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xillary incisor

검색결과 529건 처리시간 0.032초

역위 매복된 상악 중절치의 자발적 맹출유도 (CASE REPORT : FOR SPONTANEOUS ERUPTION GUIDANCE OF INVERTED MAXILLARY CENTRAL INCISOR TEETH)

  • 최선아;이난영;이상호;이창섭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406-411
    • /
    • 2004
  • 영구 상악 절치의 매복은 매복이 흔한 제3대구치와 상악 견치에 비해서 드물지만 상악 중절치 미맹출을 주소로 내원한 학동기 아동에서 종종 관찰된다. 매복을 유발시키는 원인에 대해서는 많은 논란이 있으나 주 요인으로는 유치의 외상과 유치의 치근단 감염이 보고되고 있다. 특히 유치의 치근단 감염에 의한 매복설이 유력한데 병소의 압력에 의한 계승영구치의 회전, 변위등의 위치변화가 일어날 수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매복치는 무엇보다도 조기에 발견하여 치료하는 것이 이로 인해 발생되는 부정교합이나 그 밖의 부작용을 예방할 수 있다. 일단 매복이 진단되면 방사선 검사를 통하여 위치 확인을 정확히 하는 것이 중요하며 치료에 앞서 전반적인 공간분석과 치료계획을 세워야 한다. 치료로는 교정적 견인, 또는 자가이식등이 있으며, 역위 매복된 경우가 아니라면 공간 확보만으로도 50%의 자발적 맹출을 보고하고 있다. 본 증례는 유치의 치근단 감염에 의해 역위 매복된 것으로 보이는 상악 중절치를 교정력을 이용해 정상적인 맹출로 바로 잡아준 결과 4-5개월만에 자발적으로 맹출하였기에 이에 보고하는 바이다.

  • PDF

Endodontic treatment of maxillary lateral incisors with anatomical variations

  • Lee, Moon-Hwan;Ha, Jung-Hong;Jin, Myoung-Uk;Kim, Young-Kyung;Kim, Sung-Kyo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8권4호
    • /
    • pp.253-257
    • /
    • 2013
  • Maxillary lateral incisors usually exhibit a single root with a single canal. However, maxillary lateral incisor teeth with unusual morphology of root canal system are frequently reported. These cases of variable root canal anatomy can be treated well by nonsurgical endodontic methods. A detailed description of root canal morphology is fundamental for successful endodontic treatment. Treatment using an operating microscope, radiographs from different angles, and cone-beam computerized tomography (CBCT) can produce more predictable endodontic outcomes.

설측 브라켓 부착을 위한 기준평면 설정에 관한 3차원 유한요소법적 연구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analysis of the bracket positioning plane in lingual orthodontics)

  • 김선화;박수병;양훈철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30-44
    • /
    • 2006
  • 교정치료 영역에서 성인들의 심미적인 요구도가 증가되면서 설측 교정치료는 여러 가지 단점에도 불구하고, 가장 심미적이라는 이유로 많은 주목을 받아왔지만 실제 치아이동을 결정지을 수 있는 브라켓을 부착하는 기준평면의 위치에 대해서는 거의 보고된 바가 없다. 이에 본 연구는 실제 브라켓이 부착되는 평면의 상하 평행이동이나 기울기 변화에 따라 치아이동 양상이 어떻게 변화되는지 알아보고, 바람직한 전치부 치체이동을 얻기 위해서 힘의 적용점을 어디에 두어야 하는지, 그리고 전치부에 어느 정도의 모멘트를 부여해야 하는지 알아보고자 3차원 유한요소법을 이용하여 치아 변위 및 응력분포를 비교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설측 브라켓 부착평면을 치은연쪽으로 평행이동 혹은 회전이동 시키고 견인하였을 경우, 절단연쪽으로 이동시켰을 때와 비교했을 때 비조절성 설측 경사이동이 감소하기는 하였으나 상하악 전치부 치아들의 설측경사 양상은 지속되었으며, 이러한 양상은 견치 브라켓의 hook 길이를 증가시켜도 계속 나타났다. 이와는 달리 설측 중심평면에 브라켓을 부착하고 각 치아별로 모멘트를 부여하였을 경우 설측 방향으로 개개 치아들의 치체이동이 발생하여 설측 교정치료 시 효과적인 전치부 치아의 후방견인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설측교정치료에 있어서 전치부 후방 견인시 토오크 조절을 위한 incisor inclination indicator (Incisor inclination indicator for anterior torque control during retraction in lingual orthodontic treatment)

