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thyl ester

검색결과 767건 처리시간 0.022초

HS-SPME GC/MS를 이용한 젤펜잉크의 휘발성 성분 (Volatile organic components of gel pen inks by HS-SPME GC/MS)

  • 김창성;최미정;선일식;박성우
    • 분석과학
    • /
    • 제23권4호
    • /
    • pp.423-428
    • /
    • 2010
  • 젤펜잉크 중 휘발성 성분을 스크리닝하여 개체특성자료를 확보하고자 3개국에서 생산된 16종의 흑색 젤펜잉크 카트리지를 시료로 분석하였다. 검출된 성분은 총 20종으로 isopropylalcohol, 2-methyl-2-propanol, 2-butanone, hydrazinecarbothioamide, benzeneacetic acid (ethyl ester), benzeneacetic acid, dimethoxymethy-silane, 2,2-dimethoxybutane, tetrahydro-2-methyl-furan, 1,2-ethanediol, silicic acid (tetramethyl ester), 1,2-propanediol, propyleneglycol, 3-ethyl-3-hexanol, 1,1-dipropoxy-propane, 2-butoxy-ethanol, 2,2'-oxybisethanol, 1-butyl-benzene, 2-pyrrolidinone, 2-(2-butoxyethoxy)-ethanol이었다. 그중 2,2-dimethoxybutane은 3.02~47%의 비율범위로 16종 젤펜 모든 시료에서 검출되었으며 tetrahydro-2-methyl-furan의 경우 1.19~52.19%로 GP1을 제외한 15종의 시료에서 검출되었다. 특히 일본산 제품 5종에서는 1,2-ethanediol가 52.83~95.84%의 범위, 한국산 동아제품 3종에서는 76.17~93.51%의 범위로 1,2-propanediol가 높은 함유율로 나타나 생산국에 따른 특성과 제조사별 특정성분의 함유분포를 알 수 있어서 잉크 휘발성 성분으로 개체특성을 확인하였다.

재사용이 가능한 MFB로부터 Aromatic Ester가 도입된 4,4'-Di((E)-styryl)-1,1'-biphenyl의 골격을 갖는 새로운 Fluorescent Whitening Agent의 개발 연구 (Development of New Fluorescent Whitening Agent with 4,4'-Di((E)-styryl)-1,1'-biphenyl Skeleton Attached with Aromatic Ester from Recyclable Source MFB)

  • ;김석찬
    • 공업화학
    • /
    • 제29권3호
    • /
    • pp.303-306
    • /
    • 2018
  • DMT 생산과정의 부산물로서 폐기 처리되어 왔던 methyl 4-formylbenzoate (MFB)를 출발 물질로 하여 고급 형광 증백제 family와 동일한 4,4'-di((E)-styryl)-1,1'-biphenyl 기본 골격을 갖고 aromatic ester가 도입된 새로운 형광 증백제(fluorescent whitening agent) 후보 물질 6종을 합성하였다. 후보 물질 6종은 MFB 및 그의 유도체와 tetraethyl biphenyl-4,4'-diylbis(methylene)diphosphonate와 Wittig-Horner 반응을 이용하여 합성하였다. 합성된 6종에 대하여 형광증백제로의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UV 스펙트럼을 기록하여 흡광 계수를 얻었으며, 6종 모두 전반적으로 기존 상용 제품(log ${\varepsilon}$ 4.85)과 유사한 몰 흡광 계수(log ${\varepsilon}$ 4.59~5.00)를 보여주고 있다. 특별히 화합물 디메톡시 페닐그룹을 갖는 16, 17은 기존 상용 제품보다 우수한 몰흡광 계수를 나타내고 있어 상용화를 위한 현장 테스트를 진행할 예정이다.

Isolation and Structural Determination of Free Radical Scavenging Compounds from Korean Fermented Red Pepper Paste (Kochujang)

  • Chung, Jin-Ho;Shin, Heung-Chule;Cho, Jeong-Yong;Kang, Seong-Koo;Lee, Hyoung-Jae;Shin, Soo-Cheol;Park, Keun-Hyung;Moon, Jae-Hak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8권2호
    • /
    • pp.463-470
    • /
    • 2009
  • Sixteen antioxidative active compounds isolated from the EtOAc layer of MeOH extracts of kochujang, Korean fermented red pepper paste, were structurally elucidated as fumaric acid, methyl succinate, succinic acid furan-2-yl ester methyl ester (gochujangate, a novel compound), 2-hydroxy-3-phenylpropanoic acid, 3,4-dihydroxybenzoic acid, 2,3-dihydroxybenzoic acid, 2,4-dihydroxybenzoic acid, 6,7-dihydroxy-2H-chromen-2-one (esculetin), caffeic acid, cis-p-coumaric acid, trans-p-coumaric acid, daidzin, genistin, apigenin 7-O-$\beta$-D-apiofuranosyl($1{\rightarrow}2$)-$\beta$-D-glucopyranoside, apigenin 7-O-$\beta$-Dglucopyranoside, and quercetin 3-O-$\alpha$-L-rhamnopyranoside by mass spectrometry (MS) and nuclear magnetic resonance (NMR) experiments. These compounds were analyzed for the first time as antioxidants from kochujang.

