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at processing industry

검색결과 84건 처리시간 0.029초

고온가열처리에 의한 바다방석고둥 (Omphalius pfeifferi capenteri)의 식품성분 변화 (Changes in Pood Components of Top Shell, Omphalius pfeifferi capenteri by Thermal Processing at High Temperature)

  • 하진환;송대진;김풍호;허민수;조문래;심효도;김혜숙;김진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66-172
    • /
    • 2002
  • 바다방석고둥을 원료로 한 신제품 개발에 관한 일련의 기초 연구로 저장성 부여를 위하여 시도하는 고온가열처리 조건 ($F_0$ 5분, $F_0$ 10분, $F_0$ 15분 및 $F_0$ 20분)에 따른 바다방석고둥의 성분변화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바다방석고등 통조림은 살균을 $F_0$ 5분 이상 처리하는 경우 저장 중 팽창관이 발생하지 않았고, 또한 생균수가 검출되지 않아 저장성이 있었다. 고온가열처리 정도가 증가할수록 바다방석고둥의 일반성분 중 수분함량은 감소하였고, 조단백질 함량은 증가하였으며, 조지방 및 조회분 함량은 거의 변화가 없었다. 또한 바다방석 통조림은 고온가열처리 정도가 증가할수록 이취에 관여하는 휘발성염기질소 함량, pH와 색조에 관여하는 갈변도는 증가하였고, 영양에 관여하는 구성아미노산, 무기질과 맛에 관여하는 유리아미노산, TMAO, total creatinine 및 수율 등은 감소하였다. 이들을 색조, 조직감 및 맛에 대하여 관능검사한 결과 자숙처리한 시료에 비하여 모든 항목에서 $F_0$ 10분까지는 차이가 없었으나, 그 이상 가열처리한 경우 품질이 저하하였다고 인지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바다방석고둥을 고온가열처리하석 신제품을 개발하고자 하는 경우 $F_0$ 값이 10분 이상이면 바람직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식품가공공장의 에너지 절감을 위한 batch식 가열 공정 에너지 소비 분석 : 사례 연구 (Energy Consumption Analysis of Batch Type Heating Process for Energy Savings in Food Processing Plants)

  • 여채은;조우진;구재회;임채영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3호
    • /
    • pp.817-823
    • /
    • 2023
  • 제조 공장은 기후 변화에 따른 에너지 사용 절감 문제에 직면해 있다. 에너지 소비 절감은 생산 비용 절감 및 효율 개선과 같이 가장 중요한 문제 중 하나로 볼 수 있다. 제조 산업 군 중에서도 식품 에너지 소비 규모 증가는 식생활 수준 향상 및 인구 증가와 더불어 점차 높아지고 있다. 식품가공공장의 에너지 절감을 위해서는 에너지 다소비 공정에서의 에너지 소비 특성을 파악하고 분석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앞서 기존 에너지 소비량을 모니터링하고 분석하여 절감 방안을 도출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육가공류를 생산하는 중소기업 규모 식품가공공장을 사례 연구로 하여 batch식 가열 공정의 주기·단계 수준에서의 에너지 소비 구조를 파악하고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개별 공정 작업 조건에서 얻을 수 있는 현실적이고 정량적인 목표를 수립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중소기업 식품 공장 공통 핵심 공정에 대한 확산 보급형 에너지 절감 FEMS 기술 개발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오징어 내장유를 이용한 어육버거의 품질개선 (Quality Improvement in Fish Burger by Addition of Squid Viscera Oil)

