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crobial decontamination

검색결과 60건 처리시간 0.032초

Effects of Ionizing Energy and Ozone Treatments on the Microbial Decontamination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Aloe Powders and Bee Pollen

  • Yook, Hong-Sun;Chung, Young-Jin;Kim, Jung-Ok;Kwon, Oh-Jin;Kim, Sung;Byun, Myung-Woo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2권2호
    • /
    • pp.89-95
    • /
    • 1997
  • The comparative effects of gamma irradiation an ozone treatment on the microbiological and physicochemical qualities were investigated for the improvement of hygienic quality of aloe powder and bee pollen. Gamma irradiation at 7.5~10kGy could reduce total aerobic bacteria, molds and coliforms below detection levels, but ozone treatment up to 18 ppm for 8hr was not sufficient to eliminate the microorganisms from aloe powder and bee polle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such as fatty acid an amino acid compositions, mineral content, TBA value, barbaloin and pigment contents were not significantly changed by gamma irradiation, whereas ozone treatment caused significant changes in fatty acid composition, lipid oxidation and destruction of barbaloin and natural pigments.

  • PDF

Pathophysiology and protective approaches of gut injury in critical illness

  • Jung, Chang Yeon;Bae, Jung Min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38권1호
    • /
    • pp.27-33
    • /
    • 2021
  • The gut is a complex organ that ha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digestion, absorption, endocrine functions, and immunity. The gut mucosal barriers consist of the immunologic barrier and nonimmunologic barrier. During critical illnesses, the gut is susceptible to injury due to the induction of intestinal hyperpermeability. Gut hyperpermeability and barrier dysfunction may lead to systemic inflammatory response syndrome. Additionally, gut microbiota are altered during critical illnesses. The etiology of such microbiome alterations in critical illnesses is multifactorial. The interaction or systemic host defense modulation between distant organs and the gut microbiome is increasingly studied in disease research. No treatment modality exists to significantly enhance the gut epithelial integrity, permeability, or mucus layer in critically ill patients. However, multiple helpful approaches including clinical and preclinical strategies exist. Enteral nutrition is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mucosal barrier in animal and human studies. The trophic effects of enteral nutrition might help to maintain the intestinal physiology, prevent atrophy of gut villi, reduce intestinal permeability, and protect against ischemia-reperfusion injury. The microbiome approach such as the use of probiotics, fecal microbial transplantation, and selective decontamination of the digestive tract has been suggested. However, its evidence does not have a high quality. To promote rapid hypertrophy of the small bowel, various factors have been reported, including the epidermal growth factor, membrane permeant inhibitor of myosin light chain kinase, mucus surrogate, pharmacologic vagus nerve agonist, immune-enhancing diet, and glucagon-like peptide-2 as preclinical strategies. However, the evidence remains unclear.

버섯의 미생물 위해성 및 저감화 처리기술 개발 현황 (Microbial Hazards and Microbe Reduction Technologies for Mushrooms)

  • 송현지;한아름;맹경호;장아라;김지연;이선영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287-296
    • /
    • 2023
  • 세계적으로 버섯에 대한 소비는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한국에서는 느타리버섯, 양송이버섯, 팽이버섯이 주로 유통되고 있다. 하지만, 버섯의 재배와 가공 과정에서 미생물 오염을 예방하기 위한 대안의 부재로 인하여 Listeria monocytogenes와 같은 병원성 미생물의 오염이 검출되고 있으며 버섯에 의한 식중독 및 리콜 사례가 다수 보고되고 있다. 버섯에서 오염된 미생물을 저감화하는 방법으로는 화학적 및 물리적 처리, 또는 이들을 결합하여 사용하는 병용처리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화학적 처리로는 염소 혼합물, 과산화아세트산, 4차 암모늄이온 화합물이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오존과 전해수를 이용한 방법도 최근에 개발되었다. 물리적 처리로는 초음파, 방사선조사, 콜드 플라즈마 기술이 이용되고 있으며, 병용처리 방법으로는 자외선/염소 혼합물, 오존/유기산, 초음파/유기산 등이 연구되었다. 본 리뷰에서는 국내에서 소비되는 버섯의 종류와 그에 대한 미생물 오염도를 조사하고, 버섯에 오염된 미생물을 제어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하여 조사하여, 정리하였다.

