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xillary Protraction

검색결과 65건 처리시간 0.032초

Maxillary protraction using skeletal anchorage and intermaxillary elastics in Skeletal Class III patients

  • Esenlik, Elcin;Aglarci, Cahide;Albayrak, Gayem Eroglu;Findik, Yavuz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95-101
    • /
    • 2015
  • The aim of this case report is to describe the treatment of a patient with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with maxillary retrognathia using skeletal anchorage devices and intermaxillary elastics. Miniplates were inserted between the mandibular lateral incisor and canine teeth on both sides in a male patient aged 14 years 5 months. Self-drilling mini-implants (1.6 mm diameter, 10 mm length) were installed between the maxillary second premolar and molar teeth, and Class III elastics were used between the miniplates and miniscrews. On treatment completion, an increase in the projection of the maxilla relative to the cranial base (2.7 mm) and significant improvement of the facial profile were observed. Slight maxillary counterclockwise ($1^{\circ}$) and mandibular clockwise ($3.3^{\circ}$) rotations were also observed. Maxillary protraction with skeletal anchorage and intermaxillary elastics was effective in correcting a case of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without dentoalveolar side effects.

Comprehensive Orthodontic Treatment in a Middle-Aged Patient with Missing Maxillary Left First Premolar: A Case Report

  • Kwon, Sun-Mi;Baik, Hyoung-Seon;Choi, Sung-Hwan
    • Journal of Korean Dental Science
    • /
    • 제11권1호
    • /
    • pp.32-41
    • /
    • 2018
  • As the adult population continues to increase, orthodontic treatment for adult patients is becoming more common. This case report describes comprehensive orthodontic treatment of a middle-aged patient with closure of the extraction space without prosthetic restoration. A 55-year-old woman with her maxillary left first premolar extracted because of a periodontal problem, wanted to close the space with orthodontic treatment. Since she had generalized crowding and mild skeletal discrepancy, we planned comprehensive orthodontic treatment, including closure of the extraction space by protraction of the left maxillary molars using miniscrews and aesthetic alignment of anterior teeth. The total treatment period was 28 months. As a result of these treatments, the extraction space was successfully closed, good tooth alignment and satisfactory occlusion were achieved.

상악골 전방견인치료후 구개범인두 변화에 대한 단기간의 측모두부방사선 계측학적 연구 (A cephalometric study on the velopharyngeal changes after maxillary protraction)

  • 이남기;차봉근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61-169
    • /
    • 2006
  • 이 연구의 목적은 훼이스마스크로 상악 전방견인치료를 받은 성장기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 25명(남 10, 여 15, 평균나이 9.9세)에서 단기간의 정적인 구개범인두 변화를 측모두부방사선 계측사진상에서 선 계측, 각도 계측 및 비율 계측을 시행하여 평가하는 것이다. 경구개 평면각의 변화량은 maxillary depth 또는 N-perp to A의 변화량과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p<0.01). 경-연구개 각의 증가는 유의성이 있었으며, 이는 경구개 평면각의 변화보다 연구개 평면각의 변화의 영향을 더 받았다 (p<0.001). 연조직- 과 경조직- 비인두 깊이의 증가는 유의성 있었으며 (p<0.001), 이들의 변화량과 연구개 평면각의 변화량간에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p<0.05). 경구개 길이의 증가는 유의성이 있었으며 (p<0.001), 이는 연조직 비인두 깊이의 증가량과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p<0.05). Need 비율 S (C)의 증가는 유의성이 있었으나 (p<0.001), 이러한 증가는 이전 연구에서 보고된 Need 비율 S (C)의 정상 범위 내에 있었다. 이 연구로 상악골의 전방견인 후에 정적인 구개범인두 부위에 변화가 있을지라도 구개범인두의 적격성이 유지됨을 알 수 있었다.

