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lting barley

검색결과 86건 처리시간 0.028초

기후변화에 따른 맥종별 재배실태와 보급종 보급지역에 의한 재배한계지 평가 (Evaluation of Cultivation Limit Area for Different Types of Barley owing to Climate Change based on Cultivation Status and Area of Certified Seed Request)

  • 박현화;이효진;노석원;황보훈;국용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7권2호
    • /
    • pp.95-110
    • /
    • 2022
  • 본 연구는 기후변화에 따른 전국 맥종별(겉보리, 쌀보리 등) 생육 및 수확량, 보급종자 지역 등을 2019년과 2020년에 조사하여 재배한계지를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2019년과 2020년에 쌀보리 및 겉보리 보급 종자는 우리나라 전역에서 보급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맥류 재배시 품종과 보급종자 사용율은 맥종 및 지역별로 다르게 나타났다. 즉 2020년과 2021년에 지역별로 겉보리 보급종자는 0~100% 사용되었다. 2019년과 2020년 전국 쌀보리 평균 파종일은 10월 17일~11월 9일이었고, 겉보리 경우 10월 26일~11월 13일이었고, 맥주보리 10월 19일~11월 5일이었고, 쌀귀리는 10월 3일~11월 1일이었다. 즉 맥류 파종일은 연도 및 지역별 차이를 보였다. 즉 쌀보리의 경우 전남에서는 12월 12일까지도 파종한 농가가 있었다. 전국 맥종별 재배지역의 10a당 수량은 주산지와 재배한계지간에 차이를 보였다. 일부 재배한계지인 강원도 재배지역에서는 수확이 불가능하였다.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의해 1월 최저온도에 의해 -10℃ 이하로 겉보리, -8℃ 이하로 쌀보리, -4℃이하로 맥주귀리와 쌀귀리 맥류 안전지대로 본 경우 한국의 최근 20년(2002-2021) 1월 최저평균 온도에 의하면 이들 온도지역에서 맥류가 재배가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역별로 맥류 보급 종자로 볼 때 우리나라 전역에 맥류 재배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나 실제로 맥류 생육과 수확량에 관한 실태 조사의 경우에서 일부 강원 지역 등에서는 작황불량으로 수확이 불가능한 지역도 있었다. 따라서 기후변화에 따른 맥종별 재배한계지 설정은 재배지의 생육 및 수량 등의 영향평가 등에 의해 재추정 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석탄회(石炭灰) 시용(施用)이 논 맥주보리의 생육(生育)과 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al Fly Ashes on Growth and Yields of Malting Barley in Soils of Paddy-Upland Rotation Culture)

  • 하호성;민기식;조인상;신제성;강위금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51-157
    • /
    • 1998
  • 토양반응이 pH 5.3이고 규산과 붕소함량이 낮은 식양질 논에서 유연탄회와 무연탄회를 각각 0, 50, 100, $150Mg\;ha^{-1}$ 시용하여 맥주보리를 재배한 결과, 토양의 화학성이 개선되면서 수량성이 향상되었다. 석탄회별로는 유연탄회구가 무연탄희구 보다 양호한 성적을 보였다. 특히, 토양화학성의 개선효과가 컸던 성분은 pH와 유효인산, 규산, 붕소, 치환성 칼슘 등이었다. 맥주보리의 생육에서 해빙기까지의 초장과 분얼수는 유연탄회의 경우 $50Mg\;ha^{-1}$구에서 좋았고 무연탄회는 $100Mg\;ha^{-1}$구에서 좋았으나 출수기의 수당 영화수는 석탄회를 증시할 수록 많아졌다. 그 결과, 수량은 유연탄회 시용구에서 $13.8(50Mg\;ha^{-1}){\sim}37.7%(150Mg\;ha^{-1})$, 무연탄회 시용구에서는 1.1($50Mg\;ha^{-1}$구)~20.6%($150mg\;ha^{-1}$) 증수되면서 최고수량이 전자에서 $5.106Mg\;ha^{-1}$ 이었고 후자에서는 $4.473Mg\;ha^{-1}$ 이었다. 곡실중의 단백질 함량은 석탄회종류에 관계없이 $150Mg\;ha^{-1}$ 구에서 가장 높았지만 이 때의 성적은 유연탄회구에서 10.5%, 무연탄회구에서 10.8%로 맥아기준에 적정수준이었다. 그러나, 수확기에 유연탄회 100 Mg 과 $150Mg\;ha^{-1}$ 구의 식물체는 도복율이 무연탄회 시용구 보다 각각 2배가량 높은 49%와 58%에 달하였다.