이산화염소수, Ultraviolet-C 또는 병합처리가 샐러리와 체리에서의 살균 및 냉장저장 중 미생물 성장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Aqueous Chlorine Dioxide and UV-C Irradiation on Decontamination and Growth of Microbes during Chilled Storage of Celery and Cherries)

  • 송현정;천호현;조완신;송경빈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402-407
    • /
    • 2012
  • 신선편이 채소류 중 샐러리와 체리의 미생물학적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50 ppm 이산화염소수와 10 kJ/$m^2$ 선량의 UV-C 조사와의 병합 처리에 따른 저장 중 미생물 수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E. coli O157:H7로 접종된 샐러리와 체리의 경우, 이산화염소수와 UV-C 병합 처리구의 E. coli O157:H7 수가 대조구와 비교했을 때 각각 2.8, 3.0 log CFU/g의 감소효과를 나타냈다. 또한 접종하지 않은 샐러리와 체리의 총 호기성 균은 병합 처리로 각각 2.9, 1.8 log CFU/g이 감소되었고, 효모 및 곰팡이도 1.8, 1.2 log CFU/g의 감소효과를 나타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 50 ppm 이산화염소수와 10kJ/$m^2$ UV-C 조사의 병합처리가 샐러리와 체리의 저장 중 오염될 수 있는 위해미생물 수 감소에 있어서 효과적인 살균처리 기술이라고 판단된다.

초산, 유산 및 구연산에 의한 냉장 돔의 오염 미생물 제거 (Microbial Decontamination of Refrigerated Red Seabream by Acetic, Lactic, and Citric Acids)

  • 김창렬;김정숙;고대희;이순자;은종방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263-267
    • /
    • 1997
  • 본 연구는 4$^{\circ}C$ 냉장조건에서 신선한 돔포의 미생물학적 저장 안정성 증진을 목적으로 초산, 유산 및 구연산 침지법을 이용하여 호기성 부패세균의 증식억제에 대한 영향을 조사하였다. 4개의 처리구로 만든 돔포는 각 0.25~1.0%의 초산, 유산 및 구연산의 위생수에서 5분 침지 후 처리구별로 플라스틱 저장백에 넣은 다음 실험에 사용하였다. 대조구는 수돗물에 5분간 침지하여 사용하였다. 각각의 2반복 시료는 4$^{\circ}C$, 12일 저장하면서 3일 간격으로 취한 다음 분석에 사용하였다. 0.25~1.0%(v/v) 초산 처리구는 4$^{\circ}C$, 12일 저장 동안 호기성 부패세균의 증식을 억제하는 데 효과적이었다. 0.25~1.0%(v/v) 유산 처리구 그리고 0.5~1.0%(w/v) 구연산 처리구는 각각 4$^{\circ}C$, 저장 9일 동안 호기성 부패세균의 증식을 억제하는데 효과적이었다. 돔포의 냉장 동안 초산처리구의 미생물학적 저장 안정성이 가장 높게 평가되었다.

  • PDF

전리(電離)에너지가 혼합(混合) 조미료(調味料)의 살균(殺菌) 및 품질(品質)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Ionizing Energy on the Decontamination and Quality of Mixed Condiment)

  • 윤형식;권중호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4권
    • /
    • pp.65-69
    • /
    • 1986
  • 혼합(混合) 조미료(調味料)의 효과적(效果的)인 살균(殺菌)을 목적(目的)으로 시료에 3~9kGy의 감마선을 조사한 뒤 $30^{\circ}C$에서 3개월 동안 저장하면서 미생물(微生物)의 생육도(生有度)와 살균처리(殺菌處理)에 따른 제품의 성분 및 관능적 품질을 평가해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시료(試料)의 미생물(微生物) 혼입도(混入度)는 일반세균(一般細菌)이 g당(當) $7.5{\times}10^5$, 대장균군(大腸菌群)이 $1.2{\times}10^2$이었으나 대장균군(大腸菌群)은 3kGy, 일반세균(一般細菌)은 9kGy 미만(未滿) 조사(照射)로서 완전사멸(完全死滅)되었고, 세균(細菌)의 $D_{10}$값은 1.94kGy로 나타났다. 2. 시료(試料)의 이화학적(理化學的) 특성(特性)은 살균처리(殺菌處理)에 따라서 거의 변화되지 않았으며, 저장기간이 경과될수록 3~6kGy 조사구는 대조구나 9kGy 조사구보다 성분의 변화가 적었다. 3. 시료(試料)의 관능적(官能的) 품질검사(品質檢査)에서 고선량(高線量) 조사(照射)는 제품(製品)의 풍미(風味)에 변화를 초래하는 것으로 나타나 이에 대한 구체적인 검토(檢討)가 요망(要望)된다.

