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asurement instrument

검색결과 977건 처리시간 0.031초

직경 1 m 비축포물면의 가공 및 평가 (Fabrication and Evaluation of Diameter 1 m Off-axis Parabolic mirror)

  • 양호순;이재협;전병혁;이윤우;이경묵;최세철;김종민
    • 한국광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287-293
    • /
    • 2008
  • 망원경의 조립 및 평가를 위해서는 평행광선을 만들어주는 시준장치가 반드시 필요하다. 최근에 고해상도 카메라의 초점거리가 길어짐에 따라 상대적으로 적은 부피를 차지하는 Cassegrain 형태의 시준장치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형태는 적외선 광학계를 평가할 때 부경이 가지는 온도로 인하여 불필요한 열복사선을 방출하여 적외선 광학계의 평가 정밀도를 떨어뜨리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직경이 800 mm이고 초점거리가 2 m인 적외선 광학계를 평가하기 위하여 초점거리는 6m이고 물리적인 직경 1 m, 유효 직경이 930 mm인 비축포물면을 Zerodur를 이용하여 가공하고 측정한 과정을 설명한다. 약 4개월간의 작업 끝에 면의 최종 파면수차는 30.4 nm rms($\lambda$/138, ${\lambda}=4.2\;{\mu}m$)를 얻어서 적외선 광학계뿐만 아니라 가시광 영역 광학계도 측정 가능한 성능을 보유하였다.

습식전기집진기를 활용한 입자상 물질 및 황산화물 저감 성능에 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Reduction of Particulate Matter and Sulfur Dioxide Using Wet Electrostatic Precipitator)

  • 김종립;오원철;이원주;최재혁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898-904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강화되는 황산화물 및 입자상물질의 배출규제를 만족시키기 위한 후처리장치로 습식전기집진기에 대한 실험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실험을 위해 선박용 중유(HFO, 황함유량 약 2.1%)를 연료로 사용하는 선박용 4행정 디젤엔진(STX-MAN B&W)을 활용하였으며, 연돌에 설치된 습식전기집진기 입/출구에서 측정을 실시하였다. 미세먼지 측정을 위해서는 광학식 계측기(OPA-102) 및 중량농도측정방식(Method 5 Isokinetic Train)을 이용하였으며, 황산화물 계측을 위해서는 FT-IR(DX-4000)을 사용하였다. 엔진부하는 50%, 75%, 100%로 변화시키면서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로, 엔진부하가 50%에서 100%로 변화함에 따라 미세먼지 저감 효율은 모든 부하 조건에서 94~98% 정도의 높은 저감 효율을 나타내었다. 추가적으로 습식전기집진기 퀜칭존에서 배기가스의 온도를 낮추는 과정 중 세정액에 의한 이산화황(SO2) 저감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저감율은 엔진부하에 따라 55%~81%로 확인되었다.

아두이노 기반 IT융합 스마트 대지저항 측정 기술 연구 (A Study on Smart Ground Resistance Measurement Technology Based on Aduino)

  • 김홍용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7권4호
    • /
    • pp.684-693
    • /
    • 2021
  • 연구목적: 아두이노를 이용하여 실시간 대지저항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는 스마트 대지저항 측정장치를 개발하여 낙뢰 등 이상전압으로부터 안전한 설비환경을 구축하는것에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본 논문은 아두이노와 전력선 통신(PLC) 체계를 갖춘 대지저항 취득 및 분석 시스템을 개발하여 설계모델과 적용사례를 연구하였다. 경남지역의 풍력발전 단지 내 일부 부지를 테스트 베드로 선정하여 신기술을 적용한 실시간 대지저항 데이터를 취득하였다. 전극배열은 웨너(Wenner) 4전극배열과 슐렘버거(Schlumberger) 전극배열을 혼용한 스마트 전극배열을 채택하였다. 연구결과: 본 기술의 특징은 첫 번째로 스마트 다 전극의 깊이를 각기 다르게 편성해 층간에 특이성을 가지는 지층 구조에도 취득 데이터의 오차범위를 축소하였다. 두 번째로 스마트 접지전극에서 취득한 대지저항 데이터의 정보를 사물인터넷으로 실시간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IT융합 기술을 적용하였다. 마지막으로 규칙적인 관리 체계를 구축하고 Server에 축적된 빅 데이터를 분석하여 다양한 요소들의 변화추이를 확인할 수 있으며, IT융합 환경에 최적의 접지 알고리즘과 접지시스템 설계 모델링이 가능하다. 결론: 본 기술은 4차 산업 시대에 근간이 되는 도시 기반시설에 낙뢰로 인한 서지(Surge)의 피해를 줄이고 최적화된 접지시스템 모델을 설계하여 사용자의 안전과 생명을 보호 할 것이다. 또한 순수 국산 기술력의 지적재산권을 확보하여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팬데믹으로 정체되어있는 우리산업의 일자리 창출과 활기를 불어넣는 효과도 기대된다.