  • 홍윤기;김태건;김태우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544-554
    • /
    • 2004
  • 진단용 셋업 모형 제작시 전치의 치축을 조절하기 위하여 incisor inclination indicator란 장치가 소개되었다. 이것은 상하악 전치의 후방 견인시 토오크 조절을 위하여 사용된다. 본 논문에서는 incisor inclination indicator를 사용하여 전치부 설측 브라켓에 적절한 토오크를 처방하는 방법을 묘사하고 이렇게 적절한 토오크가 처방된 전치부 설측 브라켓으로 치료한 양악 전돌증 환자의 치료결과를 평가한다. 후방 견인시 상하악 전치는 토오크가 적절하게 조절되었다. 설측교정치료에 있어서 incisor inclination indicator는 기공 과정에서 부가적으로 사용되어 전치부의 후방 견인시 효과적으로 토오크 조절을 할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External root resorption after orthodontic treatment: a study of contributing factors

  • Jung, Yun-Hoa;Cho, Bong-Hae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41권1호
    • /
    • pp.17-21
    • /
    • 2011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atient- and treatment-related etiologic factors of external root resorption. Materials and Methods : This study consisted of 163 patients who had completed orthodontic treatments and taken the pre- and post-treatment panoramic and lateral cephalometric radiographs. The length of tooth was measured from the tooth apex to the incisal edge or cusp tip on the panoramic radiograph. Overbite and overjet were measured from the pre- and post-treatment lateral cephalometric radiographs. The root resorption of each tooth and the factors of malocclusion were analyzed with an analysis of variance. A paired t test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mean amount of root resorption between male and female, between extraction and non-extraction cases, and between surgery and non-surgery groups.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measured to asses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mount of root resorption and the age in which the orthodontic treatment started, the degree of changes in overbite and overjet, and the duration of treatment. Results : Maxillary central incisor was the most resorbed tooth, followed by the maxillary lateral incisor, the mandibular central incisor, and the mandibular lateral incisor. The history of tooth extraction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root resorption. The duration of orthodontic treatment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amount of root resorption. Conclusion : These findings show that orthodontic treatment should be carefully performed in patients who need the treatment for a long period and with a pre-treatment extraction of teeth.

전위 매복된 상악 측절치와 상악 견치의 치험례 (TREATMENT OF TRANSPOSED AND IMPACTED MAXILLARY ANTERIOR REGION : A CASE REPORT)

  • 이기영;최형준;손흥규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630-635
    • /
    • 1999
  • 치아의 전위는 매우 드문 치아 기형의 하나로서 발생 또는 맹출중 인접한 2개의 영구치의 위치가 서로 바뀐것을 말한다. 전위는 상악과 하악 모두에서 발생 가능한데 그중에서 상악에서의 발생이 더 흔하며 상악견치는 가장 호발하는 치아이다. 상악에서는 상악 견치와 제 1 소구치와의 전위가 가장 빈도가 높고 그 다음으로 상악 견치와 측절치와의 전위가 많다. 전위는 완전 전위와 불완전 전위로 나눌수 있는데 완전 전위는 치관뿐 아니라 치근의 위치까지 전위된 경우를 말하고 불완전 전위는 치근의 위치는 정상이고 치관만 전위된 경우이다. 전위의 원인에 대하여 명확하게 밝혀진 것은 없으나 유치의 만기잔존이나 조기상실, 발생중의 전위나 정상 맹출 경로로부터의 이탈, 유치열시기의 안면외상 등이 제기되고 있고 이밖에 과잉치, odontoma 또는 odontogenic cyst, 염증성 병소 등을 그 원인으로 생각해 볼 수 있다. 본 증례는 유치열시기의 안면외상으로 인하여 상악 영구 견치와 측절치의 전위가 발생한 경우로서 치료후 전위된 위치로의 양호한 배열을 이루었다.

