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sk pack

검색결과 31건 처리시간 0.024초

Respiratory Protection for LASER Users

  • Lee, Sang Joon;Chung, Phil-Sang;Chung, Sang Yong;Woo, Seung Hoon
    • Medical Lasers
    • /
    • 제8권2호
    • /
    • pp.43-49
    • /
    • 2019
  • The plume produced by vaporizing tissue with a laser contains a variety of contaminants called laser-generated air pollutants (LGACs). LGACs consist of a mixture of toxic gas components, biomicroparticles, dead and living cells, and viruses. Toxic odors and thick smoke from surgical incisions and the coagulation of tissues can irritate eyes and airways, as well as cause bronchial and pulmonary congestion. Because of the potential risk of the smoke, it is advisable to appropriately remove it from the surgical site. We recommend using a smoke evacuator to remove the smoke. Suction nozzles should be placed as close as possible to the surgical site in a range of 2 cm or less. In-line filters should be used between the inlet and outlet of the surgical site. All air filtration devices should be capable of removing particles below 0.1 microns in size. The filter pack should be handled according to infection control procedures in the operating room. The laser mask can be an auxiliary protective device if it is properly worn. Some smoke inhaled under the nose wrap or over the side of the mask will not be filtered. As in electrosurgical operations, a suitable mask should be worn while smoke is present.

Determination of Heavy metals on the non-woven in wet wipes using ICP-MS

  • Choi, Sung-Min;Song, Jin-Kun;Kim, Sang-Jin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195-203
    • /
    • 2016
  • Heavy metals have been analyzed on the non-woven from the 24 kinds of wet wipes and 8 kinds of mask packs. The following materials used in the non-woven according to each product are: rayon+polyester for the 12 wet wipe products, rayon+PET for the 5 wet wipe products, and rayon, cotton, rayon+polyester+cotton, pulp+polypropylene for the rest of the wet wipe products. No further information on the materials was found on the 3 wet wipes and 8 mask packs. However, polyester may be applied for the non-woven in wet wipes, because PET is part of the polyester group. The heavy metals analysis in the 24 kinds of wet wipes and 8 kinds of mask packs revealed the following: arsenic was found from $47.14{\pm}1.13$ to $71.75{\pm}1.64{\mu}g/L$ on the 3 products, the amount of nickel in the 2 products were $261.26{\pm}5.14$ and $1,242.63{\pm}43.71{\mu}g/L$, $53.69{\pm}1.45$ and $103.52{\pm}2.02mg/L$ on the 2 mask packs. It was also revealed that lead was detected from $7.23{\pm}0.32$ to $55.67{\pm}1.46{\mu}g/L$ on the 6 wet wipes, antimony was ranged from $187.86{\pm}5.24$ to $19,558.35{\pm}3,537.30{\mu}g/L$ on the 12 wet wipes, and $5.25{\pm}0.25$ and $8,936{\pm}55.22{\mu}g/L$ on the 2 mask packs. No cadmium, mercury, or thallium were detected from all the products. A high concentration of antimony might come from antimony trioxide, which was used as a catalyst when manufacturing the polyester. Therefore, it is strongly recommended that a non-woven used for cosmetic purposes should not use heavy metals as a catalyst when manufacturing, and it's important to clarify which materials are used in non-woven.

당근, 느타리버섯 및 솔잎 추출물이 첨가된 화장품의 할랄인증을 위한 PCR 분석 (PCR Analysis for Halal Authentication of Cosmetics Containing Carrot, Oyster Mushroom, and Pine Needle Extracts)

