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nipulative activities

검색결과 28건 처리시간 0.021초

구체적 조작.실험을 통한 탐구활동이 평면도형의 성질 이해 및 수학적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Inquiring Activities through Manipulative Materials-Experiment on Geometrical Properties Understanding and Communicative Competence)

  • 임근광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701-722
    • /
    • 2010
  • 기하를 학습하기 위해 학생들은 일상생활에서 접하는 대상과 다른 구체적 자료를 사용해서 조사하고, 실험하고, 탐구해 보아야 한다. 구체적 조작활동은 수학적 모델링을 하는 과정에서 수학적 개념이나 절차를 이해하게 하고 이것을 기호로 나타내 주는 것을 도와주고 컴퓨터를 활용한 실험활동은 추상적인 학습내용을 시각화하여 직관적, 탐구적 활동에 초점을 둘 수 있게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구체물과 탐구형소프트웨어를 활용하여 구체적 조작 실험 활동을 할 수 있는 활동지를 개발하여 평면도형의 성질을 탐구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구체적 조작 실험의 수업은 중위 수준과 하위 수준의 학생들에게 평면도형의 성질 이해하는데 효과가 있었으며 상위수준 및 하위수준의 학생들에게 수학적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은 조작 실험 활동을 할 때 활동에 필요한 자료의 특성을 먼저 파악해야 하며 학생들에게 활동을 선택하게 할 때 교사의 치밀한 계획과 관찰이 요구된다. 또한 조작활동 후 수학적 의미를 연결짓기 위한 토론 활동이 요구된다.

  • PDF

초등학교 기하에서 큐브를 활용한 조작 활동에 관한 연구 (A Study of Manipulative Activities Using Cube in Elementary School Geometry)

  • 심상길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4권1호
    • /
    • pp.143-152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responses or phenomena shown by the students in the process of manipulative activities in order to use manipulatives effectively in the elementary school geometry classes. The fualitative study used for this research analyzed phenomena in the process of learning programs offered to students. The five participants of this research were selected from the third graders at C Elementary School in Seoul city. The researcher recorded all the activities of students, watching them thoroughly and extracting significant statements from each description. These statements were formulated by their meanings, and then those meanings were analyzed into classified themes. The results through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previous activities affected later activities positively in the conjoining case, but negatively in the disjoining case and hence it required adventurous thinking. Second, students tried various attempts for solving given problems.

  • PDF

초등수학에서의 Maths 300 교구 프로그램 활용방안

  • 류수진;김성준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25권3호
    • /
    • pp.321-341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manipulative materials in the Australian Maths 300 program by applying it to Korean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 based on parts of 'Probability and Statistics', and 'Symbol and Expression'. In order to this purpose, we select appropriate Maths 300's manipulate materials that could be used to obtain learning objectives within class time for each part, four lessons with the materials were taught at to third, fourth, and fifth grade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 The effect of the teaching was analyzed by videotape and student opin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the following: First, the manipulative tools were almost entirely lacking for the 'Probability and Statistics' section without a 'number of cases' unit. The tools presented in the 'Symbol and Expression' section were helpful in the games that were used for checking preceding learning. Second, the results of using the Math 300 manipulative materials in class showed that the students were eager to be involved in the activities using those materials and to find their own solutions in problem-solving questions that were suited to them; these led to them making their own questions. In response to questioning about the use of the manipulative materials, the students stated that it was easy and fun for them to use the manipulative materials, to solve the problems for themselves, and that they would like to continue practicing the activities in the future. Finally, Studies on the presentation of a variety of manipulative materials including those in this study that can used in problem-solving learning and other learning fields, and the methodology for the use of manipulative materials can be enhanced through further studies.

