질 특성 (Effects of gamma irradiation on the microbiological and general quality characteristics of fresh yam juice)

  • 송현파;김복덕;신은혜;송두섭;이현자;김동호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494-499
    • /
    • 2010
  • 마즙의 위생성 및 보존성 향상을 목적으로 0, 1, 3 및 5 kGy의 선량으로 감마선을 조사하고 $5^{\circ}C$에서 보관하면서 8일간 마즙의 미생물학적, 일반품질 및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마즙의 호기성세균 및 대장균군은 각각 1.26 및 1.34 kGy의 $D_{10}$값을 보였으며, $5^{\circ}C$ 저장에 따라 3 및 5 kGy 조사구의 경우 검출한계 이하의 균수를 유지하였다. 효모 및 곰팡이의 D10값은 0.29 kGy로 일반호기성균 및 대장균군 보다 감마선에 높은 감수성을 보였으며, 모든 조사구의 경우 냉장저장에 따라 검출한계 이하의 균수를 나타내었다. 감마선 조사에 따른 마즙의 점성은 조사 선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 마즙 특유의 고점성으로 인한 단점을 보완하여 음용의 편이성을 증대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마즙의 $L^*$값은 감마선 조사에 따라 감소하였으나 냉장저장에 따른 $L^*$값의 감소율은 비조사구가 가장 켰으며, $b^*$값 또한 감마선 조사에 의해 증가해 갈변이 일어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3 및 5 kGy 마즙은 맛을 제외한 조직감, 색, 냄새 및 전체적인 기호도에서 비조사구보다 유의적으로 낮은 선호도를 보였으며, 1 kGy 조사구는 냄새와 색을 제외하고 비조사구와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조사에 따른 색의 변화를 최소화하기 위한 항산화제 첨가 또는 포장방법 및 방사선 조건 등에 대한 좀 더 다양한 연구가 보완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며, 약 1 kGy 감마선 조사와 냉장저장을 병행함으로써 마즙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