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rine organisms

검색결과 640건 처리시간 0.037초

Rotife 배양조에 혼재된 Artemia가 Rotifer 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o-existing Artemia sp. on the Rotifer Brachionus rotundigformis Population Growth)

  • 정민민;노섬;김필연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99-103
    • /
    • 1998
  • rotifer의 배양조에 혼재된 Artemia가 rotifer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실험에는 Koshiki주의 rotifer, Brachionus rotundiformis와 미국 샌프란시스코의 Great Salt lake주의 Artemia sp.를 사용했다. 그리고 모든 실험은 염분을 22ppt, 배양 온도는 $25^{\circ}C.$, 먹이로서 N. oculata을 2일 간격으로 ml 당 $7{\times}10^5$ 세포씩 공급하면서, 50 ml의 비이커에 N. oculata 현탁액을 40ml씩 넣고, rotifer 20마리 그리고 Artemia는 3마리씩 각 수조에 수용하여 각 생물들을 단일종 배양한 경우와 혼합 배양한 경우의 증식을 비교하였다. rotifer와 Artemia 유생을 혼합 배양한 경우, 두 생물은 한정된 먹이 N. oculata 조건하에서 먹이 경쟁(food competition)을 하였다. 또한, rotifer의 대량 배양조에 Artemia 성체의 급속한 섭식 활동에 의해서 심각한 먹이 부족 현상을 일으켰다. 결국, Artemia 성체는 rotifer의 안정적인 생산을 크게 방해하는 rotifer 증식 억제 요인으로서 작용했다. 즉, rotifer을 안정적으로 생산하기 위해서는 종묘 생산 과정에서 유발될 수 있는 Artemia의 혼재가 일어나지 않도록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 PDF

장기 고온 스트레스에 대한 미꾸라지(Misgurnus mizolepis) 간 조직 내 유전자 발현 반응의 cDNA microarray 분석 (Survey of Genes Responsive to Long-Term Heat Stress Using a cDNA Microarray Analysis in Mud Loach (Misgurnus mizolepis) Liver)

  • 조영선;이상윤;노충환;남윤권;김동수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65-77
    • /
    • 2006
  • 우리나라 주요 담수 어종인 미꾸라지(Misgurnus mizolepis)를 실험 모델로 이용하여 실험적으로 설정한 고온 노출($32^{\circ}C$)에 특이적으로 반응하는 유전자들을 cDNA microarray 분석을 통해 탐색하였다. 미꾸라지 간조직 expressed sequence tag (EST) 데이터베이스 분석을 통해 1,124개의 unigene들을 선발하여 제작한 cDNA microarray을 이용하여 $23^{\circ}C$$32^{\circ}C$에 4주간 노출된 실험어의 간(liver)조직의 전사 발현 양상을 3반복 분석하였다. 다양한 유전자군이 $32^{\circ}C$ 고온 노출에 전사 발현의 증감 또는 감소 양상을 보였으며 $23^{\circ}C$에 비해 $32^{\circ}C$군에서 2배 이상의 발현 증가를 보인 클론들은 총 93종류로서 에너지 대사, 단백질 대사, 면역/항산화 기능, 세포골격 및 구조, 물질수송 및 세포 신호전달등에 관여하는 단백질들을 암호화하는 유전자들이었고 최대 15배 이상의 전사발현이 관찰되었다. 반면 고온 노출군에서 유의적인 발현 감소(50% 이하)를 보인 유전자들(n=85) 역시 탐색되어 상기 단백질 분류군외에 vitellogenin 전구체들 및 리보좀 단백질류에서 특이적인 전사활성의 저하가 관찰되었고, vitellogenin 유전자에서 가장 많은 mRNA 수준의 감소가 관찰되었다.