기하 교구의 활용이 공간 지각 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Using the Geometric Manipulative for the Development of Spatial Sense)

  • 박만구;고상숙;정인철;김은영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3권2호
    • /
    • pp.303-322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기하학습 교구인 조립 교구인 4D Frame 활용 학습이 초등학생들의 공간 지각 능력 신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수학 교수 학습 방법의 개선에 도움을 주기 위한 것이다. 서울시내 5학년 2개 반을 임의로 선정하여 한 학급은 기하 교구를 활용한 수업을 실시하는 실험 집단(31명)으로, 한 학급은 일반 수학 수업을 실시하는 비교 집단(32명)으로 선정하여 한 달간 10차시의 수업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한 실험 설계는 준 실험 설계(Qusai-Experimental-Design) 중 이질 통제 집단 전후 검사 설계(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를 적용하였다. 실시한 검사 도구는 공간 감각 검사로 사전 사후 모두 동형 검사지를 사용하였다. 또한 수업 관찰 분석과 학생들의 학습지에 대한 반응을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 첫째, 기하 교구의 활용 학습은 공간 지각 능력 신장에 있어서 효과적이었다. 둘째, 기하 교구의 활용 학습은 공간 감각에 있어서 지각의 일관성과 공간 관계의 지각력 신장에 있어서 효과적이었다. 그리고 후속 연구로 동일 교구의 보다 광범위한 적용 및 다양한 교구의 개발을 제언하였다.

  • PDF

구체적 조작활동기반 컴퓨터과학 프로그램이 학업성취도 및 학습태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Computer Science Program based on Specific Manipulative Activities in Achievement and Attitude of Learning)

  • 박정호;배영권;이태욱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0권5호
    • /
    • pp.33-42
    • /
    • 2007
  • 본 연구의 목적은 차세대 IT꿈나무 인재육성을 위한 컴퓨터과학교육 교수 학습 프로그램 개발하고 적용하는데 있다. 개발된 컴퓨터과학 프로그램이 학업성취도와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충청북도 소재 K초등학교에 프로그램을 8주간 투입하였으며 실험에 참여한 학생은 74명이었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업성취도 부문에서 구체적 조작활동 중심의 실험집단과 전통적인 학습방법을 택한 비교집단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진 않았다. 하지만 유의미하지 않더라도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약간 더 학업성취도에 높은 점수를 나타낸 것은 구체적 조작활동 중심의 교수 학습이 컴퓨터과학의 학습내용 이해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음을 시사한다. 둘째, 학습태도 부문에선 구체적 조작활동 중심의 수업을 받은 학생들이 컴퓨터과학에 긍정적인 태도를 갖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 PDF

교구를 활용한 학습활동이 각과 각도의 개념이해에 미치는 영향

  • 백종림;최재호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26권2호
    • /
    • pp.115-140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develop manipulative materials to teach the angle concepts and construct a teaching-learning program by using that. Furthermore, this study analyzed how does the program affect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angle concepts. To check the effects of learning activities with manipulative materials on the understanding of an angle concepts, applied observation during class and write a mathematics journal writing, a description of students impressions at the end of the class and analyzed before and after test paper. We find that students approached the subject more friendly and knew well about the mathematical concepts by using materials. Furthermore, this activity helped that way to solve add and subtract of the angle, estimate ability, round angle concept, positive response in mathematics learning.

유치원 아동의 수학활동에 관한 분석연구 - 수학영역을 중심으로 - (Analysis of Kindergarteners' Behaviors In the Mathematics Corner)

  • 홍혜경
    • 아동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33-51
    • /
    • 199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ctivities of kindergarteners in the mathematics corner. The study included an analysis of children's interactions with mathematics materials and of children's peer interactions during mathematics activities. The subjects were 47 children aged three to four and 72 children aged four to five from four classes of two kindergartens in Kwangju. Children's math activities during free play sessions were observed and audiotaped. The data were coded by the categories of children's peer interactions and types of mathematics manipulations. The characteristics of children's peer interactions and materials frequently selected by the subjects were identifi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1) most of the math materials were for passive manipulation that require children to respond according to predetermined conditions like the rules of games, but (2) the materials that children liked to play with were active manipulative materials that require diversity and flexibility of children's thinking and allow several choices for solutions, and (3) children's peer interactions during math activities were categorized into unilateral and reciprocal/collaborative peer interaction type.

