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thematics clinic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23초

대학수학클리닉의 필요성과 운영 방안예 대한 연구 (I) (The Necessity and Operation Method of College Mathematics Clinic (I))

  • 김병무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39권2호
    • /
    • pp.187-199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work is to explain the necessity and operation method of college mathematics clinic, investigating the reason why college students like and dislike mathematics. It is difficult for each professor alone to operate college mathematics clinic without students\` helping. They need to work together. For mathematics clinic operation, the following will be practiced: 1) make use of math-class, 2) help of math-club, 3) make internet homepage, 4) use of university institution and laboratory.

  • PDF

수학학습클리닉 프로그램 평가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Assessment Model for Math Clinic Program)

  • 김정현;고호경;허난;황혜정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1권3호
    • /
    • pp.313-329
    • /
    • 2017
  • 수학학습클리닉은 학생과의 지속적인 만남을 통해 고민을 함께 얘기해보면서 수학학습에 대한 정의적인 부분의 변화를 강조하는 내용으로 앞으로 우리 학생들이 수학에 대해 긍정적인 마음으로 수학을 접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프로그램이다. 하지만 일선학교에서 수학학습클리닉은 각 학교에서 교사의 재량에 의해 다양한 형태로 운영이 되고 있어 수학학습클리닉이 제대로 그 목적을 달성하고 있는 지를 확인하기가 어렵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수학학습클리닉 운영을 위해 갖추어야 할 기본적인 사항을 점검하고 운영을 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부분을 체크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의 역할을 할 수 있는 프로그램 평가모형의 필요성이 절실하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수학학습클리닉 프로그램 평가모형이 학교현장에서 수학학습클리닉이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수학학습클리닉 운영을 위한 가이드라인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그 결과 수학학습클리닉의 운영이 보다 체계적이 될 것이며 프로그램 운영을 점검하고 운영의 문제점을 수정 보완하여 진행이 될 것이다.

학습 부진아 수학 클리닉 운영 사례 (Math Clinic for the Learning Disabilities)

  • 권혁진;김민경;이은영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9권1호
    • /
    • pp.19-40
    • /
    • 2006
  • 매년 학습 부진아에 대한 노력은 계속되어 오고 있으나, 오히려 그 수가 더 많아지고 있는 현실에서 이제는 이에 대해 좀 더 실천적인 방안을 고려해보아야 할 것이다. 특히 본 논문에서는 수학 학습 부진에 관한 기존의 연구들 중 가장 일반적이고도 포괄적인 것으로 판단되는 연구를 개략적으로 살펴보고, 이에 대한 해결 방안으로 수학 클리닉 운영 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수학클리닉에서는 수학 학습 부진뿐만 아니라, 불안, 기피 학생들의 근본적인 요인(정서적, 환경적, 심리적)을 진단하고 올바른 교정 프로그램을 통하여 수학에 대한 바른 이해와 긍정적 태도, 그리고 학습 교정 및 잠재적 능력을 개발하여 학생들이 자신감을 갖고 올바른 수학적 소양과 능력을 기르도록 하는데 그 목적을 둔다. 본 논문에서는 수학부진아 클리닉을 시범적으로 운영하여 학습에서 나타난 학생들의 오류를 분석하여 학습부진아를 위한 적합한 수학 학습 클리닉 운영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대학에서 수학 클리닉의 필요성과 효과에 관한 연구 - H 대학교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necessity and the effects of mathematics clinic in university - Focused on the H university -)

