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xillary anterior implant

검색결과 189건 처리시간 0.026초

Three-dimensional evaluation of maxillary anterior alveolar bone for optimal placement of miniscrew implants

  • Choi, Jin Hwan;Yu, Hyung Seog;Lee, Kee Joon;Park, Young Chel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54-61
    • /
    • 2014
  •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propose clinical guidelines for placing miniscrew implants using the results obtained from 3-dimensional analysis of maxillary anterior interdental alveolar bone by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CBCT). Methods: By using CBCT data from 52 adult patients (17 men and 35 women; mean age, 27.9 years), alveolar bone were measured in 3 regions: between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s (U1-U1), between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 and maxillary lateral incisor (U1-U2), and between the maxillary lateral incisor and the canine (U2-U3). Cortical bone thickness, labio-palatal thickness, and interdental root distance were measured at 4 mm, 6 mm, and 8 mm apical to the interdental cementoenamel junction (ICEJ). Results: The cortical bone thickness significantly increased from the U1-U1 region to the U2-U3 region (p < 0.05). The labio-palatal thickness was significantly less in the U1-U1 region (p < 0.05), and the interdental root distance was significantly less in the U1-U2 region (p < 0.05).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interdental root regions U2-U3 and U1-U1 are the best sites for placing miniscrew implants into maxillary anterior alveolar bone.

구순구개열 환자에서 상악전방골 신장술 (Distraction Osteogenesis of Maxillary Anterior Segment in Cleft Lip and Palate Patients)

  • 김유진;천강용;김수호;박형욱;황순정
    • 대한구순구개열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89-96
    • /
    • 2012
  • Le Fort 1 osteotomy or maxillary advancement with distraction osteogenesis (DO) is main treatment strategy for cleft palate patients with maxillary hypoplasia. Maxillary DO allows greater maxillary advancement within physiological limit than Le Fort 1 osteotomy. Moreover, it is better for velopharyngeal function. However, there is a greater tendency for an increase in nasal sound when maxilla is advanced excessively. Therefore, the advancement of anterior maxillary segment using DO has been utilized. It offers advantages such as an increase in the length of the palate, a prevention of the change in palatopharyngeal depth, and a preservation of the velopharyngeal function. Moreover, it will obliterate the necessity of bone graft, and it prevents the occurrence of oronasal or oroantral fistula. Finally, it stimulates the regeneration of the soft and hard tissue of alveolus, and subsequently makes possible to place implant.

  • PDF

하악 전치부에서의 일체형 임플란트 식립 후 즉시부하 (Esthetic restoration in mandibular anterior region with one-piece implant and immediate loading)

  • 윤세나
    • 대한심미치과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97-104
    • /
    • 2018
  • 하악 전치부는 다른 구강 내 영역에 비해 높은 임플란트 성공률과 더 나은 접근성을 갖고 있다. 비록 부적절한 드릴링으로 인한 설측 피질골 천공 가능성과 설동맥 손상으로 인한 출혈 가능성이 있더라도 다른 부위와 비교했을 때 주요 해부학적 구조물이 적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안전하다. 또한 상악 전치부와 비교했을 때 환자들이 심미적으로 덜 민감한 부위이다. 그러나 좁은 협설측 치조골 폭 때문에 이상적인 임플란트 식립 위치로의 식립은 상악 전치부만큼 어렵다. 이러한 하악 전치부에서 일체형 임플란트는 매우 유용한 치료방법이다. 하악 전치의 해부학적 치근형태와 얇은 치조골을 고려할 때, 임상적으로 3mm보다 큰 직경의 임플란트 식립은 어렵다. 본 증례는 하악 전치부 무치악 부위에서 일체형 임플란트의 식립과 즉시 부하를 동반하여 심미적인 보철물을 구현한 경우이다.

상악 전치부의 임플란트 식립과 관련하여 혈관개재골막결합조직판막술을 이용한 치조제증대술: 3가지 증례보고 (Ridge Augmentation Using Vascularized Interpositional Periosteal- Connective Tissue (VIP-CT) in Conjunction with Anterior Implant Placement in Maxilla : Report of Three Cases)

  • 김윤상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8권2호
    • /
    • pp.207-214
    • /
    • 2008
  • Purpose: The aim of augmentation of the alveolar ridge is to restore absorbed alveolar ridges for future implant site or esthetic prosthodontic restoration. The present clinical report describes the anterior maxillary augmentation cases using a soft tissue rotated palatal flap, and considers various problems of before and after surgery. Method: First & second patients were treated by vascularized interpositional periosteal-connective tissue(VIP-CT) flap for horizontal soft tissue augmentation. Especially second patient was progressed with bone grafting at the same time. Third patient was treated by the same flap with bone graft and implant placement in single tooth missing premaxillary area. Result: The obtained horizontal augmentation width measured $0.5{\sim}2.7\;mm$. Conclusion: This technique constitutes a viable approach for augmentation the anterior sector of alveolar ridge with the placement of dental implants. But it needs correct diagnosis preparation and careful surgery skill.