Effects of the long-term use of maxillary protraction facemasks with skeletal anchorage on pharyngeal airway dimensions in growing patients with cleft lip and palate

  • Kim, Jung-Eun;Yim, Sunjin;Choi, Jin-Young;Kim, Sukwha;Kim, Su-Jung;Baek, Seung-Hak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238-248
    • /
    • 2020
  • Objective: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long-term use of a maxillary protraction facemask with miniplate (FM-MP) on pharyngeal airway dimensions in growing patients with cleft lip and palate (CLP). Methods: The study included 24 boys with CLP (mean age, 12.2 years; mean duration of FM-MP therapy, 4.9 years),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 amount of A point advancement to the vertical reference plane (VRP): Group 1, > 4 mm; Group 2, < 2 mm; n = 12/group. After evaluating the skeletodental and airway variables using lateral cephalograms acquired before and after FM-MP therapy, statistical analyses were performed. Results: Group 1 showed greater forward and downward displacements of the posterior maxilla (posterior nasal spine [PNS]-horizontal reference plane [HRP]; PNS-VRP), greater increase in ANB, more forward tongue position (tongue tip-Pt vertical line to Frankfort horizontal plane), and greater increase in the oropharynx (superior posterior airway space [SPAS]; middle airway space [MAS]) and upper nasopharynx (PNS-adenoid2) than did Group 2. While maxillary advancement (A-VRP and PNS-VRP) correlated with increases in SPAS, MAS, and PNS-adenoid2, downward displacement of the PNS (PNS-HRP) correlated with increases in SPAS, MAS, PNS-adenoid1, and PNS-adenoid2, and with a decrease in vertical airway length (VAL). Mandibular forward displacement and decrease in mandibular plane correlated with increases in MAS. Conclusions: FM-MP therapy had positive effects on the oropharyngeal and nasopharyngeal airway spaces without increases in VAL in Group 1 rather than in Group 2. However, further validation using an untreated control group is necessary.

구순구개열자의 중안면 열성장 개선을 위한 새로운 접근 (New Approach for Midface Hypoplasia in Cleft Lip and Palate Patients)

  • 김영오;최윤경;정인교;김용덕;손우성
    • 대한구순구개열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8
    • /
    • 2013
  • Purpose : To introduce a more effective and efficient protocol for protraction of maxillary complex in CLP patient and demonstrate it by case presentation. Methods : Miniplates are placed on zygomatic buttress and anterior part of mandible, at the time of secondary alveolar bone graft. During the night time, the orthopedic force is applied by wearing elastics from maxillary miniplates to facemask (500 g per side). During the day time, the intermaxillary elastics connecting maxillary miniplates to mandibular miniplates are applied (200 g per side). During the orthopedic treatment, dental alignment is possible. Results and conclusion : By the new protocol, the intermaxillary relation and occlusion are improved due to the stable intraoral anchorage and better cooperation of patients.

  • PDF

Correction of Angle Class II division 1 malocclusion with a mandibular protraction appliances and multiloop edgewise archwire technique

  • Freitas, Benedito;Freitas, Heloiza;dos Santos, Pedro Cesar F.;Janson, Guilherme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4권5호
    • /
    • pp.268-277
    • /
    • 2014
  • A Brazilian girl aged 14 years and 9 months presented with a chief complaint of protrusive teeth. She had a convex facial profile, extreme overjet, deep bite, lack of passive lip seal, acute nasolabial angle, and retrognathic mandible. Intraorally, she showed maxillary diastemas, slight mandibular incisor crowding, a small maxillary arch, 13-mm overjet, and 4-mm overbite. After the diagnosis of severe Angle Class II division 1 malocclusion, a mandibular protraction appliance was placed to correct the Class II relationships and multiloop edgewise archwires were used for finishing. Follow-up examinations revealed an improved facial profile, normal overjet and overbite, and good intercuspation. The patient was satisfied with her occlusion, smile, and facial appearance. The excellent results suggest that orthodontic camouflage by using a mandibular protraction appliance in combination with the multiloop edgewise archwire technique is an effective option for correcting Class II malocclusions in patients who refuse orthognathic surgery.

