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dia contents

검색결과 3,605건 처리시간 0.022초

한국 소셜 미디어에서 폐기물 순환 관련 동영상 콘텐츠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Video Contents Related to Waste Cycle in Korean Social Media)

  • 신오영;정상규;반영운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11호
    • /
    • pp.229-234
    • /
    • 2021
  • 이 연구는 한국의 소셜 미디어에서 폐기물 순환과 관련된 동영상 콘텐츠의 특성을 규명하였다. 제작주체들 중에서 방송사업자가 제작한 동영상의 인기가 가장 높았고 주로 시사 및 교육 콘텐츠가 인기가 높았다. 동영상에서 폐기물 순환 문제의 해법들 중에서 '제도 및 정책 개선'이 가장 지배적으로 다루어졌다. 방송사업자, 지방자치단체, 비영리민간단체, 중앙행정기관은 해법 전달과 소비자 참여를 위해 소셜 미디어를 적극 활용하였다. 하지만 폐기물에 대한 사회적 책임이 있는 기업이 제작한 콘텐츠는 매우 적었다. 연구의 결과물들은 폐기물 순환 관련 동영상 제작과정에서 소통 중심의 대중 친화형 콘텐츠 개발의 중요성을 보여준다. 이들은 관련 제도 및 정책의 개발과 개선을 지지하는 의사결정에 유용한 지침이 될 것으로 본다.

게임과 영화의 스토리텔링 융합 요소에 대한 연구 (Transmedia Storytelling of Game and Film)

  • 이동은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8권3호
    • /
    • pp.301-308
    • /
    • 2007
  • 21세기의 수많은 콘텐츠들은 치열한 경쟁 속에서 살아남기 위해 미디어를 이동하면서 자신의 존재와 생명력을 유지하고 발전시켜 가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현재 대중에게 가장 흡입력 있게 향유되고 있는 미디어인 게임과 영화가 그들 매체의 고유한 특성을 유지하면서 타 미디어에 흡수되었던 콘텐츠를 받아들여 융합할 때 어떤 요소들이 주축이 되는지를 밝히고자 했다. 게임과 영화의 스토리텔링 융합 요소를 밝히기 위해 우선 두 미디어의 재매개 양상을 통해 탄생배경과 미디어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두 미디어의 변별요소인 게임성과 스토리성의 개념을 도출해내었다. 또한 어드벤처 장르의 게임과 영화를 중심으로 그 융합에 있어 핵심이 되는 요소들을 추출하고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각 요소들이 각 매체에서 어떻게 스토리텔링 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결론에서는 하나의 콘텐츠가 미디어를 타고 흐르는 현상이 문화 산업적인 측면에서 어떤 가치를 갖는지를 살펴보았다.

  • PDF

사용자 피드백 정보 기반 실감효과 메타데이터 생성 방법 (A Method of Sensory Effect Metadata Generation Based on User Feedback Information)

  • 김철민;허용수;김은석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1권7호
    • /
    • pp.802-812
    • /
    • 2018
  • Recently, there are several active and vibrant studies on Realistic Media that try to provide the immersion and the presence by adding sensory effects to video. Because existing sensory effects on Realistic Media are produced through experts and automation programs on sensory effects, there is a limit to fill up the gap of user satisfaction which comes from the diversity of cybernauts.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to improve the satisfaction with sensory effects by collecting and analyzing user's response information, and applying the result to the attributes of sensory effects. The proposed method allows you to produce the Sensory Effect Metadata effectively by analyzing users' biometric data and subjective satisfaction with realistic media experience, measuring the weighted value to revise the effects, and applying to the attribute of sensory effect. The experimental result shows that the proposed method improves the satisfaction with realistic content by generating the revised Sensory Effect Metadata in response to user's experiential feedback information.