  • 김진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0권4호
    • /
    • pp.318-322
    • /
    • 1997
  • 오징어 내장유를 식용자원으로 이용하기 위한 일련의 연구로서 젤라틴, 물 및 정제 오징어 내장유로 형성된 유화물의 첨가에 의한 어육버거의 품질개선을 시도하였다. 과산화물값, 갈변도, 헌터색조, 젤리강도 및 관능검사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고등어버거의 기능성 개선을 위한 유화물의 적절한 첨가량은 마쇄한 고등어육에 대하여 6%로 판단되었다. 채육한 고등어육에 대하여 6%에 해당하는 유화물을 첨가하여 제조한 고등어버거는 휘발성 염기질소, 총균수 및 히스타민함량이 각각 19.0 mg/100g, $6.2{\times}10^4CFU/g$ 및 50.7 mg/100g으로 그 함량이 낮아 식품위생적으로 안전하다고 판단되었다. 유화물 첨가 고등어버거의 포화산에 대한 고도불포화지방산의 비율은 1.13이었다. 색조, 젤리강도, 지방산조성 및 관능검사를 측정한 결과 유화물 첨가에 의해 고등어버거의 색조, 조직감 및 지질의 기능성을 일부 개선할 수 있었다.

  • PDF

어육(魚肉)의 K치(値)와 핵산(核酸) 관련(關聯) 물질(物質)의 분해효소(分解酵素)에 관(關)한 연구(硏究)-I (Studies on K-value and Nucleotides-Degrading Enzymes in Fish Muscle, - I)

  • 김준평;김종배;박일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33-41
    • /
    • 1988
  • 12종(種)의 활어(活魚) 또는 신선어(新鮮魚)의 근육(筋肉)에 있어서 K치(値)의 증가율(增加率) 및 IMP 분해효소(分解酪素)의 활성(活性)에 관(關)한 실험결과(實驗結果)는 다음과 같다. 1. K값은 붉은살어(魚)보다는 흰살어(魚)의 선도판정(鮮度判定) 지표(指標)로서 적당(適當)하나 적신어(赤身魚)라도 혈합육(血合肉)의 함량(含量)이 $0.5{\sim}31%$이므로 지장(支障)이 없을 것으로 사료(思料)된다. 2. K값의 변화속도(變化速度)와 IMP 분해효소(分解酪素) 활성간(活性間)의 상관계수(相關係數)는 0.77이며 고도(高度)의 유의성(有意性)이 인정(認定)된다. 3. 어육내(魚肉內)에는 IMP 분해효소(分解酪素) 활성(活性)의 저해제(沮害劑)가 내재(內在)할 것으로 사료(思料)된다 4. IMP에 대(對)한 PH 활성곡선(活性曲線)은 어종(魚種)에 따라 다른데, 이것은 5'-N tase나 P Mase의 양적(量的), 질적(質的), 존재양식(存在樣式)이 어종(魚種)에 따라 다르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 PDF

명태단백 가수분해물 제조 및 plastein의 합성 (Production of protein hydrolysate and plastein from alaska-pollack)

  • 서형주;이호;조홍연;양한철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5권5호
    • /
    • pp.339-345
    • /
    • 1992
  • 명태육의 식품가공적성과 이용성을 높이기 위해 pronase에 의한 명태단백의 가수분해조건과 fruit-와 stem-bromelain에 의한 plastein의 합성 반응조건을 검토하였다. Pronase 가수분해 최적조건인 반응pH 7.0, 반응온도 $40^{\circ}C$, 기질 g당 효소첨가량 1,000units 및 반응시간 4시간에서 89% 분해도를 보이는 명태단백의 가수분해물을 제조하였다. Plastein은 pH가 각각 5.0(stem-bromelain)과 7.0(fruit-bromelain)으로 조정된 기질 30% 용액에 bromelain 1%를 가하여 $40^{\circ}C$, 24시간 진탕반응하여 합성하였다. 이 최적조건에서 합성된 plastein은 각각 22.6과 20.8 아미노산 잔기를 가진 펩타이드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관능검사에 의해 반응초보다 크게 쓴맛이 제거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 PDF

식품 내 콜레스테롤 산화 생성물(COPs)의 생성 및 억제; 개요 (Formation and Inhibition of Cholesterol Oxidation Products (COPs) in Foods; An Overview )