미꾸라지(Misgurnus mizolepis)의 웅성발생성 처녀생식: I. 형질전환 유전자 표지를 이용한 웅성발생성 반수체 유도의 최적화 (Intraspecies Androgenesis in Mud Loach (Misgurnus mizolepis): I. Optimization of the Egg Inactivation and Haploid Androgenesis Using Transgene Marker)

  • 남윤권;노충환;김동수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66-172
    • /
    • 2006
  • 동일 종내 미꾸라지(Misgurnus mizolepis) 웅성발생성 인공처녀생식(intraspecific androgenesis)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미꾸라지 난 유전물질의 불활성화와 이에 따른 웅성발생성 반수체 유도 조건을 최적화하였다. 다양한 자외선(UV)농도$(0\sim25,650ergs/mm^2)$를 이용하여 미꾸라지 난의 유전학적 불활성화를 시도하였으며 수정률, 부화율 및 반수체 출현율을 평가한 결과 10,800 ergs의 농도에서 가장 우수한 반수체 유도 효율을 보였으며 최초 처리 난 중 50%이상의 웅성발생성 반수체 수율을 확보할 수 있었다. 웅성발생성 개체는 전형적인 haploid syndrome의 특징을 나타내었고 flow cytometry분석 결과 정확히 미꾸라지 반수체(1.4 pg/cell)의 DNA함량을 보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위적으로 삽입된 형질전환 유전자 표지를 이용하여 부계 특이적인 인공처녀생식 여부를 확인하였으나 일부 반수체자어들에서$(8\sim11%)$ 모계 유전물질의 잔류가 검출되었다.

지구환경변화와 남극 (Global Environmental Changes and the Antarctic)

  • 이방용;정호성;강성호;장순근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16-233
    • /
    • 2003
  • 이 연구는 남극에서 일어나는 지구온난현상, 오존층 파괴, 엘니뇨-남방진동 같은 지구의 환경변화와 관련이 있는 현상들을 정리한 것이다. 빙벽이 후퇴하고 빙붕이 갈라지는 현상은 지구환경변화, 그 가운데서도 최근 들어 심해진 지구온난현상을 반영한다. 또 서남극 남극반도에서 떨어진 남쉐틀랜드군도 킹조지 섬의 마리안 소만의 빙벽이 1956년부터 38년 동안에 후퇴한 것보다 최근 1994년부터 7년 동안에 더 많이 후퇴했다. 또한 세종기지에서 엘니뇨-남방진동과 관련된 기온과 강수량의 변화가 나타났다. 나아가 인공위성 자료 분석 결과, 세종기지가 있는 지역에서도 성층권의 오존층 파괴가 심한 남극 9월과 10월에 평균 오존전량이 감소하고 지상에 도달하는 자외선이 증가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남극 오존층 파괴로 인한 자외선의 증가는 해양생물의 성장 환경을 변화시킨다. 또 남극생물의 생산력, 생물량, 종 조성의 변화를 일으키며, 자외선은 일차생산자인 식물플랑크톤 세포의 생리, 유전, 생태변화를 일으켜 남극 해양생태계 전체를 변화시킨다. 현재부터 42만 년 전까지 네 번의 빙하계(氷河階)를 밝힌 보스토크호수의 얼음연구 결과를 훑어보았다. 우리나라는 남극대륙을 덮는 빙원의 굴착과 해석, 빙원 아래에 있는 지역의 지질연구 같은 남극본연의 연구를 하기위하여 남극대륙을 연구해야겠다. 고층대기과학을 포함한 대기과학도 당연히 연구해야 한다.

Red to Red - the Marine Bacterium Hahella chejuensis and its Product Prodigiosin for Mitigation of Harmful Algal Blooms