폐쇄망 환경에서 1인 미디어 라이브 시스템 구현 (Implementation of One-Person Media Live System in Closed Network Environment)

  • 김대진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8권8호
    • /
    • pp.1523-1527
    • /
    • 2017
  • 최근 사용자가 직접 촬영을 하여 콘텐츠를 만들고, 이 데이터를 인터넷을 통해 다수에게 방송하는 서비스들이 점점 많아지고 있다. 1인 미디어 라이브 서비스는 생활 속에서 인기를 끌고, 비슷한 서비스들이 일반화 되고 있다. 이러한 서비스는 대부분 일반 사용자를 대상으로 한다. 그러나 서비스 모델이나 상황에 따라, 특히 보안에 민감한 서비스 환경에서는 공유의 대상이 제한이 되는 경우들이 있다. 특히 군대, 관공서, 보안기관등 폐쇄망 환경에 있는 경우, 이들만의 특별화 된 서비스 구성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폐쇄망 환경에서 1인 미디어 라이브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이를 통해 서비스 환경에 적합한 시스템 구성 요소를 알아보고, 이들을 어떻게 개발해야 되는지 연구하였다.

뉴-미디어 기상정보 서비스 프레임워크 개발 연구 (A Study on Framework Development of Weather Information Services on New-Media)

  • 김진태;윤용인;이강호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6권11호
    • /
    • pp.201-208
    • /
    • 2011
  • 본 논문은 옥외 전광판, DID, 지상파 다채널방송 등 뉴-미디어에 적합한 콘텐츠 가공 및 제공을 위한 기상정보 서비스 프레임워크 개발연구이다. 미디어 이용에 대한 분석과 인지과학의 내용을 도입하여 기상정보의 인지률을 높이는 컨텐츠 제작 방법을 제시하고, 뉴-미디어에 대하여 기상정보서비스의 계층적 프레임워크를 설계 한다. 다양한 뉴-미디어에대한서비스를 프레임워크로 통합함으로써 중복된 서비스 투자를 방지하고 기술적으로도 한 단계 발전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한다.

Research on Technology Production in Chinese Virtual Character Industry

  • Pan, Yang;Kim, KiHong;Yan, JiHui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14권4호
    • /
    • pp.64-79
    • /
    • 2022
  • The concept of Virtual Character has been developed for a long time with people's demand for cultural and entertainment products such as games, animations, and movies. In recent years,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concepts and industries such as social media, self-media, web3.0, artificial intelligence, virtual reality, and Metaverse, Virtual Character has also expanded new derivative concepts such as Virtual Idol, Virtual YouTuber, and Virtual Digital Human. With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people's life is gradually moving towards digitalization and virtualization. At the same time, under the global environment of the new crown epidemic, human social activities are rapidly developing in the direction of network society and online society. From the perspective of digital media content, this paper studies the production technology of Virtual Character related products in the Chinese market, and analyzes the future development direction and possibility of the Virtual Character industry in combination with new media development directions and technical production methods. Consider and provide reference for the development of combined applications of digital media content industry, Virtual Character and Metaverse industry.

유료방송시장의 광고규제 정체 원인과 규제완화 방안 (Problems and Improvement of Restrictions of Ad for Pay TV Market)

  • 차영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8호
    • /
    • pp.123-135
    • /
    • 2012
  • 콘텐츠의 디지털화와 네트워크의 광대역화로 인한 다매체 다채널 환경은 광고시장에도 많은 변화를 초래하고 있다. 콘텐츠 유통 윈도우로서의 플랫폼은 증가하고 있지만 이를 장악하는 미디어는 제작능력과 자본능력을 보유한 소수의 매체라는 점에서 증가하는 플랫폼을 통한 추가 광고의 수익은 대부분 이들 거대 독점 미디어에 쏠려 있는 것이 현실이다. 여기에 미디어렙 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하면서 일부 미디어에 편중된 광고시장의 쏠림현상이 가속화될 전망이다. 이와 같은 현실에서 다양한 장르와 실험적인 도전으로 새로운 콘텐츠 제작과 유통의 성장이 예견되고 있는 유료방송시장이 직접적인 영향권에 놓일 전망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유료방송광고시장의 확대를 위한 방법론과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의 결과, 간접광고와 가상광고, 광고금지 품목에 대한 개선방안이 제시되었고, 기업과 정부 차원에서 광고시장 확대를 위한 방법론이 제시되었다.