  • 김주신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1163-1175
    • /
    • 2023
  • Cholesterol is prone to oxidation, which results in the formation of cholesterol oxidation products (COPs). This occurs because it is a monounsaturated lipid with a double bond on C-5 position. Cholesterol in foods is mostly non-enzymatically oxidized by reactive oxygen species (ROS)-mediated auto-oxidative reaction. The COPs are found in many common foods of animal-origin and are formed during their manufacture process. The formation of COPs is mainly related to the temperature and the heating time the food is processed, storage condition, light exposure and level of activator present such as free radical. The level of COPs in processed foods could reach up to 1-10 % of the total cholesterol depending on the foods. The most predominant COPs in foods including meat, eggs, dairy products as well as other foods of animal origin were 7-ketocholesterol, 7 α-hydroxycholesterol (7α-OH), 7β-hydroxycholesterol (7β-OH), 5,6α-epoxycholesterol (5,6α-EP), 5,6β-epoxycholesterol (5,6β-EP), 25-hydoxycholesterol (25-OH), 20-hydroxycholesterol (20-OH) and cholestanetriol (triol). They are mainly formed non-enzymatically by cholesterol autoxidation. The COPs are known to be potentially more hazardous to human health than pure cholesterol. The procedure to block cholesterol oxidation in foods should be similar to that of lipid oxidation inhibition since both cholesterol and lipid oxidation go through the same free radical mechanism. The formation of COPs in foods can be stopped by decreasing heating time and temperature, controlling storage condition as well as adding antioxidants into food products. This review aims to present, discuss and respond to articles and studies published on the topics of the formation and inhibition of COPs in foods and key factors that might affect cholesterol oxidation. This review may be used as a basic guide to control the formation of COPs in the food industry.

Evaluating the Potential of Korean Mudflat-Derived Penicillium nalgiovense SJ02 as a Fungal Starter for Manufacturing Fermented Sausage

  • Sujeong Lee;Jeehwan Choe;Minji Kang;Minkyoung Kang;Sooah Kim;Sangnam Oh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912-933
    • /
    • 2024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solate, identify, and evaluate novel Korean starter cultures for use in fermented sausages. A total of 72 strains were isolated from various indigenous sources, including Nuruk, Jeotgal, and mudflats on the west coast of South Korea. Two strains were identified as Penicillium nalgiovense (SD01 and SJ02), a traditional starter used in the production of fermented sausages. A comparative analysis was performed between SD01 and SJ02 using the commercial starter culture (M600). Strain SJ02 exhibited superior lipolytic and proteolytic activities, as well as an enhanced growth rate at the optimal salinity level of 2% NaCl compared to M600.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values, sausage colors, and texture properties between SJ02 and M600 fermented sausages, except for adhesiveness. Profiles of mycotoxin-related genes were similar for both strains. Electronic nose analysis revealed distinct aroma profiles between SJ02 and M600 fermented sausages, with a relatively higher levels of propan-2-one and butyl butanoate in SJ02, and a higher level of ethanol and propanal in M600. In electronic tongue analysi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aste characteristics between SJ02 and M600. These results indicate that P. nalgiovense SJ02 is a potential starter culture to produce dry fermented sausages, enhancing Korean style cured meat processing industry.

가열온도, 가열시간, 단백질농도가 혈장단백질과 근원섬유단백질 혼합물의 gel 특성 및 열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eating Temperature, Time and Protein Concentration on the Gel Properties and Heat Stability of a Mixed System of Pork Myofibrillar and Plasma Proteins)