  • Kim, Doc-Kyu;Kim, Ji-Hyun F.;Yim, Joung-Han;Kwon, Soon-Kyeong;Lee, Choong-Hwan;Lee, Hong-Kum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8권10호
    • /
    • pp.1621-1629
    • /
    • 2008
  • Harmful algal blooms (HABs), commonly called red tides, are caused by some toxic phytoplanktons, and have made massive economic losses as well as marine environmental disturbances. As an effective and environment-friendly strategy to control HAB outbreaks, biological methods using marine bacteria capable of killing the harmful algae or algicidal extracellular compounds from them have been given attention. A new member of the $\gamma$-Proteobacteria, Hahella chejuensis KCTC 2396, was originally isolated from the Korean seashore for its ability to secrete industrially useful polysaccharides, and was characterized to produce a red pigment. This pigment later was identified as an alkaloid compound, prodigiosin. During the past several decades, prodigiosin has been extensively studied for its medical potential as immunosuppressants and antitumor agents, owing to its antibiotic and cytotoxic activities. The lytic activity of this marvelous molecule against Cochlodinium polykrikoides cells at very low concentrations ($\sim$l ppb) was serendipitously detected, making H. chejuensis a strong candidate among the biological agents for HAB control. This review provides a brief overview of algicidal marine bacteria and their products, and describes in detail the algicidal characteristics, biosynthetic process, and genetic regulation of prodigiosin as a model among the compounds active against red-tide organisms from the biochemical and genetic viewpoints.

경남 통영의 소규모 잘피밭 어류군집에 관한 연구 (Species Composition of Fish Assemblage in a Small Scale Eelgrass Bed of Tongyeong, Korea)

  • 김준섭;곽우석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191-200
    • /
    • 2012
  • 경남 통영 풍화 잘피밭에서 2010년 11월부터 2011년 10월까지 예인망(surf net)으로 채집하여 어류의 종조성 특성을 조사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총 30종, 5,511개체, 6,933.4 g의 어류가 채집되었다. 우점종은 베도라치(Pholis nebulosa), 실고기(Syngnathus schlegeli), 그물코쥐치(Rudarius ercodes), 가시망둑(Pseudoblennius cottoides), 볼락(Sebastes inermis), 실비늘치(Aulichthys japonicus)로 총 출현 개체수의 93.4%를 차지하였다. 출현한 대부분의 어류는 크기가 작거나 대형 어종의 유어들로 이루어져 있었다. 잘피의 밀도는 2011년 4월이 가장 높았으며 2011년 1월이 가장 낮았다. 수온과 잘피의 밀도 및 중량, 주 먹이생물의 양적 변동이 어류 군집의 계절변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풍화 잘피밭이 많은 어종들에게 좋은 성육장의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선박평형수 종별 특이성 위해도 평가 방법에 관한 고찰 (Consideration of Species-specific Risk Assessment Method of Ballast Water)

  • 이승국;강원수;김은찬;신경순;오정환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293-300
    • /
    • 2011
  • IMO를 비롯한 세계 각국은 선박평형수에 의해 외래 해양 유해 생물이 유입되어, 자국의 해양생태계를 교란시키고 인간의 건강 및 환경, 경제적 가치에 심각한 위협을 주고 있음을 주목하고 이를 관리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이에, IMO에서는 선박평형수의 위해도를 평가하여, 유입 생물을 관리하고자 하였고, 환경 매칭 위해도 평가, 생물종생물 지리적 위해도 평가, 종별 특이성 위해도 평가 방법 등 3가지의 위해도 평가 방법을 제시하여 적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이 3가지 방법 중 종별 특이성 위해도 평가 방법에 관하여 고찰하고, 이를 적용하여 시범적으로 작성한 위해도 평가 프로그램에 관해 기술하였다.

해저 퇴적물에 함유된 인의 존재 형태에 대한 연구 (Investigation of Phosphorus Species in Marine Sediment)

  • 김영규
    • 한국광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51-159
    • /
    • 2003
  • 국내 최초로 $ 31^{P}$NMR 및 XRD를 이용하여 월성원자력 발전소 인근의 해저 저질토에 대하여 퇴적물의 광물학적인 성분 분석 및 인의 존재형태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약 30 cm의 코아에 대한 연구결과, 광물종은 심도별로 변화가 없었으며 주 구성광물은 석영, 알바이트, 미사장석, 방해석과일라이트, 스멕타이트, 녹니석, 그리고 카올리나이트 등이 동정되었다. $^{31}$ P NMR 결과는 다른 외국의 해양 퇴적물에서 보고된 것과 같은 다양한 종의 인은 발견되지 않았으며, 단지 주로 orthophosphate-monoester와 함께 orthophosphate-diester로 판단되는 인이 아주 미량으로 같이 존재하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광물종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심도별 인의 종의 변화가 거의 없음을 보여준다. 본 연구 지역의 인은 주로 해양 생물로부터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인의 존재형태는 본 지역의 시료들이 산화환경에 있었음을 지시하며 XRD의 실험결과와 더불어 유추할 수 있듯이 본 시료에 대하여 동일한 퇴적환경과 산화환경이 계속되어 왔거나, 아니면 다양한 환경에 있던 것들이 후의 외부적 교란에 의하여 서로 혼합되어 표면의 산화환경에 계속적인 노출이 있었음을 지시한다.