  • PDF

A morphometric analysis of maxillary central incisor on the basis of facial appearance in Korea

  • Ku, Ji-Eun;Yang, Hong-So;Yun, Kwi-Dug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4권1호
    • /
    • pp.13-17
    • /
    • 2012
  • PURPOSE. We aimed to identify a more esthetic width-to-length ratio by analyzing maxillary central incisor of Korean adult population. Information regarding tooth ratio in the Korean population may be useful to clinicians when restoring anterior teeth.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40 men and 40 women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e NON-MEDIA group included 40 non-celebrities, who were healthy and 25 to 39 years old, with normal dentofacial appearance. The MEDIA group consisted of 40 celebrities selected only on the basis of their soft-tissue facial appearance. The facial photographs of 40 celebrities were collected from the Internet websites. The width and length of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 were measured using Adobe $Photoshop^{(R)}$ 7.0, a software for analysis, measurement and edition of photographs. Data were analyzed statistically using the Independent t-test at 5%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RESULTS. The mean ratio for the MEDIA group was 0.77, whereas that of the NON-MEDIA group was 0.88.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No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width-to-length ratio in MEDIA group. In NON-MEDIA group, howev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female and male. CONCLUSION. After analyzing maxillary anterior teeth of Korean adults, our results were in accordance with the general Western standards of esthetics. A dentist restoring the natural look and beauty of teeth will have to consider those standards.

Differences in the panoramic appearance of cleft alveolus patients with or without a cleft palate

  • Takeshi Fujii;Chiaki Kuwada;Yoshitaka Kise;Motoki Fukuda;Mizuho Mori;Masako Nishiyama;Michihito Nozawa;Munetaka Naitoh;Yoshiko Ariji;Eiichiro Ariji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54권1호
    • /
    • pp.25-31
    • /
    • 202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rify the panoramic image differences of cleft alveolus patients with or without a cleft palate, with emphases on the visibility of the line formed by the junction between the nasal septum and nasal floor(the upper line) and the appearances of the maxillary lateral incisor. Materials and Methods: Panoramic radiographs of 238 patients with cleft alveolus were analyzed for the visibility of the upper line, including clear, obscure or invisible, and the appearances of the maxillary lateral incisor, regarding congenital absence, incomplete growth, delayed eruption and medial inclination. Differences in the distribution ratio of these visibility and appearances were verified between the patients with and without a cleft palate using the chi-square test.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visibility distribution of the upper line between the patients with and without a cleft palate (p<0.05). In most of the patients with a cleft palate, the upper line was not observed. In the unilateral cleft alveolus patients, the medial inclination of the maxillary lateral incisor was more frequently observed in patients with a cleft palate than in patients without a cleft palate. Conclusion: Two differences were identified in panoramic appearances. The first was the disappearance (invisible appearance) of the upper line in patients with a cleft palate, and the second was a change in the medial inclination on the affected side maxillary lateral incisor in unilateral cleft alveolus patients with a cleft palate.

뇌병변 장애 환자에서 상악 중절치 이소맹출의 교정적 치험례 (ORTHODONTIC TREATMENT OF ECTOPIC MAXILLARY CENTRAL INCISOR IN A CEREBRAL PALSY PATIENT)

  • 장석훈;남옥형;이효설;김광철;최성철
    • 대한장애인치과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72-75
    • /
    • 2015
  • 상악 우측 영구 중절치의 이소맹출을 주소로 내원한 뇌병변 장애를 가진 8세 환자에서 labial bow를 첨가한 Modified rapid maxillary expansion 장치를 이용하여 상악궁 협착 해소 및 상악 전치의 돌출을 완화할 수 있었다.

과잉치 발거시기에 따른 상악 중절치의 위치 변화 (Timing for Removal of Mesiodens in Relation to the Maxillary Cental Incisors)

  • 박기봉;이대우;김재환;양연미;김재곤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246-253
    • /
    • 2016
  • 과잉치의 발거시기는 조기발거와 지연발거로 나뉠 수 있으며 각각의 장단점이 있으며 특히 상악 중절치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 이 연구에서는 과잉치 발거 후 3개월 이상 추적관찰이 시행된 166명을 조사하여 최적의 과잉치 발거시기를 결정하고자 하였다. 환자의 나이가 어리고, 상악 중절치 미맹출 혹은 발육단계가 낮고, Hellman's dental stage상 낮은 단계에서 정중선 변위는 적게 일어났다. 정중이개와 상악 중절치의 회전, 추적 관찰 기간에 따른 변화는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다. 상악 중절치가 아직 맹출하지 않은 경우라 하더라도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을 촬영하여 정중선 변위가 보인다면 이른 시기에 과잉치를 발거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상악 중절치의 위치 변위에 따라 과잉치의 발거시기를 결정하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