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SKELETAL CHANGES IN MAXILLARY PROTRACTION OF THE SKELETAL GLASS III MALOCCLUSION PATIENTS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 환자에서 상악골 전방 견인시 일어나는 골격 변화 양상에 관한 연구

  • Lee, Young-Ji (Department of Orthodontics, College of dentistry, Dankook University) ;
  • Cha, Kyung-Suk (Department of Orthodontics, College of dentistry, Dankook University) ;
  • Lee, Jin-Woo (Department of Orthodontics, College of dentistry, Dankook University)
  • 이영지 (단국대학교 치과대학 교정학교실) ;
  • 차경석 (단국대학교 치과대학 교정학교실) ;
  • 이진우 (단국대학교 치과대학 교정학교실)
  • Published : 1998.08.01

Abstract

A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may be the result of a large mandible, a small maxilla or combination of the two. Protraction devices for the maxilla are used to promote the growth of a deficient maxilla by applying extraoral force to actively growing patients. This study has been performed to determine whether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keletal and dental changes between FH/Pal 1 and FH/Pal 2 group, SNA 1 and SNA 2 group, SNB 1 and SNB 2 group, and LFH 1 and LFH 2 group after RME and facial mask therapy.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nd concluded as follows ; 1. In all patients after maxillary protraction, the maxilla and maxillary dentitions moved forward, and the mandible rotated backward and downward. In most of them, palatal plane is tends to have an upward inclination. 2. The FH/Pal group 1, having an upward inclination of the palatal plane as a result of Facial mas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maxillary forward movement compared to the FH/Pal group 2. 3. The SNA group 1 showed significantly less mandibular backward movement and there was a tendency for the palatal plane to upward inclination compared to SNA group 2. 4. The SNB group 1 showed significantly less maxillary forward movement, but the vertical dimension, especially the lower facial height increased by mandibular downward rotation compared to SNB group 2. 5. LFH group 1, which had large saddle angle and posterior positioned mandible in the pre-treatment stage, showed maxillary protraction effect without significant increase in lower facial height compared to LFH group 2.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은 크게 하악이 과성장인 경우, 상악이 열성장인 경우, 이 두가지의 복합으로 나타나는데 이중 상악의 열성장으로 인한 성장기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 환자에서는 상악골에 악정형력을 가하여 상악골을 전방견인 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이에 상악골 견인장치 중 현재 많이 쓰이는 RME와 Facial mask를 사용하여 치료한 34명(남자 9명, 여자 2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치료결과 FH/palatal plane, SNA, SNB, LFH의 변화량을 기준으로하여 각각의 변화량에 따라 두군으로 분류하여 치료 전, 후 상악골 및 하악골의 변화 양상과 수직적인 고경에 차이가 있는지를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상악골 전방견인 장치를 사용한 모든 환자에서 상악골의 전방이동과 하악골의 후하방회전이 일어났으며 대부분의 환자에서 구개평면은 상방경사되는 경향을 보였다. 2. Facial mask사용결과 구개평면이 상방경사된 군(FH/pal 1군)은 구개평면이 하방경사된군(FH/pal 2군)에 비해 상악골의 전방이동이 많이 일어났다. 3. Facial mask 사용결과 상악골의 전방이동량이 많은 군(SNA 1군)은 상대적으로 하악골의 후방이동량은 적게 나타나고 구개평면이 상방경사되는 경향을 보였다. 4. Facial mask사용결과 하악골의 후방이동이 많이 일어난 군(SNB 1군)은 상대적으로 상악골의 전방이동은 적게 나타나며 하악골의 후방이동은 하방회전과 함께 나타나서 수직적인 증가 특히 전안면부위의 증가를 일으킨다. 5. LFH 증가량에 의해 분류된 두 군 사이의 비교에서 치료 전 saddle angle이 크고 상악골 및 하악골이 후방에 위치하던 군이 saddle angle이 작고 하악골이 전방위치되어 있는 군에 비해 하안면고경의 큰 증가없이 상악골 전방견인이 이루어졌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