  • PDF

보리 품종간 혼파 비율에 따른 수량과 사료적 가치 (Effect of Mixed Seeding Types and Ratios of Whole Crop Barley for High Yield and Feed Value)

  • 송태화;박태일;오영진;한옥규;박형호;현종내;권영업;김경훈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0권4호
    • /
    • pp.458-463
    • /
    • 2015
  • 사료용으로 개발된 청보리 품종들은 일반 곡실용 보리품종에 비해 조사료 생산량이 30%이상 증수하고 가축선호성이 우수한 품종이다. 이러한 사료용 전용품종을 이용하여 품종이 가지고 있는 생육특성별 단점을 보완한 품종간 혼파 재배기술의 개발을 통한 군락공간의 최대 활용 및 영양가치 등을 고려한 단위면적당 생산량을 최대화하는데 목적이 있다. 영양보리는 직립초형이고 다수성이며, 유연보리는 삼차망이면서 키가 크고, 다미보리는 무엽이 특성이 있고, 우호보리는 포복형이면서 키가 크고 매끈망을 지니고 있다. 소만보리는 숙기가 빠르고, 분얼이 많은 특성이 있다. 2조보리인 호품보리는 청보리에 비해 등숙이 빠르고 분얼이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각기 다른 특성을 지닌 품종을 이용하여 청보리 최적 혼파 조합을 선발하고자 시험조사한 결과, 영양50+호품50 조합, 유연70+호품30 조합, 다미50+호품50 조합이 가장 좋았고, 이 중 가장 높은 생산성을 보인 조합은 유연70+호품30 조합이었다. 품질특성면에서는 조단백함량이 높고, NDF와 ADF 수치가 낮고, TDN 수치가 높을수록 좋은 품질로 인정받는데 품종간의 조합 중 유연보리와 호품보리, 다미보리와 호품보리 조합이 우수한 성적을 나타냈다.

엿기름의 효소활성과 관련한 보리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Barley Varieties Related to Enzymatic Activity in Malt)

  • 이영택;서세정;장학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1421-1426
    • /
    • 1999
  • 엿기름의 품질 요소인 당화력(DP)은 보리품종에 따라 큰 차이를 나타내 $139{\sim}220^{\circ}L$의 범위에 있었다. 당화력은 ${\alpha}-amylase$ 보다 ${\beta}-amylase$와 높은 상관관계가 있어 엿기름의 ${\beta}-amylase$ 활성이 매우 중요한 인자였으며, 엿기름 첨가에 따른 amylograph 전분기질 점도 감소는 ${\alpha}-amylase$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보리품종들의 품질요소들을 분석하여 엿기름 당화력과의 상관관계를 조사한 결과 엿기름의 당화력은 원맥의 품질인자와 상관관계가 별로 높지 않았으나 중량이 낮은 품종이나 덜 풍만한 품종에서 당화력이 높은 경향을 보여주었다. 보리원맥이 지니고 있는 ${\beta}-amylase$ 활성은 엿기름의 당화력과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엿기름의 당화력을 예측할 수 있는 잠재적인 당화력으로서 엿기름 제조에 매우 유용한 품질인자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Biochemical and Genetic Variation of Hordein Subunits in Korean Barley

  • Lee, Sung-Shin;Kim, Jin-Baek;Kim, Dong-Sub;Nam, Jung-Hyun;Kim, Jae-Chul;Kim, Chung-Kon;Hong, Byung-Hee;Seo, Yong-Weon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100-105
    • /
    • 2001
  • One-dimensional sodium dodecyl sulfate 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1D SDS-PAGE) was used to determine whether it would provide improved resolving power of hordein proteins concomitant with improved identification of Korean barley cultivars and germplams. This system gave rapid and reproducible separations of hordein polypeptides. Total fourteen of clear and easily scorable subunits were identified in Korean barley cultivars and germplasms and their polymorphic constitutions could provide biochemical genetic information in progeny analysis and endosperm quality improvement in barley breeding programs. Each hordein polypeptides residing in B, C, and D hordein pattern designations were scored to prepare a cultivar catalogue of protein patterns. On the basis of this character, 7 hordein polypeptide patterns were constructed from 108 barley cultivars and experimental lines. The molecular weight of hordein subunits in Korean barley cultivars and experimental lines varied in the range of 98 to 48 kDa. In contrast, less polymorphic hordein polypeptides were found in the low protein barley lines including malting barleys than those found in Korean barley cultivars and experimental lines.

  • PDF

녹맥아에서 추출한 Endo-$\beta$-1,3-glucanase의 정제와 효소학적 성질

  • 손봉수;성낙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1986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520.1-520
    • /
    • 1986
  • Endo-$\beta$-1,3-glucanase는 barley glucan, laminarin등에 특이적으로 작용하는 효소로서 Malting process, Brewing process에 중요한 효소이다. 본 연구에서는 산업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국산맥주맥으로 발아한 Green Malt를 Sample로 하여 Endo-$\beta$-1,3-glucanase를 추출하여 (DEAE Sephadex A-50, CM sephadex C- 50 Sephadex G-75)등을 이용하여 정제하여 이들 정제효소의 효소학적 성질등을 검토하였다.