에스테르엔올 음이온의 Claisen 자리옮김 반응에 의한 Permethrin의 합성 (Synthesis of Permethrin using Ester Enolate Claisen Rearrangement)

  • 김인규;강석구;홍장후
    • 대한화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548-552
    • /
    • 1986
  • (${\pm}$)시스- 및 트란스-3-(2,2-디클로로비닐)-2,2-디메틸-1-시클로프로판 카르복시산 3-페녹시벤질을 2-메틸-3-부텐-2올($\underline{2}$)을 출발물질로하여 입체선택적으로 합성하였다. 아세트산과 무수아세트산의 존재하에서 2-메틸-3-부텐-2-올을 알릴자리옮김 반응에 의해 아세트산3-메틸-2-부텐-일($\underline{3}$)을 얻은 다음 이 아세트산 알릴($\underline{3}$)의 [3,3] 시그마 자리옮김 반응에 의해 ${\gamma},\;{\delta}$-불포화산($\underline{4}$)을 얻었다. 3,3-디메틸-4-펜텐산($\underline{4}$)을 SOCl$_2$로 처리하고 3-페녹시벤질알코올로 에스테르화 시켜 알코올 부분이 구축된 3,3-디메틸-4-펜텐산 3-페녹시벤질($\underline{6}$)을 얻어서 사염화탄소의 첨가 후 그리화에 의해 (+)시스-및 트란스-3-(2,2-디클로로비닐)-2,2-디메틸-1-시클로프로 판카르복시산 3-페녹시벤질을 합성하였다

  • PDF

Recent advances of pectin-based biomedical application: potential of marine pectin

  • Kim, Min-Sung;Chandika, Pathum;Jung, Won-Kyo
    • 한국해양바이오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28-47
    • /
    • 2021
  • Pectin is a natural polysaccharide and biopolymer that serves as a structural component of plant tissues' primary cell walls. Pectin is primarily composed of D-galacturonic acid linked by α-1, 4-glycosidic linkage and is further classified by the ratio of esterified galacturonic acid groups known as degree of esterification (DE). Pectin that contains more than half of its carboxylate units as methyl esters is known as a high methyl (HM) ester. Conversely, pectin that has less than half of its carboxylate units as methyl esters is known as a low methyl (LM) ester. Pectin has various bioactive properties, including anticancer, anti-inflammatory, antioxidant, antidiabetic, anticholesterol, antitumoral, and chemopreventive properties. Moreover, pectin is a useful biopolymer in biomedical applications. Biomedical engineering, which is founded on research aimed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using new materials and technologies, is typically classified according to the use of hydrogels, nanofiber mats, and nanoparticles. This paper reviews the progress of recent research into pectin-based biomedical applications and the potential future biomedical applications of marine-derived pectin.

누룩(Rhizopus oryzae KSD-815)으로부터 분리한 지질화합물의 세포독성 및 항염증 활성 (Cytotoxic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Lipids from the Nuruk (Rhizopus oryzae KSD-815))

  • 곽호영;이상진;이대영;배낙현;정낙훈;홍성렬;김계원;백남인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1권2호
    • /
    • pp.142-147
    • /
    • 2008
  • Rhizopus oryzae KSD-815를 밀에 접종하여 만든 누룩(Rhizopus oryzae KSD-815)에서 4종의 지질 화합물을 분리하여 화학구조를 동종하였다. 건조된 누룩을 실온에서 80% MeOH 수용액으로 추출하고 이추출물을 EtOAc 분획, n-BuOH 분획, $H_2O$ 분획으로 나누었다. EtOAc분획은 다시 80% MeOH 과 n-hexane 으로 분획하였다. n-Hexane 분획에 대해 silica gel 및 ODS column chromatography를 반복 실시하여 4종의 지질 화합물을 분리, 정제하였다. NMR, IR, GC/MS 등을 통하여 화합물 1(linolenic acid methyl ester), 화합물 2(palmitic acid methyl ester), 화합물 3(linoleic acid), 화합물 4(palmitic acid)의 구조를 결정하였다. 이 지방산 화합물의 세포독성을 평가하기 위해 인체 유래 유방암(MDA-MB-231)과 간암(SK-HEP-1)세포주에 대해 MTT assay를 수행하였다. 두 암 세포주에서 화합물 1(linolenic acid methyl ester)과 화합물 3(linoleic acid)은 농도의존적인 세포독성을 확인하였다. 또 염증반응 매개체의 일종인 nitric oxice(NO)의 생성 억제 활성을 Griess 방법으로 평가한 결과, 화합물 3(linoleic acid)은 LPS와 IFN-${\gamma}$에 의해 유도 된 NO 생성도 저해하는 것을 RAW264.7 세포에서 확인하였다.