  • 장찬송;김태현;김유송;이범주;홍광원
    • 산업식품공학
    • /
    • 제22권4호
    • /
    • pp.309-314
    • /
    • 2018
  • 최근 국내의 식품 및 화장품 분야에서 해외 할랄시장 진출을 위해 할랄 인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할랄 인증을 받으려면 해당 제품에 돼지, 개, 사람, GMO 등과 같은 haram 성분들이 포함되어서는 안 된다. 본 연구에서는 papain과 bromelain을 처리한 식물추출물(당근, 느타리 버섯, 솔잎)이 첨가된 화장품(cream과 mask pack)이 할랄 인증에 적합한지를 확인하기 위해 이들 추출물과 최종제품에서 haram 성분의 존재 여부를 PCR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사람, 돼지, 개 및 GMO 대두의 template DNA를 특이적으로 검출하는 PCR 방법의 검출한계는 각각 $1.29{\times}10^3$, $1.14{\times}10^3$, $1.24{\times}10^2$$2.02{\times}10^3copies/tube$ 이었다. PCR은 식물 추출물이나 화장품 성분에 의해 저해 받지 않았다. 식물추출물과 이들이 첨가된 cream과 mask pack에 대해 PCR을 수행한 결과 모두 음성이었다. 본 PCR 방법은 식품이나 화장품의 제조과정 중 원재료나 최종제품에서 haram 성분의 존재를 신속하게 확인하는 데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Pleurotus eringii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품의 복합효능 평가 (Evaluation of the Convergence Efficacy of Cosmetic Products Containing Pleurotus eringii Extracts)

  • 권혜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6호
    • /
    • pp.545-550
    • /
    • 2017
  • 본 연구는 무농약 재배 Pleurotus eringii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품의 효능을 평가하여 새로운 천연 화장품 원료를 개발 하고자 실험을 진행하였다. Pleurotus eringii 는 우리나라 경상남도에서 무농약으로 재배된 2016년산을 구입하여 건조한 후 80% EeOH로 상온에서 추출하였다. 추출물의 항산화활성은 DPPH assay와 ROS assay로 평가하여 우수한 효능을 확인하였고, 추출물 5%를 함유한 크림팩을 제조하여 수분, 유분, pH, 색소의 항목을 평가한 결과 T-zone부위의 유, 수분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U-zone 유분변화, pH, 색소 등의 항목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실험군의 피부변화가 대조군에 비해 모든 항목에서 우수한 효능을 보여 Pleurotus eringii 추출물의 화장품 원료로서의 효능을 확인 할 수 있었고, 향 후 농도별, 추출조건 및 재배조건을 고려한다면 더욱 향상된 화장품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평가 받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극성 저분자 케라틴 펩타이드에 의한 피부 탄력 변화 연구 (Study on Effect of Skin Elasticity by Polar Low Molecular Weight Keratin Peptide)

  • 맹지혜;남개원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243-252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Fervidobacterium islandicum AW-1를 이용하여 극성 저분자 케라틴 펩타이드를 생산하고, 피부 탄력과 관련한 인자를 확인하여, 화장품 원료로서 극성 저분자 케라틴 펩타이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인체섬유아세포에 극성 저분자 케라틴 펩타이드를 농도에 따라 세포독성 및 콜라겐 합성능을 확인한 결과, 세포 독성은 나타나지 않았고, 인체섬유아세포 내 콜라겐 합성을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극성 저분자 케라틴 펩타이드를 함유한 마스크팩을 만들어, 22 명의 건강한 성인 피험자를 대상으로 4 주 동안 시험제품을 사용한 결과, 피부 탄력 및 피부 비틀림 탄력 개선, 수분량 증가, 피부색 개선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를 나타냈다. 이를 통해 극성 저분자 케라틴 펩타이드는 피부 탄력 개선에 도움을 주는 화장품 원료로 사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안면 구획화에 따른 부위별 피부개선 효과 (Improvement of the skin condition according to the face mapping)