Observed Pattern of Diel Variation in Specific Gravity of Pacific Mackerel Eggs and Larvae

  • Lee, Hwa Hyun;Kang, Sukyung;Jung, Kyung-Mi;Jung, Sukgeun;Sohn, Dongwha;Kim, Suam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39권4호
    • /
    • pp.257-267
    • /
    • 2017
  • Although Pacific mackerel (Scomber japonicus) is an important commercial species in Korea, its recruitment mechanism remains largely unknown. Diel vertical positioning of larvae in the water column, which is affected by their specific gravity and the surrounding water density, may help to provide an understanding on recruitment success through predator avoidance and prey availability. The specific gravity measurement on Pacific mackerel eggs and larvae would seem to be essential information necessary to learn about the transport process from spawning to nursery grounds, and consequently the recruitment success. Eggs were artificially fertilized, and larvae were fed with rotifer when their mouths opened 3-4 days after hatching. We conducted the experiment using a density gradient water column to measure the ontogenetic changes in specific gravity from fertilization to 10 days after hatching. Egg specific gravity was stable during most of the embryonic period, but a sudden increase to $1.0249g\;cm^{-3}$ happened just before hatching. However, the specific gravity of newly hatched larvae was much lighter ($1.0195g\;cm^{-3}$), and specific gravity tended to increase continuously after hatching. Comparison of specific gravity with seawater density reveals that eggs and newly hatched larvae can float in the surface layer of the ocean. For the later period of the experiment, the specific gravity showed a cyclic diel pattern: the highest in the evening while the lowest at dawn. The fullness of larval stomach may be responsible for the observed differences in specific gravity, because stomach fullness was lower (40-60%) at midnight, and higher (80-85%) in evening. The diel pattern of specific gravity might provide clues regarding how larvae match the diel vertical migration of prey organisms.

Seasonal Variations in Biochemical Components of the Visceral Mass and Adductor Muscle in the Pen Shell, Atrina pectinata

  • Baik Sung-Hyun;Kim Kang-Jeon;Chung Ee-Yung;Choo Jong-Jae;Park Kwan Ha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4권1호
    • /
    • pp.18-24
    • /
    • 2001
  • Seasonal content changes of the three key nutrients for organisms, protein, lipid and glycogen, were analyzed for a whole year to delineate the seasonal energy strategy in pen shells, Atrina pectinata. Two metabolically important organs, the visceral mass and the posterior adductor muscle, were examined. Protein in the visceral mass rose in April and stayed at the level until June followed by the constant minimum value between August and November. The protein contents in the posterior adductor muscle increased sharply in April and again in July, followed by a gradual decline thereafter. Total lipid contents in the visceral mass gradually increased between January and May, and then slowly decreased until September since which a new weak increase was noticed. Lipid levels in the adductor muscle rapidly dropped in June and July. Glycogen contents in the visceral mass rapidly increased between February and June, followed by a drastic drop in July. This reduced visceral glycogen level was maintained up to September, and a gradual reduction ensued. Glycogen contents in the adductor muscle steadily but markedly increased from April reaching the maximum in August, and then slowly declined thereaft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an accelerated protein and lipid synthesis occurs in the gonad when the pen shell undergoes the ripe stage of gametogenesis, but the levels of these two nutrients decrease on spawning. With this gonadal process, regular protein synthesis and lipid storage in the posterior adductor muscle are temporarily arrested. The most important nutrient reserves that support gonad developmental cycles in a long term seem to be glycogen of the posterior adductor muscl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