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tsutake mushroom

검색결과 88건 처리시간 0.033초

송이버섯을 이용한 과립차 제조 조건 확립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stablishing the Preparation Conditions for Pine Mushroom(Tricholoma matsutake Sing.) Granular Tea)

  • 박미란;최수근;변광인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689-695
    • /
    • 2007
  • The pine mushroom is recognized as being a valuable functional food and is considered a prized mushroom. One of the product development plans for this mushroom is a granular tea. Thus, for this study, the physical properties and sensory qualities evaluation of such a this product were measured. First, we extracted pine mushrooms at various temperatures(50, 60, 70, 80 and $90^{\circ}C$) to make a pine mushroom granular tea. The extraction yield and free amino acid content were greatest in the $50^{\circ}C$ extraction. This extract that was acquired at $50^{\circ}C$ was lyophilized and pulverized to make the granule tea.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granular tea made from 4% pine mushroom powder had the best taste, with a Brix value of 1.9% and a pH of 4.12. The L-value of chromaticity was 49.00, the a-value -0.85, and the b-value was 1.28.

  • PDF

송이(Tricholoma matsutake)의 자실체에서 추출한 조다당류가 생쥐의 Sarcoma 180에 미치는 항암 및 면역증강 작용 (Antitumor and Immuno-potentiating Activity against Mouse Sarcoma 180 by Crude Polysaccharides Extracted from Fruiting Body of Tricholoma matsutake)

  • 허현;최연일;이태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9호
    • /
    • pp.1290-1298
    • /
    • 2008
  • 송이는 담자균문, 주름버섯목, 송이과에 속하며 맛이 좋은 식용 버섯으로 예로부터 사람의 위궤양이나 위암의 치료효과는 물론 생쥐의 Sarcoma 180과 Ehrlich Sarcoma에도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송이의 자실체로부터 중성염용액, 열수 및 메탄올을 이용하여 조다당류를 추출하고 ICR mice에 주사하여 항암 및 면역증강 효과를 조사하였다. NIH3T3, Sarcoma 180, HepG2, HT-29 등의 암세포에 대한 독성을 조사한 결과 각각의 암세포는 2 mg/ml의 조다당류 농도에서는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Sarcoma 180이 접종된 ICR mouse에 자실체에서 추출한 각각의 조다당류를 투여한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평균수명이 각각 23.4$\sim$37.2% 연장되었다. 메탄올과 열수로 추출한 조다당류를 0.2$\sim$0.5 mg/ml의 농도로 투여한 실험군 생쥐의 B 임파구 alkaline phosphatase 활성은 대조군에 비해 각각 2.17$\sim$11.9배의 증가하였다. 중성염추출 조다당류를 50 mg/kg body weight의 농도로 투여한 생쥐의 총 복강 세포 수와 백혈구의 수는 대조군에 비하여 각각 6배와 1.5배 증가하였다. 따라서 송이의 자실체에서 추출한 조다당류는 생쥐의 Sarcoma 180에 대해 항암작용 및 면역증강 작용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Soil Water Monitoring in Below-Ground Ectomycorrhizal Colony of Tricholoma Matsutake

  • Koo, Chang-Duck;Kim, Je-Su;Lee, Sang-Hee;Park, Jae-In;Kwang- Tae Ahn
    • 한국제4기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29-133
    • /
    • 2003
  • Water is critically important for Tricholoma matsutake(Tm) growth because it is the major component of the mushroom by over 90%. The mushroom absorbs water through the below ground hyphal colony. Therefore, the objectives of our study were to investigate spatio-temporal water changes in Tm colonies. This study was carried out at Tm fruiting sites in Sogni Mt National Park, where the below-ground mushroom colonies have been irrigated. To identify spatial water status within the Tm soil colony soil moisture and ergosterol content were measured at six positions including a mushroom fruiting position on the line of the colony radius. To investigate temporal soil moisture changes in the soil colony, Time Domain Reflectometry(TDR) sensors were established at the non-colony and colony front edge, and water data were recorded with CR10X data logger from late August to late October. Before irrigation, whereas it was 12.8% at non-colony, the soil water content within Tm colony was 8.0% at 0-5cm from the colony front edge, 6.2% at 10-15cm and 6.5-7.5% at 20-40cm. And the content was 12.1% at 80cm distance from the colony edge, which is similar to that at the non-colony. In contrast, ergosterol content which is proportional to the live hyphal biomass was only 0.4${\mu}g$/g fresh soil at the uncolonized soil, while 4.9 $\mu\textrm{g}$/g fresh soil at the front edge where the hyphae actively grow, and 3.8 ${\mu}g$/g fresh soil at the fruiting position, l.1${\mu}g$/g at 20cm distance and 0.4${\mu}g$/g in the 40cm rear area. Generally, in the Tm fungal colony the water content changes were reversed to the ergosterol content changes. While the site was watered during August to October, the soil water contents were 13.5∼23.0% within the fungal colony, whereas it was 14.5∼26.0% at the non-colony. That is, soil water content in the colony was lower by 1.0∼3.0% than that in the non-colonized soil. Our results show that Tm colony consumes more soil water than other parts. Especially the front 30cm within the hyphal colony parts is more critical for soil water absorption.