구강 내 디지털 인상채득을 통한 상악 전치부 임플란트 즉시 임시 보철 수복 증례 (Digital intraoral impression for immediate provisional restoration of maxillary single implant: A case report)

  • 장윤정;김홍준;송미경;문지은;이한라;박찬익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3권3호
    • /
    • pp.234-243
    • /
    • 2015
  • 디지털 기술의 발달로 무치악 부위의 임플란트 수복 시 그 진단과 치료 과정 전반에 걸쳐 구강 내 3차원 정보를 데이터화하여 보철물을 제작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전통적인 인상채득 방식을 이용하여 모델을 만들고 이것을 스캔하여 보철물을 제작하던 CAD/CAM 이용 방식에서 벗어나 디지털 인상 코핑(scanbody)을 사용함으로써 모델 없이 디지털 인상을 채득하고 임플란트 임시 보철물 및 해부학적 지대주를 제작하는 술식으로 변화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 이러한 술식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지 않으며 특히 심미성이 요구되어 연조직 외형의 인기가 중요한 상악 전치부 임플란트 즉시 부하에서의 사용은 그 사례가 많지 않다. 이에 따라 본 증례 보고에서는 3명의 상악 전치부 단일 임플란트 수복 환자에서 디지털 인상 코핑(scanbody)을 체결한 후 구강 내 스캐너인 CEREC Omnicam (Sirona, Bensheim, Germany) 또는 Trios (3shape, Copenhagen, Denmark)로 디지털 인상채득을 통해 임플란트 지대주 및 임시 보철물을 제작하였다. 그 결과 디지털 인상채득을 통한 편리성, 정확성 그리고 최종 보철물의 양호한 심미성을 얻어 보고하고자 한다.

엇갈린 교합 환자의 임플란트 지지 고정성 보철물과 Kennedy class IV 가철성 국소의치를 이용한 수복 증례 (Rehabilitation of a patient with crossed occlusion using mandibular implant-supported fixed and maxillary Kennedy class IV removable dental prostheses: A case report)

  • 강석형;한중석;김성훈;윤형인;여인성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55권12호
    • /
    • pp.842-849
    • /
    • 2017
  • The term, 'crossed occlusion' implies clinical situation in which the residual teeth in one arch have no contact with those in the antagonistic arch, resulting in the collapse of occlusal vertical dimension. The treatment goal of this pathologic condition is restoration of the collapsed vertical dimension and stabilization of abnormal mandibular position. Previously, konus removable prostheses or tooth supported overdentures were suggested to solve crossed occlusion. Nowadays, dental implants have been used for definitive support to solve this problem. In this case report, a 65 years old female patient had a crossed occlusion, in which the maxillary posterior residual teeth and mandibular anterior residual teeth cross. Interim removable and fixed dental prostheses were used to confirm the proper vertical and horizontal jaw relation. After that, the mandibular posterior edentulous region was restored with implant-supported fixed dental prostheses. Computer tomography guided implant surgery was performed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restoration-driven implant placement. The maxillary anterior edentulous region was restored with Kennedy class IV removable prosthesis, considering the patient's economic status. The patient's jaw position and prostheses have been well maintained at the follow-up after 6 months of definitive restoration. The antero-posterior crossed occlusion problems appeared to be effectively solved with the combination of removable in one arch and implant-supported fixed prostheses in the other.

  • PDF

Orthodontic treatment of gummy smile by maxillary total intrusion with a midpalatal absolute anchorage system

  • Hong, Ryoon-Ki;Lim, Seung-Min;Heo, Jung-Min;Baek, Seung-Hak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147-158
    • /
    • 2013
  • This article describes the orthodontic treatment of a 31-year-old Korean female patient with gummy smile and crowding. The patient showed excessive gingival display in both the anterior and posterior areas and a large difference in gingival heights between the anterior and posterior teeth in the maxilla. To correct the gummy smile, we elected to intrude the entire maxillary dentition instead of focusing only on the maxillary anterior teeth. Alignment and leveling were performed, and a midpalatal absolute anchorage system as well as a modified lingual arch was designed to achieve posterosuperior movement of the entire upper dentition. The active treatment period was 18 months. The gummy smile and crowding were corrected, and the results were stable at 21 months post-treatment.