  • 권혜진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1219-1223
    • /
    • 2019
  • 피부의 상태는 얼굴부위별로 차이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안면피부를 9부위로 구획화하여 수분, 유분, 건조감, 각질량, 거칠음 등의 특성을 기준으로 부위별 피부 관리 후 개선효과를 확인하였다. 20~35세 여성 98명을 대상으로 지각하는 피부의 특성을 부위별로 선택하여 순서대로 나열하고 가장 강하게 느끼는 부위에 가중치를 두어 분석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부위별 보습 관리를 시행하였다. 가장 건조감을 느끼는 부위는 입가와 눈가, 각질량이 가장 많은 곳과 거친 곳은 턱으로 나타났다. 또 부위별 관리 후 특정 부위 및 안면 전체 수분량의 유의한 증가를 보였고(p<.05), 90.5%의 건조감 해소에 대한 만족도를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로 안면 부위별 관리는 뷰티 디바이스 또는 안면 마스크팩 응용 개발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한방약용식물의 항산화효과 및 기초화장품소재 응용 (Antioxidizing Effects of Herbal Medicine Plants and Their Applications to the Materials of Skin Care Cosmetic Base)

  • 박영호;이창섭
    • 대한화학회지
    • /
    • 제54권6호
    • /
    • pp.707-710
    • /
    • 2010
  • 우리나라 서남단의 지리산에는 천연야생에서 자생하는 한방약초의 보고라고 할 수 있다. 현재 약초로 분류되는 식물로는 1200여종이 자생 혹은 재배되고 있다. 최근들어 이들 중 현대인의 피부노화억제와 관련하여 관심을 끌고 있는 약초로 홍화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연구되고 있는데 금번연구에서는 홍화의 주성분인 폴리페놀 화합물(Polyphenol cocktail)이 30 - 40대 중년기의 여성에게 주름생성을 억제시켜 피부노화에 대한 지연효과를 줄 수 있는 천연물질임을 확인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1차적으로 in vitro법으로 DPPH assay로 항산화효과를 확인하고 더불어 인체에 대한 임상시험을 통해 얼굴피부의 주름발생에 대한 억제 혹은 개선효과가 있음을 입증하고자 한다. 또한 홍화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항노화 마스크팩 시제품의 개발로 진일보하여 기능성화장품 산업의 발전에 기여할 것임을 확신한다.

2016 미래패키징 신기술 정부포상 (2016 KOREA STAR AWARDS)

  • (사)한국포장협회
    • 월간포장계
    • /
    • 통권277호
    • /
    • pp.45-66
    • /
    • 2016
  • 산업통상자원부가 주최하고 한국생산기술연구원이 주관하는 "제10회 미래패키징 신기술 정부포상"시상식이 4월 26일 일산 킨텍스 그랜드볼룸에서 열렸다. 정부포상제도는 미래지식산업인 패키징산업 종사자의 긍지와 자부심 함양의 계기를 실천하고, 패키징산업 종사자의 사기진작과 패키징산업 활성화를 도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한국국제포장기자재전(KOREA PACK)과의 동시개최로 패키징산업 종사자간 정보교류 극대화 및 공동체 의식 함양으로 일체감을 조성함은 물론, 패키징산업 기술인의 기술개발 의욕을 고취한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제10회 미래패키징 신기술 정부포상 시상식에서는 코리아스타상 기업부문, 학생부문, 공로부문으로 구분하여 시상이 진행됐다. 기업부문은 패키징 완제품, 친환경패키징, 패키징관련기계(설비) 및 관련부품, 패키징인쇄(라벨링), 패키징원부자재 생산 및 가공공정, 패키징디자인 등의 분야에서 신기술 개발 또는 개선으로 수출 신장, 매출 수익 증대 및 발명특허 획득을 통해 패키징 기술력 발전에 기여한 기업의 패키징제품 또는 패키징디자인을 대상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학생부문은 패키징 디자인 관련분야 전공자로 패키징과 연관된 컨셉으로 상품성, 창의성, 표현성, 친환경성, 지속가능성 등이 어우러진 독창적인 패키징제품 또는 패키징디자인을 대상으로 한다. 또한 공로부문은 패키징 산업 관련 산업계, 학계, 연구계, 유관기관에 종사하는 자로서 패키징 관련 핵심 기술개발, 경영, 마케팅 면에서 패키징 산업 발전에 기여한 공적이 뚜렷한 자, 패키징산업발전 정책연구 및 패키징산업 육성에 기여한 기업 또는 개인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이번 행사에서는 기업부문 29개 제품과, 학생 14명, 공로 2명에 대한 포상이 진행, 국무총리상에는 (주)더우주의 '우주 페이스 마스크(OOZOO FACE MASK)'가 수상했으며, 산업통상자원부장관상에는 현대글로비스(주)외 2개사, 한국생산기술연구원장상에는 (주)풀무원 외 10개사가 수상했다. 학생부문에서는 안양대학교가 산업통상자원부장관상을 수상했다. 공로부문으로 진행된 시상식에서는 서영철 Flair Flexible Packaging 대표이사와 이명훈 한국포장시스템연구소장이 산업통상자원부장관 표창을 받았다. 본 고에서는 제10회 미래패키징 신기술 정부포상 수상작들을 살펴봄으로써 최신 패키징 경향에 대해 알아보도록 한다.