  • PDF

한국(韓國)에서 9월(月)의 기상인자(氣象因子)가 송이 발생(發生)에 미치는 영향(影響)과 그 극복방안(克服方案) (Effects of Climatic Condition in September on Pine-mushroom(Tricholoma matsutake) Yield and a Method for Overcoming the Limiting Factors in Korea)

  • 박현;김교수;구창덕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4권4호
    • /
    • pp.479-488
    • /
    • 1995
  • 송이 발생(發生)의 제한인자(制限因子)를 파악(把握)하고 극복방안(克服方案)을 개발(開發)하기 위(爲)하여 18개(個) 주요(主要) 송이산지(産地)의 생산량(生産量)과 송이 발생(發生)에 관여(關與)하는 주요(主要) 기상인자(氣象因子)(월별(月別) 강수량(降水量), 상대습도(相對濕度) 평균기온(平均氣溫), 최고(最高) 최저기온(最低氣溫), 지중온도(地中溫度), 일조율(日照率)의 관계(關係)을 지난 17년간(年間)(1978-1994)의 자료(資料)를 이용(利用)하여 분석(分析)하였다. 송이 발생(發生)에 가장 큰 영향(影響)을 미치는 인자(因子)는 지역별(地域別)로 다르지만 대체로 송이 발생기(發生期)인 9월(月)의 기상(氣象)이었으며 각(各) 인자(因子)들의 중요도(重要度)는 지역별(地域別)로 다르게 나타났다. 이 중(中)에서 1% 유의수준(有意水準)에서 $$r^2{\geq_-}0.41$$를 나타낸 인자(因子)는 9월(月) 평균최저기온(平均最低氣溫)으로 이 온도(溫度)가 높을수록 송이 발생량(發生量)이 많았으며, 이런 현상(現象)이 있는 지역(地域)은 영덕(盈德), 울진(蔚珍), 삼척(三陟), 봉화(奉化) 등(等) 9개(個) 지역(地域)이었다. 이들 지역(地域)에서는 식생정리(植生整理)를 통해 임내(林內)에 햇빛이 많이 들어 오도록 하여 균환(菌環) 주변(周邊)의 온도(溫度)를 높이면 송이 증수(增收)에 효과적(效果的)일 것으로 예상(豫想)되었다. 9월(月) 강수량(降水量)이 $$r^2{\geq_-}0.41$$인 지역(地域)은 남원(南原), 문경(聞慶), 상주지역(尙州地域)이었고, 이 지역(地域)에서는 송이 발생시기(發生時期)에 균환주변(菌環周邊)에 관수(灌水)하는 것이 효과(效果)를 거둘 것으로 기대(期待)되었다. 1994년(年)에는 가뭄으로 인(因)하여 1993년(年)에 버금가는 흉년(凶年)을 맞이하였는데, 문경(聞慶)과 거창지역(居昌地域)에서는 관수처리(灌水處理)를 통해 가뭄을 극복(克服)하여 송이를 증산(增産)할 수 있는 가능성(可能性)을 확인(確認)할 수 있었다.

  • PDF

한국산(韓國産) 식용(食用)버섯의 향기성분(香氣成分)에 관(關)한 연구(硏究) (I) -송이 버섯의 향기성분(香氣成分)- (Studies on the volatile aroma components of Edible mushroom (Tricholoma matsutake) of Korea)

  • 안장수;이규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53-257
    • /
    • 1986
  • 한국산 송이버섯의 생 것과 조리 중의 향기성분을 GC, GC-MS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생 송이버섯의 향기성분 13종을 명확 동정하였다. 이들 중 1-octen-3-ol이 73.95% Methyl Cinnamate가 12.52% , 2-octanol 7.62% 및 octyl alcohol 2.78%로 전체의 향기성분 중에서 96.78%를 차지하였다. 2) 조리 중 송이버섯에서 향기성분 9종을 명확 동정하였으며 이들 중 1-octen-3-ol이 64.94%, Methyl cinnamate가 22.03%, 2-octenol 7.68% 및 Octyl alcohol이 22.03%로 전체의 향기성분 중에서 97.96%로 조성되었다. 3) 생 송이버섯과 조리 중의 송이버섯의 향기 성분은 대부분이 Alcohol류와 Carbonyl화합물이며 탄소수가 8개인 저급 화합물이었다.