치조골 소실로 발치하게 된 치아의 심미적인 임플란트 수복을 위한 granulation tissue의 활용 (The use of granulation tissue for the esthetic implant restoration for missing tooth due to alveolar bone loss)

  • 이창균
    • 대한심미치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33-39
    • /
    • 2021
  • 상악 전치부 치아가 치조골 소실로 인해 상실되었을 때 심미적인 수복을 위해 소실된 치조골을 골재생 술식을 통해 회복 시키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발치와 동시에 치조골의 소실이 진행되기 때문에 발치 직후 치조제 보존술을 시행하는 것은 심미적인 수복을 위해 중요한 의미가 있습니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primary closure를 하지 못하는 것이 골재생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발치와 내의 granulation tissue를 이용해 primary closure를 시도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할 경우 open wound에 비해 골재생에 유리한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치조제가 잘 보존됨을 넘어 잘 증강되는 것을 증례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디지털 기법을 활용한 상악 전치부의 진단 및 수복 증례 (Digital technique in diagnosis and restoration of maxillary anterior implant: a case report)

  • 방혜민;장우형;박찬;윤귀덕;임현필;박상원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8권4호
    • /
    • pp.249-256
    • /
    • 2022
  • 성공적인 상악전치부의 임플란트 식립은 많은 고려를 필요로 한다. 환자를 만족시키며 기능적이며 심미적인 보철수복을 위해서는, 치료에 앞서 정확한 진단이 선행되어야 하며 이는 구내스캔, 콘빔시티, 그리고 안면스캔을 중첩함으로 시도해 볼 수 있다. 구내스캔을 통해 얻어지는 환자의 교합양상과 콘빔시티에서 얻어지는 환자의 치조골의 양상 및 질, 그리고 안면스캔에서 얻어지는 환자의 특성과 구외평가를 어우르는 진단은 보다 성공적인 보철수복을 위한 발판이 될 수 있다. 다양한 정보의 중첩을 통해, 보철적으로 이상적인 치관의 위치를 우선순위에 두지만, 환자의 생물학적 한계를 포용하는 "탑다운"형식의 임플란트 진단은, 이를 고려한 서지컬 가이드를 3D 프린팅하고, 수술에 사용함으로써 구현되었다. 환자의 치조골 소실로 인한 임플란트 식립위치의 한계점은, 치아의 선각과 착시효과를 이용한 보철수복을 통하여 극복하려고 노력하였다. 이후, 임시수복물을 사용하고 환자가 가장 편하다고 느끼는 보철물을 장착한 뒤 디지털 교합장비(Arcus Digma II)를 이용하여 전방유도와 하악의 운동을 측정하여 이를 최종보철물에 적용하였다.

상악 전치부에서 골 이식 유무에 따른 임플란트 변연골 소실에 관한 후향적 연구 (Retrospective study on marginal bone loss around maxillary anterior implants with or without bone graft)

  • 황희선;정지혜;김유리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4권2호
    • /
    • pp.103-109
    • /
    • 2016
  • 목적: 상악 전치부 임플란트 식립시 골 이식 유무에 따른 임플란트의 변연골 소실량을 측정, 비교하여 임플란트 식립과 동시에 시행하는 골 이식의 임상적 의의를 평가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11년 6월부터 2014년 5월 사이에 원광대학교 치과병원 임플란트 센터에서 상악 전치부에 임플란트를 식립하고 보철치료를 진행한 환자를 대상으로 진료기록부를 확인하여 임플란트 식립 시기, 고정체의 직경 및 길이, 지대주 연결방법, 골이식 유무를 조사하였다. 임플란트 식립 직후와 가장 최근 내원 시의 치근단 방사선 사진을 비교하였으며 Emago advanced v5.6 (Oral diagnostic systems, Amsterdam, Netherland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임플란트 변연골 소실량을 측정하였다. 골 이식 유무가 임플란트 주위 변연골 소실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Window용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한 독립표본 t 검정을 시행하였다. 결과: 환자 52명에서 83개 임플란트(골 이식 없이 식립된 임플란트 44개, 골 이식과 동시에 식립된 임플란트 39개)를 대상으로 6 - 45개월(평균 18.4개월)동안 관찰한 결과 골 이식 없이 식립된 임플란트는 $1.42{\pm}0.42mm$, 골 이식과 동시에 식립된 임플란트는 $1.28{\pm}0.45mm$의 변연골 소실을 보였다. 결론: 본 연구의 한계 내에서, 골 이식과 동시에 식립된 임플란트의 변연골 소실량이 유의하게 적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