상악골 전방 견인이 상악골체의 변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AXILLARY PROTRACTION ON THE DISPLACEMENT OF THE MAXILLA)

  • 고정석;김종철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543-555
    • /
    • 1995
  • 골격성 부정교합에 대한 악정형 치료시, 바람직한 악정형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악정형 장치의 역학 현상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상악의 저성장에 기인한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의 치료를 위한 상악골의 전방견인시 바람직한 견인력 방향과 견인 위치를 알아보기 위해, 성인 두개골을 대상으로 3차원 유한 요소 모델을 제작하여, 제1소구치와 제1대구치에서 각각 교합평면에 평행 또는 $20^{\circ}$ 하방으로 500g의 전방 견인력을 주어 상악골체의 각 부분에서 응력과 변위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모든 경우 상악골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양상을 보였다. 2. 견인력 방향에 따른 상악골의 회전은, $20^{\circ}$ 하방으로 견인하는 경우가 평행하게 견인하는 경우보다 더 적었다. 3. 견인 위치에 따른 상악골의 회전은, 평행하게 견인시에는 견인 위치가 제1대구치일 때가, $20^{\circ}$ 하방으로 견인시에는 제1소구치일 때가 더 적었다. 이상의 결과 견인력 작용선이 상악골체의 저항 중심점에 가장 근접하여 반시계 방향으로의 변위가 가장 적게 일어난 제1소구치에서 $20^{\circ}$ 하방으로 견인한 경우가 바람직한 견인력 방향과 견인 위치로 판단되었다.

  • PDF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 환자에서 상악골 전방 견인시 일어나는 골격 변화 양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KELETAL CHANGES IN MAXILLARY PROTRACTION OF THE SKELETAL GLASS III MALOCCLUSION PATIENTS)

  • 이영지;차경석;이진우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533-546
    • /
    • 1998
  •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은 크게 하악이 과성장인 경우, 상악이 열성장인 경우, 이 두가지의 복합으로 나타나는데 이중 상악의 열성장으로 인한 성장기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 환자에서는 상악골에 악정형력을 가하여 상악골을 전방견인 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이에 상악골 견인장치 중 현재 많이 쓰이는 RME와 Facial mask를 사용하여 치료한 34명(남자 9명, 여자 2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치료결과 FH/palatal plane, SNA, SNB, LFH의 변화량을 기준으로하여 각각의 변화량에 따라 두군으로 분류하여 치료 전, 후 상악골 및 하악골의 변화 양상과 수직적인 고경에 차이가 있는지를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상악골 전방견인 장치를 사용한 모든 환자에서 상악골의 전방이동과 하악골의 후하방회전이 일어났으며 대부분의 환자에서 구개평면은 상방경사되는 경향을 보였다. 2. Facial mask사용결과 구개평면이 상방경사된 군(FH/pal 1군)은 구개평면이 하방경사된군(FH/pal 2군)에 비해 상악골의 전방이동이 많이 일어났다. 3. Facial mask 사용결과 상악골의 전방이동량이 많은 군(SNA 1군)은 상대적으로 하악골의 후방이동량은 적게 나타나고 구개평면이 상방경사되는 경향을 보였다. 4. Facial mask사용결과 하악골의 후방이동이 많이 일어난 군(SNB 1군)은 상대적으로 상악골의 전방이동은 적게 나타나며 하악골의 후방이동은 하방회전과 함께 나타나서 수직적인 증가 특히 전안면부위의 증가를 일으킨다. 5. LFH 증가량에 의해 분류된 두 군 사이의 비교에서 치료 전 saddle angle이 크고 상악골 및 하악골이 후방에 위치하던 군이 saddle angle이 작고 하악골이 전방위치되어 있는 군에 비해 하안면고경의 큰 증가없이 상악골 전방견인이 이루어졌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