  • PDF

Cloning and Phylogenetic Analysis of Chitin Synthase Genes from Tricholoma matsutake

  • Suh, Seok-Jong;Kim, Il-Hyeon;Nam, Ju-Hyun;Ghim, Sa-Youl;Bae, Kyung-Sook;Kim, Jong-Guk
    • Mycobiology
    • /
    • 제29권4호
    • /
    • pp.179-182
    • /
    • 2001
  • Chitin synthases(UDP-N-acetyl-D-glucosamine: chitin 4-$\beta$-N-acetyl-D-glucosaminyl transferase, EC 2.4.1.16) catalyze the synthesis of chitin from UDP-N-acetyl-D-glucosamine. Two zymogenic type of chitin synthase gene(TmCHS1 and TmCHS2) were amplified and its nucleotide sequences were determined. By the amino acid comparison and UPGMA tree grouping, TmChs1 and TmChs2 were classified as class II and class IV chitin synthases respectively. The class II type TmChs1 was grouped with others of Agaricales ectomycorrhizal mushroom. Additionally the phylogenetic tree was well adapted to Hymenomycete previously classified by morphological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 PDF

The effect of mushroom components on the proliferation of HeLa cell line in vitro

  • Chung, Kyu-Sun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권1호
    • /
    • pp.25-33
    • /
    • 1979
  • In order to find out nutritional effects of Korean edible mushrooms on the multiplication of tissue cells, the alcohol extracts and acid bydrolysates of eleven species of mushrooms were added to Earle's ESS. A comparison of the respective multiplications of HeLa cells in this solution and in control solution of TC=199. Yielded the following result: The alcohol extracts and acid hydrolysates of a Coprinus comatur, Agaricus campestris, Agaricus bisporus, Lentinus edodes, Tricholoma matsutake, Pleurotus ostretus, Ramaria botrytis and Pholiota nameko influenced favorably the maintenance of the normal form and monolayer of HeLa cells. The growth curves of HeLa cells in the cultures containing, respectively, the alcohol extracts and acid hydrolysates of these eight mushrooms showed that five species, i.e., Coprinus comatus, Agaricus compestris, Agaricus bisporus, Lentinus edodes and Tricholoma matsutake effected an excellent multiplication and that the other three species were less effective than those five species. As to the effects on the cell multiplication, no marked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the alcohol extracts and the acid hydrolysates of the mushrooms tested.

  • PDF

송이 자생군락 토양 내 난배양성 세균군집의 계통학적 특성 (Phylogenetic Characteristics of viable but Nonculturable Bacterial Populations in a Pine Mushroom (Tricholoma matsutake) Forest Soil)

  • 김윤지;황경숙
    • 미생물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201-209
    • /
    • 2007
  • 송이 자생군락 토양 내 세균군집의 정량적 평가를 수행한 결과 CFDA 형광염색법을 이용해 직접 계수된 생균수는 $7.4{\pm}1.19{\times}10^8{\sim}1.07{\pm}0.17{\times}10^9cells/g$ soil로 육즙영양배지(nutrient broth, NB)에서 배양된 생균수는 CFDA 계수치의 $5{\sim}8%$로 계수되었으며, $10^{-2}$으로 희석한 NB(DNB)배지에서는 $40{\sim}47%$의 계수치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송이 자생군락 토양내에는 배양이 곤란한 난배양성(viable but non-culturable; VBNC)세균이 다수 존재해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송이 자생군락 토양내 세균군집의 계통학적 특성을 검토하기 위해 토양으로부터 직접 DNA를 추출하고 16S rDNA-ARDRA cluster 분석을 통하여 대표 clone의 16S rDNA 염기서열 분석을 수행하였다. 송이 자생군락 토양으로부터 구축된 총 115 clone은 31 ARDRA cluster로 분류되었으며, ${\alpha}-,\;{\beta}-,\;{\gamma}-$ Proteobacteria, Acidobacteria, Actinobacteria 그리고 Firmicutes의 6개 계통군이 확인되었다. 이들 계통군 중 약 85%가 Acidobacteria 계통군에 속하여 압도적인 우점군임이 확인되어 매우 독특한 계통학적 특성을 나타내었다.