  • PDF

Luminescence properties and compositions of contaminating inorganic minerals separated from gamma-irradiated fresh and white ginsengs from different areas

  • Ahn, Jae-Jun;Akram, Kashif;Jeong, Mi-Seon;Kwak, Ji-Young;Park, Eun-Joo;Kwon, Joong-Ho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7권4호
    • /
    • pp.483-490
    • /
    • 2013
  • Gamma-irradiation (0-7 kGy) of ginseng is permitted in Korea for the purpose of microbial decontamination; with strict labeling, traceability and monitoring requirements. An identification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photostimulated-luminescence (PSL) and thermoluminescence (TL) properties of gamma-irradiated fresh and white ginsengs cultivated in different areas. Dose- dependent PSL-based screening was possible for white ginseng samples; however, inappropriate results from non-irradiated fresh ginseng samples were obtained, showing intermediate (700 to 5,000) or positive ($T_2$ >5,000, irradiated) PSL counts due to the abundance of minerals on the surfaces of the samples. TL analysis of separated minerals from all non-irradiated samples gave TL glow curves of low intensity with a maximum peak after $300^{\circ}C$. However, well-defined irradiation-specific (high intensity with a maximum peak at about $200^{\circ}C$) glow curves were observed for all the irradiated samples, regardless of their type and origins. TL ratios (first glow curve /second glow curve) were also determined to confirm the irradiated (>0.1) and non-irradiated (<0.1) results. SEM-EDX (scanning electron microscope-energy dispersive X-ray) and XRD (X-ray diffraction) spectroscopic analyses showed that feldspar and quartz minerals were the main source for the typical radiation-specific luminescence properties.

적무 새싹종자의 소독제 처리에 의한 발아 시 미생물 제어효과 (Effects of Seed Decontamination Treatments on Germination of Red Radish Seeds during Presoaking)

  • 전소윤;김윤화;성정민;정진웅;문광덕;권중호;이연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10호
    • /
    • pp.1528-1534
    • /
    • 2010
  • 건강웰빙식품의 하나로서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새싹채소는 미생물학적 관점에서 안전성 확보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새싹채소의 병원성 미생물을 제거하기 위해 적무종자의 발아 전 침지동안 종자 소독처리에 따른 미생물 제어 효과와 발아율을 평가하였다. L. monocytogenes ATCC 19111가 3~4 log CFU/g의 농도로 접종된 적무 종자는 20,000 ppm calcium hypochlorite, 50 ppm과 100 ppm 염소수, 오존수, 전해산화수 및 전해환원수로 처리하였으며, 증류수에 침지시킨 종자를 대조군과 비교하였다. 발아율은 각 처리군에 대해 48시간 동안 조사하였다. 일반세균과 L. monocytogenes 모두 20,000 ppm calcium hypochlorite에 침지 후 3 logs 이상의 가장 큰 감소효과를 보였고, 염소수, 전해산화수와 전해환원수 침지 후 일반세균과 L. monocytogenes 수는 각각 3 logs와 2 logs 감소되었으며, 염소수와 오존수를 제외하고는 온도변화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종자 발아 후 일반세균 수는 모든 처리군에서, L. monocytogenes 수는 염소수 50 ppm과 오존수를 제외한 모든 처리군에서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낮았으며, 염소수 100 ppm을 제외하고는 온도변화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발아율은 48시간 후 calcium hypochlorite(82.3~84.8%)를 제외하고 다른 모든 소독제 처리 시 93.5~97.7%로 나타났으며 대조군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 연구에서 사용된 소독제 처리가 적무 종자에 접종된 L. monocytogenes를 완전히 사멸시키지는 못했지만, 발아 동안 재배수의 소독처리가 추가 병행된다면 생존한 균의 급속한 성장을 지연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re Bound Residues a Solution for Soil Decontamination\ulcorner