  • 최원영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7권1호
    • /
    • pp.109-121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수학에서 보충학습의 의미를 가진 클리닉에 대한 경험적 사례를 제공하여 그 필요성에 언급하는데 있다. 수학 클리닉은 크게 튜터링과 문제풀이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있다. 튜터링의 경우 개인 중심의 학습형태를 넘어서 구성원간의 상호작용학습을 함으로서 학업성취도를 증가시키는 것을 핵심 가치로 하며, 문제풀이의 경우 스스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동기부여를 주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H대학교의 운영사례로부터 수학 클리닉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정하였다. 그 결과로 두 개의 프로그램 모두 (튜터링과 문제풀이) 학업성취도를 유의미하게 향상시켰으며 두 프로그램을 모두 참여한 학생에게서 그 효과가 특히 뛰어났다. 또한, 튜터링 프로그램보다 문제풀이 프로그램이 학업성취도에 더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 PDF

학습부적응 아동을 위한 학습클리닉 프로그램 효과분석 (Analysis of Effectiveness of Learning Clinic Program for Learning Maladjusted Children)

  • 황미영;원효헌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9권1호
    • /
    • pp.315-324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elp with education by applying the learning clinic program to the maladjusted children to improve the emotional stability and academic achievement. In order to find the components of the learning clinic program, we have classified self efficacy, learning motivation, anxiety, and academic stress as emotional factors and the results of Korean language, mathematics, sociology and science as academic achievement factor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program.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are followings. Firstly,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self efficacy and anxiety between boys and girls among emotional factors, a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math between boys and girls among academic achievement factors. Secondly, after applying the learning clinic program, significant difference is found in all factors such as self efficacy, learning motivation, anxiety and academic stress, and there was also a significant difference in Korean language, mathematics, sociology and science among academic achievement factors. In conclusion, the learning clinic program was helpful to maladjusted children by improving emotional stability and academic achievement.

수업과 연계한 수학 클리닉 상담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Math Clinical Counseling based on Connection with Class)

  • 김홍겸;고호경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2권2호
    • /
    • pp.113-129
    • /
    • 2018
  • 근래 들어 수학 학습 부진아들을 위해 수학클리닉과 관련된 연구가 많이 수행되고 있지만 수학 수업과는 별개의 상담을 실시하거나 수학 학습 상담과는 무관한 기초학습 지도에 초점을 둔 연구가 대부분이다. 본 연구는 수학 학습 상담이 수학 수업과 무관할 수 없다는 관점에 따라 수학 클리닉 상담을 수업과 연계하여 실시하는 것에 중점을 두었다. 즉, 학생이 호소하는 인지적, 정의적, 수업 활동에서의 문제점을 수학 수업과 연계시키면서 수학 클리닉 상담을 통해 개입하는 사례를 보이고자 하였다.

근거이론적 접근에 따른 수학학습 상담 발문 유형에 대한 연구 (A study on categories of questions when holding counselling on learning math in regards to grounded theoretical approaches)

  • 고호경;김동원;이환철;최태영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7권1호
    • /
    • pp.73-92
    • /
    • 2014
  • 본 연구는 초 중등 학생의 수학에 대한 정서, 가치, 흥미 및 자기효능감 등의 정의적 영역의 개선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일환을 두고 수행되었다. 이에 따라 먼저, 수학학습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학생들의 수학학습 클리닉을 위한 상담 과정에서 상담교사에게 필요한 발문이 무엇인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지난 2년간 정례적으로 실시해오고 있는 수학클리닉의 상담 내용을 수집하여 상담을 위해 오가던 질문들을 모두 분석함으로써 상담과정에서 학생들을 진단하기 위해 필요한 발문들을 추출하였다. 자료 분석은 Strauss & Corbin(1998)의 근거이론 분석방법을 사용하여 개방코딩, 축 코딩, 선택코딩의 분석단계를 실시하였다. 도출한 패러다임(paradigm) 모형은 인과적 조건으로는 '수학학습 정서', 맥락적 조건으로 '수학학습능력 자신감', 중심현상은 '수학학습 태도', 중재적 조건은 '수학학습 개인적 성향', 작용/상호작용으로 '수학학습 자기관리', 그리고 마지막 결과로는 '수학학습 방법'으로 상담과정에서 나타나는 발문들을 범주와 하위범주들 간의 관계로 연결하였다. 이 과정에서 총 81개의 개념이 도출되었으며, 진술된 개념들은 다시 31개의 관련영역으로 범주화하였다. 본 연구는 클리닉 상담을 위한 진단지 제작 표준화 작업을 위한 근거 이론으로 활용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 PDF