파킨슨병 환자에서 한국어판 Dizziness Handicap Inventory의 라쉬 분석에 의한 임상측정 특성 평가 (Rasch Analysis of the Clinimetric Properties of the Korean Dizziness Handicap Inventory in Patients with Parkinson Disease)

  • 이다영;양희준;양동석;최진혁;박병수;박지윤
    • Research in Vestibular Science
    • /
    • 제17권4호
    • /
    • pp.152-159
    • /
    • 2018
  • Objectives: The Korean Dizziness Handicap Inventory (KDHI), which includes 25 patient-reported items, has been used to assess self-reported dizziness in Korean patients with Parkinson disease (PD). Nevertheless, few studies have examined the KDHI based on item-response theory within this population. The aim of our study was to address the feasibility and clinimetric properties of the KDHI instrument using polytomous Rasch measurement analysis. Methods: The unidimensionality, scale targeting, separation reliability, item difficulty (severity), and response category utility of the KDHI were statistically assessed based on the Andrich rating scale model. The utilities of the orderedresponse categories of the 3-point Likert scale were analyzed with reference to the probability curves of the response categories. The separation reliability of the KDHI was assessed based on person separation reliability (PSR), which is used to measure the capacity to discriminate among groups of patients with different levels of balance deficits. Results: Principal component analyses of residuals revealed that the KDHI had unidimensionality. The KHDI had satisfactory PSR and there were no disordered thresholds in the 3-point rating scale. However, the KDHI showed several issues for inappropriate scale targeting and misfit items (items 1 and 2) for Rasch model. Conclusions: The KDHI provide unidimensional measures of imbalance symptoms in patients with PD with adequate separation reliability. There was no statistical evidence of disorder in polytomous rating scales. The Rasch analysis results suggest that the KDHI is a reliable scale for measuring the imbalance symptoms in PD patients, and identified parts for possible amendments in order to further improve the linear metric scale.

서울 청량리 교통섬과 홍릉숲의 미세먼지 특성과 저감효과 평가 (Evaluation of Particulate Matter's Traits and Reduction Effects in Urban Forest, Seoul)

  • 김평래;박찬열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569-575
    • /
    • 2021
  • 도심 교통섬과 도시숲 내부에서 미세먼지 농도와 영향 인자를 조사하여 숲의 미세먼지 효과를 분석하였다. 서울시 동대문구 홍릉시험림(도시숲)과 동대문구 청량리역 교차로에 조성된 숲(교통섬)에서 미세먼지 농도를 2018년 1월부터 11월까지 광산란법 기기를 적용하여 측정하였다. 연구 기간 동안 도시숲과 교통섬의 PM10 평균농도는 12.5 ㎍/m3, 15.7 ㎍/m3으로 나타났으며, PM2.5의 평균농도는 6.6 ㎍/m3, 6.9 ㎍/m3으로 나타났다. 환경부 도시대기 측정망과 도시숲의 농도를 비교해본 결과, PM10의 저감율은 도시숲에서 66.9±28.6%, 교통섬에서 58.6±44.1%로 나타났고, PM2.5의 경우 71.3±23.0%, 64.9±31.3%로 각각 나타났다. 미세먼지 저감율의 차이는 도시숲의 규모와 구조의 차이와 관련이 있을 것이며, 풍속은 저감 요인으로 판단된다.

대체 세정제의 선정을 위한 세정성 평가방법 연구 (A Study on the Cleanliness Evaluation Methods for the Selection of Alternative Cleaning Agents)