  • Bollag, Jean-Marc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3년도 International Symposium
    • /
    • pp.111-124
    • /
    • 2003
  • 기존의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많은 화학적-물리적 정화 방법은 고비용과 오랜 시간을 요구하는 처리 과정 등의 단점을 갖고 있는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흙과 수(水)환경내로 유입된 오염물질을 빠른 시간 내에 제거 할 수 있는 대안이 요구 되었다. 흙에 유출된 화합 물질 중 상당양은 흙에 의해 격리, 구속되고 이로 인해 일단 구속된 오염물질은 물과 유기 용매에 의해서도 잘 추출되지 않는 것으로 보고 되고 있다. 이러한 흙에 의한 오염물질의 비유동성(immobilization) 과정은 오염물질의 제거 기술의 대안으로 평가 될 수 있다. 기존 연구자들의 연구 결과, 화학적 혹은 물리적 반응 작용을 통해 오염물질을 흙을 구성하는 물질에 구속할 수 있음이 증명되었다. 이러한 과정 중 환경적 측면에서 볼 때, 화학적 반응이 더 우수하다 할 수 있다. 이는 강한 공유결합(covalent bonds)으로 연결될 경우 미생물의 활동이나 화학 처리로도 이를 분리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리그닌(lignin) 분해에서 발생하는 휴믹(humic) 물질 등이 안정 된 화학적 연결을 통해 흙 매질 내에 오염물질과 결합하는 대표적 물질이다. 인위적으로 제조된 많은 화학물질은 자연적에서 발생하는 휴민산 발생원(humic acid precursors)과 닮았다. 따라서 화학물은 부식 과정(humifications process)동안 부식토(humus) 내로 병합(incorporate)되어 진다. 일단 이렇게 구성된 결합체는 생물체와 오염물질과의 반응을 방지하여 오염물질로 인한 생물체로의 독성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흙의 유기물(organic matter)와 오염물질과의 결합체에 대한 평가로서 다음의 항목에 대한 고찰이 이루어져야 함을 강조하였다. (a)결합체에서 생물체(biota)와의 반응에 의해 오염물질은 감소되는가\ulcorner (b) 모(parent) 화합물과 비교하여 복합체 생성물(complexed products)이 얼마나 덜 유독한가\ulcorner 그리고 (c)지하수 오염이 오염물질의 유동성 구속에 의해 얼마나 감소되는지\ulcorner

  • PDF

새싹채소 생산현장에서 재배공정별 미생물학적 위해 평가 (Microbiological Evaluation in situ of Each Process in Seed Sprouting)

  • 전소윤;김태훈;권중호;이연경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971-976
    • /
    • 2009
  • 건강 웰빙식품의 하나로서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새싹채소류는 미생물학적 관점에서 생산단계별 위해분석과 안전성 기준이 부재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생산현장에서 새싹채소의 재배공정별 미생물학적 오염도를 분석 평가하였다. 새싹채소 종자의 일반세균수 및 대장균군수는 각각 3.04~5.21 log CFU/g, 1.80~3.86 log CFU/g의 범위로 나타났으며, 소독유무에 관계없이 재배기간 동안 일반세균(6.99~8.26 log CFU/g) 및 대장균군수(3.70~7.15 log CFU/g)는 증가하였고, 최종 새싹채소에서도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소독된 종자의 발아 후 전 단계에서는 식중독균이 검출되지 않았으나, 종자소독을 하지 않은 국내산 무와 유채에서 E. coli가 검출되었고, 국내산 적무에서 E. coli와 식중독균인 Bacillus cereus 및 Listeria monocytogenes가 검출되었다. 따라서 종자생산에서부터 새싹채소의 생산 전 단계에 걸친 HACCP 가이드라인을 마련하여 중점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