팜유로부터 바이오디젤 연료를 합성하는 초임계유체반응에서 지방산메틸에스테르의 함량에 미치는 첨가물의 영향 (Effect of Additives on the Contents of Fatty Acid Methyl Esters of Biodiesel Fuel in the Transesterification of Palm oil with Supercritical Methanol)

  • 이홍식;최준혁;신영호;임영섭;한종훈;김화용;이윤우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6권4호
    • /
    • pp.747-751
    • /
    • 2008
  • 수분이나 유리지방산 함량이 높은 폐식용유의 적용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초임계메탄올을 이용한 바이오디젤 연료의 합성에서 첨가물이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실험하였다. 회분식 반응기를 이용하여 물, 유리지방산, 항산화물질의 함량을 달리하여 전이에스테르화반응을 진행하였고, 기체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해 시료에 포함된 지방산메틸에스테르의 양을 측정하였다. 수분이 증가함에 따라 생성되는 지방산메틸에스테르의 함량이 약간 감소했으나 염기촉매나 산촉매에 비해서는 그 폭이 아주 작았다. 유리지방산, 비타민 E, ${\beta}$-카로틴의 함량 변화에 따른 영향은 거의 없었다.

Synthesis of Methyl 2, 6-Dimethyl-5-(1', 2'-Dioxo-2'-Ethoxyethyl)-4-(3'-Nitrophenyl)-1, 4 Dihydropyridine -3-Carboxylate

  • Suh, Jung-Jin;Hong, You-Hwa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13권3호
    • /
    • pp.257-260
    • /
    • 1990
  • Hantzch's type reaction of methyl acetopyruvate (2a), methyl 3-aminocrotonate (3) and 3-nitrobenzaldehyde (4) led to dimethyl 3-acetyl-6-methyl-4-(3'-nitrophenyl)-2, 5-dicarboxylate (5a) and methyl 2, 6-dimethyl-5-(1', 2'-dioxo-2'-methoxyethyl)-4-(3' nitrophenyl)- 2, 5-dicarboxylate (5a) and methyl 2, 6-dimethyl-5-(1', 2'-dioxo-2'methoxyethyl_4-(3' nitrophenyl)1, 4-dihydropyridine-3-carboxylate (6a) in 26.7 and 9.2% yield,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methyl 2, 60dimethyl-4-(3'-nitrophenyl)-1, 4-dihydropyridine 3-carboxylate (9) was acylated by ethyl oxaly chloride to give methyl 2, 6-dimethyl-5-(1', 2'-dioxo-2'-ethoxyethyl)-4-(3'-nitrophenyl)-a, 4-dihydropyridine-3-carboxylate (6b) in 76.8% yield.

  • PDF

Aspergillus oryzae 누룩으로 담금한 탁주 술덧의 발효 과정 중 휘발성 향기성분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Mash of Takju prepared by using Aspergillus oryzae Nuruks.)

  • 이택수;한은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366-372
    • /
    • 2001
  • Aspergillus oryzae균을 파종하여 만든 누룩으로 담금한 탁주 술덧의 발효과정 중 휘발성 향기성분을 GC와 GC-MS를 사용하여 분석 동정한 결과 ester 24종, alcohol 21종, acid 10종, aldehyde 9종, 기타 4종 등 68종의 향기 성분이 동정되었다. 동정된 향기성분 수는 담금일에 ester 13종, alcohol 12종을 비롯한 총 36종이었으나, 발효 2일에 ester 10종, alcohol 8종을 포함한 29종이 추가 검출되어 65종으로 증가되었다. 발효 12일에는 68종으로 향기 성분수가 최대에 달하였다. ethanol, 3-methyl-1-butanol, 2-methyl-1-propanol, benzeneethanol등 alcohol류 12종, ethyl acetate, ethyl caprylate, ethyl butyrate 등 ester류 13종, acetaldehyde, isobutyl aldehyde등 aldehyde 4종, pentanoic acid , acetic acid등 acid 6종 등 총 35종은 발효 전과정을 통하여 검출되었다. 향기 성분의 면적비율은 ethanol이 $79.86{\sim}89.54%$로 발효 전기간을 통하여 탁주 술덧에서 타 성분 보다 월등히 높았다. ethanol을 제외하고 발효 전과정을 통하여 면적비율이 높은 성분은 ethyl caprylate, 3-methyl-1-butanol, benzeneethanol이었다. 이외 발효기간에 따라서 2-methyl-1-propanol, 1-hexanol, 2,3-butanediol(D.L), 1-dodecanol, 2-phenylethyl acetate, ethyl acetate, monoethyl butanoate, diethyl succinate, ethylbenzoic acid, acetic acid, isobutylaldehyde등의 성분도 동종 계열간의 향기 성분중 면적비율이 다소 높게 나타나기도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