  • PDF

방사선 가교 기술을 이용한 유효성분 방출력이 우수한 하이드로겔 제조 및 특성 분석 (Characterization and Preparation of the Hydrogel has Excellent Release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Using a Radiation Cross-linking Technology)

  • 황승현;안성준;박종석;정성린;권희정;이동윤;임윤묵
    • 방사선산업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199-207
    • /
    • 2015
  • Typical radiation cross-linked hydrogels has the characteristic that high water content, but low emission efficiency of active ingredients. Therefore, the hydrogel was prepared by the addition to collagen, which is closely related to the formation of skin wrinkles in biocompatibility and highly water-soluble carboxymethyl cellulose sodium salt (CMC) in order to preparation of hydrogels has excellent emission efficiency of active ingredients. Hydrogels were prepared by dissolving CMC and collagen each of 0.5%, 10% concentration in deionized water. Then, prepared hydrogels are performed by gamma-radiation at 1, 3, 5 kGy irradiation dos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gel fraction of after irradiated 3 kGy hydrogel was higher than before irradiated gelation as long as the 55.3%. The swelling rate of irradiated 3 kGy hydrogel was lower than the non-irradiated sample. The compressive strength of 3 kGy irradiated hydrogel was the highest. The visco-elastic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s, even after irradiation. The CMC hydrogel in this study suggested a potential use as a material for the mask pack for improved emission efficiency of the active ingredient and anti-wrinkles.

대학생의 성별에 따른 피부 관련 생활습관 및 피부건강행동에 대한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Skin-related Habits and Skin Health Behaviors according to Gender in College Students)

  • 김용연;박신준;박시은
    • 산업융합연구
    • /
    • 제18권3호
    • /
    • pp.7-17
    • /
    • 2020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성별에 따른 피부 관련 생활 습관 및 피부건강행동에 대한 차이를 알아보았다. 설문은 일반적 사항, 피부 관련 생활습관, 화장품 사용 실태 및 피부 관리 습관에 대한 4가지 항목에 대해 조사하였다. 연구결과로 피부 관련 생활습관에서는 흡연(χ2=19.58, p=0.000) 및 운동(χ2=17.59, p=0.001) 습관에서는 성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화장품 사용 실태의 모든 항목에 있어서는 대학생의 성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자외선차단제를 제외한 기능성화장품, 에센스, 영양크림, 아이크림, 마스크팩 및 딥클렌징 항목에서 남·여 대학생 모두 '사용하지 않음' 및 '주 1회 미만 사용' 항목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반면 자외선차단제 사용에 있어서는 성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χ2=31.20, p=0.000). 본 연구 결과, 조사 항목에 따라 차이가 있긴 하였으나, 전반적으로 여자 대학생이 남자 대학생에 비해 피부 관리가 잘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