  • PDF

맥주맥 양질, 다수성 신품종 "두산 781" (New Malting Barley Variety "Doo San # 781")

  • 박우형;정창해;정우섭;최창휴;김병무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26-34
    • /
    • 1979
  • 두산농산(주) 사천 사업소에서늘 조숙, 내습, 양질, 다수성을 육종목표로 성성 17호 \times piroline의 교잡으로 후대에서 사천 002를 선발하여 시험한 결과, 양질 다수성인 품종으로 인정되어 1978년 종자 심의회에서 두산 78001로 명명하여 장려품종으로 등록하였는데 그 특성을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 출수기는 골델메론보다는 5일이 빠르고 향맥과는 비슷하며, 성숙기는 향맥과는 대차 없으나 골델메론보다는 3일 조숙이다. 2) 간장은 향맥에 비하여 5cm, 골덴메론에 비하여 7cm 작은 중간종이며 도복은 골델메론보다는 강하고 향맥과는 대동소이하다. 3)$m_2$당 수수는 향맥과 골덴메론보다 훨씬 많은 수수형 품종이었다. 4) 수량은 전작이나 답리작에서 제주를 제외한 전지역에서 증수하는 적응성 품종이었다. 5) 양조용 품질은 향맥 및 골덴메론보다는 월등히 우수하다.

  • PDF

대맥에서 저온 발아 및 출현력의 품종간 차이 (Varietal Differences of Germination and Emergence Capacity under Low Temperature Conditions in Barley)

  • 천종은;이은섭;이상양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52-156
    • /
    • 1984
  • 본시험은 저온 조건에서 우리 나라 보리 주요 품종의 발아력과 출현력의 품종간 차이를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발아세는 온도가 $4^\{\circ}C$에서 $3^{\circ}C$씩 상승할수록 70에서 10~45 정도 증가되었고 $7^{\circ}C$에서 변이가 가장 컸으며, 저온(4$^{\circ}C$)에서 백동, 남해보리, 강보리, 부흥 등의 발아력이 좋았다. 2. 출현률은 온도가 $4^{\circ}C$에서 $7^{\circ}C$로 상승할 때 84%에서 92%로 증가하였으며 출현력(ERI)은 영산보리, 광성, 백동이 불량하였으며 부호보리, 남해보리, 오월보리, 알보리, 사천 6호 등이 양호하였다. 3. 저온에서 발아력과 출현력 및 기타 형질과는 관련성이 없었으나, $4^{\circ}C$$7^{\circ}C$구간에 출현력과 건물중은 서로 상관이 높았다. 4. 따라서 저온 조건에서 보리 종자의 발아력과 출현력은 품종간 변이가 컸으며 발아력으로 출현역을 추정할 수는 없었다. 또한 저온 출현력을 검정하는데 ERI와 건물중을 같이 이용하면 좀더 정확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급동형태(扱胴形態)와 작물(作物)의 수분함량(水分含量)이 맥주보리의 탈곡성능(脱糓性能)에 미치는 영향(影響) (The Effects of the Drum Configuration and the Crop Moisture Content on the Threshing of Malting Barley)

  • 이승규;김성태;민영봉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7권2호
    • /
    • pp.45-56
    • /
    • 1983
  • The purpose of this experiment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the drum structures and crop moisture contents on the performance of newly developed throw-in type axial thersher. Sachun No.2 malting barley with four different crop moisture levels was used as the testing material. Four different types of threshing drum; the cylindrical drum-equipped with teeth or rubber bars and the conical drum-equipped with teeth or rubber bars were tested.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threshing efficiency of cylindrical drum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onical one, and the drum with teeth was more effective in threshing than the one with bars. However, the higher the threshing efficiency over the whole range of moisture levels and drum speeds given, the more the rapid and unexpectable variations in threshing efficiencies 2. The separation efficiency of the conical drum was decreased as drum speed was increased and was not so much influenced as crop moisture content. But in case of the cylindrical drum, the result was shown in opposite way to that of the conical one. The separation efficiency of the drum with teeth was higher than that of the drum with bars and no significant decrease in separating efficiency was found at wet crop condition. 3. Foreign matters other than grain passing through the concave sieve was decreased as crop moisture content was increased, and the purity was increased at middle range of drum speed regardless of drum types. 4. Minimum grain loss was found at 700 rpm to 800 rpm of drum speed for all types of drums. The effect of crop moisture content on total grain loss was varied with drum types. As far as the grain loss is concerned, the conical drum having teeth was not so greatly influenced by various crop moisture contents and drum speeds as compared with the other types of drum. 5. Generally, the crop moisture content has more relevant effect on the germination than the drum speed regardless of drum types. The germination percentage of grain threshed by the conical drum and the bar attached drum were higher than those of cylindrical one and teeth attached one, respectivel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