송이균(松茸菌) (Tricholoma matsutake)의 배양환경(培養環境)에 대한 증식반응(增殖反應)에 관한 연구(硏究) (A Study on Multiplication Response of "Tricholoma matsutake" (Pine Mushroom) Conidio to Cultural Media Environment)

  • 김창호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64권1호
    • /
    • pp.33-41
    • /
    • 1984
  • 송이(松茸)는 적송(赤松)의 세근(細根)에 활물기생(活物寄生)한다고 하나 그 본질(本質)이 아직 구명(究明)되지 못하고 있음으로 인공재배(人工栽培) 확립(確立)이 모색(模索)되고 있는 중이다. 본논문(本論文)에서는 일차적(一次的)으로 송이(松茸)에서 순수분리(純粹分離)한 균(菌)을 배양(培養)하여 생리적(生理的) 특성(特性)을 구명(究明)하고 인공원기(人工原基)를 만들어 인공적(人工的)인 송이재배(松茸栽培)의 본질(本質)을 구명(究明)하여 송이재배(松茸栽培) 방법(方法)을 돕고자 송이균(松茸菌)의 생리특성(生理特性)에 대(對)하여 조사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각종(各種) 배양기상(培養基上)에서의 송이균계(松茸菌系)의 발육(發育)은 봉밀(蜂蜜)+송이발생토양전즙(松茸發生土壤煎汁)+적송수근추출물(赤松鬚根抽出物)+건조효모(乾燥酵母)+$KH_2PO_4$+Inositol+엽산(葉酸)+Biotin의 배지(培地)가 가장 우수(優秀)하였다. 2) 송이포자(松茸胞子)의 발아(發芽) 및 균계배양(菌系培養)에서 최적온도(最適溫度)는 $24^{\circ}C$, 최적(最適) pH는 4.5였다. 3) 송이균계배양(松茸菌系培養)에 있어서 송이자실체(松茸字實體)의 조직(組織)에서 분리(分離)한 것과 포자(胞子)에서 분리(分離)한 것은 그 발율(發育)에 차이(差異)가 없었다, 4) Hamada 배지(培地)에 각종(各種) 미량중금속염류(微量重金屬鹽類) $ZnSO_4$, $MnSO_4$, $MgSO_4$, $CaCl_2$ 구연산철(枸櫞酸鐵) 등(等)의 첨가(添加)는 별효과(別效果)가 없었다. 5) 적송수근추출물(赤松鬚根抽出物) 첨가(添加)는 균계발육(菌系發育)에 확실(確實)한 효과(效果)가 있었다. 적송(赤松)에는 송이균계(松茸菌系)의 생장(生長)을 촉진(促進)하는 인자(因子)가 존재(存在)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6) 송이균계(松茸菌系) 배양용(培養用) 인공배양기(人工培養基)의 C원(源)으로서 glucose보다 봉밀(蜂蜜)의 효과(效果)가 크다. 7) Fairy Ring이 가장 많이 존재(存在)하는 미생물(微生物)인 Mortierlla spp의 배양여액(培養濾液)을 송이균계(松茸菌系) 인공배양기(人工培養基)에 첨가(添加)한 것이 대조치(對照値)에 비(比)하여 균계(菌系)의 발육(發育)이 양호)良好)하였다. 8) 송이인공원기(松茸人工原基)의 배지(培地)에 적송수근추출물(赤松鬚根抽出物) lnsitol Biotin 엽산(葉酸)의 첨가(添加)는 효과(效果)가 크다. 균계(菌系)의 만연(蔓延)된 후(後) 온도(溫度)를 내려서 $19^{\circ}C$로 유지(維持)할 때 primordium의 형성(形成)을 확인(確認)하였다.

  • PDF

송이(松?)버섯 [Tricholoma matsutake(S. Ito et Imai) Sing.]의 Polyphenol Oxidase에 관하여 (Studies on Polyphenol Oxidase of Tricholoma matsutake(S. Ito et Imai) Sing)

  • 양희천;홍재식;이태규;손희숙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6권1호
    • /
    • pp.41-46
    • /
    • 1983
  • 송이버섯[Tricholoma matsutake(S. Ito et Imai);Sing.]에서 polyphenol oxidase 조효소액(粗酵素液)을 추출(抽出), 그 성질(性質)을 조사(調査)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Trihydroxyphenol류(類)와 o-diphenol류(類)에 활성(活性)을 보였고 이들중 pyrogaroll이 최고활성(最高活性)을 보였으며 m-diphenol, p-diphenol 그리고 monophenol류(類)에서는 활성(活性)을 보이지 않았다. 최적(最適) pH는 4.0 부근이었고, 최적온도(最適溫度)는 $45{\sim}55^{\circ}C$였으며, 효소(酵素)의 활성(活性)이 $70^{\circ}C$에서 2분(分) 가열(加熱)로 완전(完全)히 실활(失活)되었다. $Cu^{++}$, $Fe^{++}$$Mg^{++}$$10^{-1}mM$이상(以上) 농도(濃度)에서는 효소력(酵素力)이 증가(增加)되었으나, 그 이상(以上)의 농도(濃度)에서는 오히려 저하(低下)되었다. 저해제(沮害劑)로는 Na-DETC, L-ascorbic acid, L-cysteine 및 NaCl이 양호(良好)하였다. pyrogaroll에 대한 km치(値)는 0.88mM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