  • 신진호;이재훈;배재흠;이민재;황인국
    • 청정기술
    • /
    • 제15권2호
    • /
    • pp.81-90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산업체에서 대체 세정제를 객관적이고 체계적으로 선정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여러 가지 세정성 평가방법을 실험을 통하여 비교 평가하였다. 세정성 평가방법으로는 중량법, OSEE (optically simulated electron emission)법, 접촉각법과 FTIR, UV-VIS, HPLC와 같은 정밀분석기기를 이용한 분석법을 사용하여 flux, solder, grease 등의 오염물질에 대한 세정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중량법은 쉽고 간단하게 세정제의 세정효율을 측정할 수 있었지만 중량측정의 한계로 정밀측정이 어려웠다. 반면에 OSEE법은 세정제의 세정성 평가를 빠르고 정밀하게 수행할 수 있었다. 접촉각 측정법은 피세정물 표면에 오염물질과 세정제에 의한 얇은 친유성 막의 형성으로 인하여 접촉각 변화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세정성 평가에 특별한 주의가 요구되었다. 중량법으로 수행하기 어려운 정밀세정성 평가의 경우 UV-VIS, FTIR, HPLC와 같은 정밀분석기기를 이용하여 피세정물에 잔류한 flux, solder, grease 등의 극미량의 오염물을 특수 용제로 추출하여 아주 작은 농도의 오염물을 정량분석할 수 있었다.

다중 모세관을 이용한 교정용 표준가스의 제조: 불확도와 유효성 평가 (Generation of calibration standard gases using capillary gas divider: uncertainty measurement and method validation)

  • 이상윤;황은진;정혜자;이광우;전기준
    • 분석과학
    • /
    • 제19권5호
    • /
    • pp.369-375
    • /
    • 2006
  • ISO 6145-5에 의거한 동적 부피 측정법을 이용하여 교정용 혼합가스를 제조하고 그 불확도를 평가하였다. 내경 0.25 mm, 길이 50 cm 규격의 10개의 모세관을 병렬 배치하고, 성분 가스와 희석 가스가 흐르는 모세관 개수를 조절하는 방법으로 혼합 가스의 희석 비율을 결정하였다. 모세관은 각종 가스에 대하여 낮은 흡착 용량을 가진 PTFE 재질의 것을 사용하였으며, 유로의 설정은 열을 발생시키지 않는 mechanical valve를 사용하였다. ISO 6145-5의 요건을 구현하는 본 장치를 이용하여 제조된 희석 가스의 농도는 (주)리가스에서 제조한 마스터급 표준가스를 이용하여 비교 평가하였다. ISO 6143의 비교법을 이용한 교정 후 제조된 산소 표준가스의 농도 편차는 대부분의 희석 영역에서 상대비 0.2% 이내, 황화수소 표준가스의 농도 편차는 상대비 1% 이내임을 확인하였다. 이 결과는 본 장치를 통해 제조한 표준가스가 대기환경 측정용 등 저농도 표준가스를 이용한 교정 곡선 획득용으로 사용하는데 충분한 성능을 가지고 있음을 증명하는 것이다.

Brady & Cronin의 모델에 기반한 임상시험 서비스 질 측정 문항 개발 (Developing Measurement Items for the Service Quality of Clinical Trials based on the Brady & Cronin Model)

  • 이고은;김상희;김수;추상희;석정호;김소윤
    • 대한기관윤리심의기구협의회지
    • /
    • 제6권1호
    • /
    • pp.17-31
    • /
    • 2024
  • Purpose: This study aims to develop preliminary items for measuring the perceived service quality of clinical trials among participants and to verify content validity. Methods: This study was designed as a methodological study. A conceptual framework was established based on Brady and Cronin's hierarchical model, and preliminary items were prepared through translation-back-translation, a review of existing instruments, and in-depth interviews with clinical trial participants and clinical research coordinators. The final items were completed through content validity testing by experts and a review of items by clinical trial participants for the prepared preliminary items. Results: Through this study, a set of 58 items across four domains (quality of interaction with researchers, the physical environment, performance procedures, and performance results) and 9 components (information·education·communication, trust, respect for participant preferences, securing facilities and space, accessibility, comfortability, informed consent, coordination of care, subjective understanding of clinical trials) on the service quality of clinical trials were completed. The scale content validity index of all preliminary items was 0.96, meeting the recommended standards. The individual-item content validity index also meets the recommended criteria for most items, excluding four items. Conclusion: This study holds significance in developing items to measure the quality of clinical trial execution from the perspective of participants. By verifying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se items through subsequent research, it is expected that they can be utilized as a valuable instrument to devise strategie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clinical trials.