MATHEMATICAL UNDERSTANDING OF CONSCIOUSNESS AND UNCONCIOUSNESS

  • LEE, NAMI;KIM, EUN YOUNG;SHIN, CHANGSO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dustrial and Applied Mathematics
    • /
    • 제21권2호
    • /
    • pp.75-79
    • /
    • 2017
  • This paper approaches the subject of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from a mathematical point of view. It sets up a hypothesis that when unconscious state becomes conscious state, high density energy is released. We argue that the process of transformation of unconsciousness into consciousness can be expressed using the infinite recursive Heaviside step function. We claim that differentiation of the potential of unconsciousness with respect to time is the process of being conscious in a world where only time exists, since the thinking process never have any concrete space. We try to attribute our unconsciousness to a special solution of the multi-dimensional advection partial differential equation which can be represented by the finite recursive Heaviside step function. Mathematical language explains how the infinitive neural process is perceived and understood by consciousness in a definitive time.

Development of the Computerized Mathematics Test in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 Lee, Eun Kyung;Jung, Jaesuk;Kang, Sung Hee;Park, Eun Hee;Choi, InWook;Park, Soowon;Yoo, Hanik K.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28권3호
    • /
    • pp.174-182
    • /
    • 2017
  •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develop a computerized test to measure the level of mathematic achievement and related cognitive function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in South Korea. Methods: The computerized Comprehensive Learning Test-Mathematic (CLT-M) consists of the whole number computation test, enumeration of dot group test, number line estimation test, numeral comparing test (magnitude/distance), rapid automatized naming test, digit span test, and working memory test. To obtain the necessary data and to investigat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is test, 399 children and adolescents from kindergarten to middle school were recruited. Results: The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of the CLT-M was high (Cronbach's alpha=0.76). Four factors explained 66.4% of the cumulative variances. In addition, the data for all of the CLT-M subtests were obtained. Conclusion: The computerized CLT-M can be used as a reliable and valid tool to evaluate the level of mathematical achievement and associated cognitive functions in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This test can also be helpful to detect mathematical learning disabilities, including specific learning disorder with impairment in mathematics, in Korea.

학습장애의 신경생물학적 기전 : 읽기장애를 중심으로 (Neurobiological basis for learning disorders with a special emphasis on reading disorders)

  • 정희정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9권4호
    • /
    • pp.341-353
    • /
    • 2006
  • Learning disorders are diagnosed when the individual's achievement on standardized tests in reading, mathematics, or written expression is substantially below that expected for age, schooling, and level of intelligence. Subtypes of learning disorders may be classified into two groups, language-based type learning disorders including reading and writing disorder, and nonverbal type learning disorder (NLD) such as those relating to mathematics & visuospatial skills, and those in the autism spectrum. Converging evidence indicates that reading disorder represents a disorder within the language system and more specifically within a particular subcomponent of that system, phonological processing. Recent advances in neuroimaging technology, particularly the development of fMRI, provide evidences of a neurobiological basis for reading disorder, specifically a disruption of two left hemisphere posterior brain systems, one parieto-temporal, the other occipito-temporal. The former is the reading system for beginner reading, the latter for skilled reading. Compensatory engagement of anterior systems around the inferior frontal gyrus(Broca's area) and a posterior(right occipito-temporal) system is noted in persistent poor readers in long-term follow up study. The theoretical model proposed to explain NLD's source is not right hemisphere damage, but rather the white matter model. The working hypothesis of the white matter model is that the underdevelopment of, damage to, or dysfunction of cerebral white matter(long myelinated fibers) is the source of this disorder. The role of an evidence-based effective intervention in the remediation of children with learning disorder is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