TV미디어 컨텐츠로서 광고에 대한 수용자의 인식 연구 - TV드라마.영화를 비교한 탐색적 시도 - (A Study on the Audience's Conception for the Advertising, as TV Media Contents - A comparative and exploratory study with TV drama & Cenema -)

  • 정창준
    • 디자인학연구
    • /
    • 제17권2호
    • /
    • pp.105-112
    • /
    • 2004
  • 광고연구에서 거시적 접근은 전체의 흐름을 파악하거나 문제를 발견하는 데에 용이하게 해준다. 본 논문은 이러한 거시적 접근으로서 광고를 하나의 TV미디어 컨텐츠로 보고, 사회ㆍ문화적 영향력에 있어서 실제로 수용자들이 인식하는 것은 어떤 것인가를 알아보려는 것이다. 특히 TV컨텐츠 중에서 개인의 가치관 형성에 영향력을 미치는 드라마와 영화를 비교하여 조사해 봄으로써 그 영향력의 실체를 입체적으로 밝혀 보려고 시도하였다. 광고가 갖는 TV미디어 컨텐츠로서의 영향력 측정은 피조사자에게 28개 가치관 항목에 대한 개개인의 영향력을 광고ㆍ드라마ㆍ영화 세 가지에 대하여 응답하게 하였고, 이를 통계처리 하였다. 조사결과, TV미디어 컨텐츠로서의 광고에 대해 유의미한 가치관 항목이 '성취감', '변화 있는 생활', '진취적으로 사는 것'과 같은 것으로 인식되고 있었는데, 이것은 주로 광고를 통해서는 다른 두 개 컨텐츠에 비교되며, 사회ㆍ문화적 측면에서 어떤 변화를 주도하는 것과 새로움, 진취적인 삶의 방식에 대해 영향을 받고 있고, 그렇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 PDF

뉴미디어 시대 뉴스 소비자들의 뉴스 콘텐츠 소비실태 분석 (News Content Consumption Analysis of News Consumers in the Era of New Media)

  • 최진봉;이미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207-218
    • /
    • 2017
  • 본 연구는 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커뮤니케이션 기술의 발달과 정부의 탈규제 방송정책으로 소수의 거대 미디어 기업이 뉴스소비 시장을 장악하고 있는 상황에서 국내 뉴스의 소비 실태를 분석하여 미디어 소유 집중이 여론독점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뉴미디어와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기술의 발달로 생성된 새로운 뉴스 소비 시장에서 뉴스 소비자들의 뉴스 소비실태를 분석하고, 이러한 새로운 뉴스 소비 환경이 수용자들의 뉴스 소비 형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하였다. 연구 분석을 위해 총 22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네이버 뉴스 서비스에 대한 소비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령이 낮을수록 네이버 뉴스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향이 더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뉴스 소비자들은 뉴스 매체 선택에 있어서 뉴스 품질에 대한 기준이나 판단, 또는 언론의 역할에 대한 기준 없이 편리성에 의해 뉴스를 소비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 되었다.

환경 적응적 3D 깊이 재구성 방법 (A New 3D Depth Reconstruction Method Adaptive to Various Environments)

  • 김정언;강행봉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271-279
    • /
    • 2016
  • The recent development of the HD (High Definition) and UHD (Ultra High Definition) technology allowed the growth of 3D contents market. Yet the majority of the 3D contents in the market are strictly for 6.5 cm inter-ocular distance, causing various visual discomforts for the viewers who have different inter-ocular distance. Moreover, because the 3D contents are created for a fixed viewing distance, the change of the viewing distances when watching 3D contents can also cause visual conflicts. To solve this problem, we devised techniques that consider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of the viewer watching 3D contents. By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viewing distance, inter-ocular distance, and perceived depth, we created an adaptive content viewing system that reflects the viewer's environment to minimize any conflicts in watching 3D contents. From our experiments, we found that the performance of our adaptive content viewing system was reasonab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