  • 김천제;한의수;고원식;최도영;이치호;정구용;최병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95-298
    • /
    • 1993
  • 식품산업 특히 육가공산업에 돈혈액의 이용을 위하여 가열온도 가열시간 및 단백질 농도가 혈장단백질과 근원섬유단백질 혼합물의 gel 특성과 열안정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혈장단백질과 혼합물(plasma+myofibrillar protein)의 용해성은 가열온도가 $70^{\circ}C$에서 $90^{\circ}C$로 증가함에 따라 크게 감소하였으며, 근원섬유단백질은 $40{\sim}60^{\circ}C$에서 용해성이 서서히 감소하였다. 또한 gel 강도와 혼탁도는 이 온도범위에서 크게 증가하였다. 가열온도 $75^{\circ}C$에서 가열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혈장단백질과 혼합물의 용해성은 감소하였으나 gel 강도와 혼탁도는 증가하였다. 근원섬유단백질은 $75^{\circ}C$에서 가열시간이 경과함에도 용해성, 혼탁도, gel 강도의 변화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근원섬유단백질, 혈장단백질, 혼합물의 gel 강도는 단백질 농도가 5%에서 9%로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 PDF

어류뼈를 이용한 수산연제품의 기능성 개선 (Improvement of the Functional Properties of Surimi Gel Using Fish Bone)

  • 염동민;주동식;김진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1권2호
    • /
    • pp.175-180
    • /
    • 1998
  • 어류뼈 속에 함유된 칼슘제를 이용한 적색육어류 연제품의 품질 개선을 위한 일련의 연구로 칼슘 강화 적색육어류 연제품의 제조조건 및 저온 저장 중 품질 안정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가용성 칼슘 및 젤리강도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적색육어류 연제품의 기능성 개선을 위하여 첨가하는 칼슘제의 적정농도는 고등어 육에 대하여 0.9%이었다. 가용성 칼슘함량은 이 조건으로 제조한 칼슘제 첨가 연제품(105.0 mg/100 g)이 칼슘 무첨가 제품(2.9 mg/100 g)보다 훨씬 높았다. 저장 중 칼슘 첨가 제품은 수분함량, 아미노산 조성, 칼슘 및 인함량의 경우 변화가 없었고, pH, 휘발성염기질소, 히스타민함량, 과산화물값 및 갈변도의 경우 대조제품에 비하여 완만하게 증가하였으며, 생균수 및 대장균군은 검출되지 않았다. 곡류에 부족하기 쉬운 Iysine 등과 같은 아미노산, DHA, EPA 및 칼슘함량은 칼슘제 첨가 적색육어류 연제품이 무첨가 제품보다 높았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칼슘제 첨가 연제품은 영양 및 기능성이 우수하고, 식품위생적으로 안전한 식품으로 판단되었다.

  • PDF

영상처리 시스템을 이용한 닭 도체 부위 분할 알고리즘 개발 (Development of Chicken Carcass Segmentation Algorithm using Image Processing System)

  • 조성호;이효재;황정호;최선;이호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446-452
    • /
    • 2021
  • 우리나라 생활수준의 향상과 더불어 식품소비의 양적인 요구가 충족되면서, 세분화된 식품의 기호 성향을 충족시킬 수 있는 닭고기 소비가 증가하고 있다. 2003년 3월 축산물 품질평가원에서 고시(농림부 고시 제2003-14호)한 닭 도체 품질판정세부기준은 닭 도체 부위별 이물질 부착, 피·멍의 크기 및 중량에 따라 품질 등급을 기준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검사관 개개인의 주관적인 평가 기준으로 적용된 고시로 수천 마리의 닭 도체 등급판정을 유지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닭 도체 품질 세부기준에 따라 닭 도체 부위 분할하기 위해 비접촉/비파괴방식인 컴퓨터 시각 기술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실시간으로 빠르게 움직이는 닭 도체를 부위 분할하기 위하여 조명 외란에 강인하도록 보정하는 과정과 닭 도체와 배경을 구분하기 위한 EM(Expectation maximization), Erosion 및 Labeling 알고리즘, 그리고 닭 도체의 기하학적 형태를 분석하여 부위별 특징점을 찾고 점들의 위치를 계산하여 부위를 분할 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사용하였다. 총 78마리의 닭 도체 샘플에 대하여 제안한 영상처리 알고리즘을 적용한 결과 닭 도체 부위 분할 알고리즘이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