  • PDF

통계 내용에 관한 초등학교 수학과 교과용 도서 분석 : 정보 처리 능력을 중심으로 (An Analysis of Statistics Strand in Elementary Mathematics Instructional Resources: Focused on the Information-Processing Capacity)

  • 방정숙;유은서;김유경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499-519
    • /
    • 2016
  • 본 연구는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강조하는 수학 교과 역량 중 하나인 정보 처리 능력의 하위요소별로, 현행 2009 개정교육과정에 따른 수학교과서와 익힘책의 통계 내용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자료와 정보 정리 및 분석'에 해당하는 내용이 '자료와 정보 수집', '정보 해석 및 활용', '공학적 도구 및 교구 활용'에 비해 월등히 많았다. 자료와 정보 수집은 자료 수집의 범위가 좁은 저학년에 많이 제시되어 있었고 자료 수집 방법에 대한 탐구가 부족하였다. 정보 해석 및 활용 또한 자료로부터 해석하기를 토대로 정보 활용이 이루어지지 않은 부분이 있었으며, 공학적 도구 및 교구의 활용은 지도서에 안내하는 정도로 교과서에 거의 제시되지 못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정보 처리 능력을 함양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자료와 가능성 영역 초등 수학교과서 개발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전개도 과제에서 지오픽스와 Cabri 3D를 활용한 학습의 효과 비교 (Comparative study of the effects in using geofix and cabri 3D on folding nets' activities)

  • 서화진;이광호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60권2호
    • /
    • pp.159-172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조작 교구와 탐구형 기하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전개도 학습이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의 공간 감각에 주는 영향을 비교·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 실험집단은 조작 교구인 지오픽스를 한 실험집단은 탐구형 기하 소프트웨어인 Cabri 3D를 활용하여 전개도를 학습하였다. 비교 집단은 교구나 소프트웨어의 사용 없이 학습지만으로 학습을 진행하였다. 사전과 사후에 공간 감각 검사를 실시하여 그 수준을 파악하였고, 시선 추적 검사를 실시하여 전개도 과제를 해결하는 학생들의 전략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조작 교구인 지오픽스를 활용한 전개도 학습이 공간 감각에 가장 효과적이었으며, Cabri 3D 또한 전개도를 학습하기 위한 좋은 도구가 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전개도 학습 이후 학생들의 해결 전략은 가장 효율적인 전략이었던 분석적 전략이 증가하였으며, 이러한 과정에서 시선 추적은 학생들의 전략을 탐색하는 매우 유용한 도구가 됨을 알 수 있었다.

학교 과학수업에서 실험의 목적에 대한 고찰 (Review on the Aims of Laboratory Activities in School Science)

  • 양일호;조현준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4권3호
    • /
    • pp.268-280
    • /
    • 2005
  • Teaching with laboratory activities in school science, which are distinctive characteristic, is placed from other disciplines fur teaming almost 200 hundred years ago. A number of science educators have suggested that there are rich benefits in teaming from using laboratory activities. At these time, however, some educators have begun to seriously question the effectiveness and the role of laboratory activities. There are some causes related to obscure and vague aims of laboratory activities. The purposes of this paper is to review aims of laboratory activities presented in the literatures through historical overview, and to obtain implication for school science. There are various aims of laboratory activities by a number of researchers. Overall synthesizing, there are ffur domains of aims of science teaching through laboratory activities, (a) science knowledge has two sub-domains; scientific content knowledge and procedural knowledge, (b) nature of science, (c) science attitude has two sub-domain; scientific attitude and attitude toward science, and (d) ability of scientific inquiry has two sub-domain; manipulative skills and scientific thinking. But, it is necessary to continue the following study in order to obtain the aims of laboratory activities agreed by expert community, and setting up of lists of aims of laboratory activities for students to achieve hierarchies of school science curriculum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