  • PDF

퇴행성 슬관절염과 비만과의 상관성에 관한 임상 연구 (The Clinical Study on Correlation between Knee Osteoarthritis and Obesity)

  • 강중원;류성룡;서병관;조미란;조여원;우현수;이상훈;최도영;김건식;이두익;이윤호;이재동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22권6호
    • /
    • pp.17-26
    • /
    • 2005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assessment measurements of knee osteoarthritis and obesity. Methods : Data on assessment measurements of knee osteoarthritis and obesity were obtained from 63 patients suffering from knee osteoarthritis from February to April, 2005. The assessment measurements consisted of BMI (body mass index), WHR (waist-hip ratio), two disease-specific questionnaires (Western Ontario and McMaster Universities (WOMAC) index and Lequesne's Functional Severity Index (LFI)), one generic instrument (Korean Health Assessment Questionnaire (KHAQ)), and VAS (Visual Analogue Scale). Statistical correlations among assessment measurements were evaluated by examining the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Results : 1. The sexual ratio in this study was 1: 5.3 (male: female= 10: 53). The average age of all patients was $59.1{\pm}6.6$ (male: $58.3{\pm}7.1$, female: $59.2{\pm}6.5$), and the group of 60-69 (34 patients, 54%) was biggest in the age distribution. 2. The average BMI of all patients was $25.4{\pm}3.1\;kg/m^2$ (male: female= $23.6{\pm}2.6\;kg/m^2:\;25.8{\pm}3.0\;kg/m^2$), and the group of $20-25\;kg/m^2$ was biggest in the BMI distribution. According to clinical definition of obesity by WHO (1997), 52.4% of all patients was within normal weight, 42.9% was overweight, and 4.8% was obese. 3. The average WHR of all patients was $0.91{\pm}0.06$ (male: female= $0.90{\pm}0.05:\;0.92{\pm}0.06$). According to definition of abdominal obesity, 73.0% of all patients (46 patients were all female) was in the state of abdominal obesity. 4. There were no significant correlations in statistics among assessment measurements except between BMI and WHR. Conclusion : Though there is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knee osteoarthritis and obesity according to many clinical and experimental researches, there is no assessment measurement reflecting knee osteoarthritis and obesity simultaneously. For this, further studies on correlation between knee osteoarthritis and obesity and development of assessment measurement or questionnaire on this are needed.

  • PDF

면류에서 HPLC를 이용한 데옥시니발레놀 분석법의 검증과 불확도 산정 (Single Laboratory Validation and Uncertainty Estimation of a HPLC Analysis Method for Deoxynivalenol in Noodles)

  • 옥현이;장현주;강영운;김미혜;전향숙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42-149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면류에서 면역친화컬럼을 이용한 데옥시니발레놀의 HPLC분석법을 검증하고, 분석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불확도를 GUM 지침에 따라 측정하였다. 검출한 계와 정량한계는 7.5 ${\mu}g$/kg과 18.8 ${\mu}g$/kg이었고 검량선은 20~500 ${\mu}g$/kg 농도범위 에서 0.9999의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대표적인 밀 가공품인 건면과 라면에 데옥시니 발레놀을 200 ${\mu}g$/kg과 500 ${\mu}g$/kg을 첨가하여 회수율과 반복성올 측정한 결과, 건면에서는 $82{\pm}2.7%$$87{\pm}1.3%$의 결과를 얻었고, 라면에서는 $97{\pm}1.6%$$91{\pm}12.0%$로 측정되었다. 한편, 불확도 측정을 위한 첫 단계로, 분석과정에서의 불확도 요인은 시료량 측정, 최종 시료부피, 보관표준용액, 작업표준용액, 표준용액, 기기, 매질, 검량선 작성으로 구분하였다. 불확도 요인의 구성요인은 저울의 안정성, 분해능, 재현성, 표준물질의 순도, 분자량, 농도, 표준용액 희석, 검량선, 회수율 및 분석기기의 재현성 풍이 작용하였다. 건면과 라면에 데옥시니발레놀을 200과 500 ${\mu}g$/kg을 첨가하여 분석한 결과 건면에서는 $163.8{\pm}52.1\;{\mu}g$/kg, $435.2{\pm}91.6\;{\mu}g$/kg으로 측정되었고 라면에서는 $194.3{\pm}33.0\;{\mu}g$/kg, $453.2{\pm}91.1\;{\mu}g$/kg으로 측정되었다. 확장불확도는 합성표준불확도에 포함인자(k=2, 신뢰수준 95%)를 곱하여 산출하였다. 건면과 라면에서 데옥시니발레놀을 분석함에 있어 불확도에 영향을 주는 주요인자는 시료의 회수율과 검량선 작성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따라서 면류 시료에서 데옥시니발레놀 것으로 분석의 정밀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회수율과 검량선 작성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 분석과정을 확인하고 오차를 최소화 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