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le blue collar workers

검색결과 26건 처리시간 0.026초

미국 대도시지역 노동시장의 특성과 취업 노동자의 개인소득 : 백인, 흑인, 동양인과 남미인 (Labor market characteristics of US metropolitan areas and individual earnings attainment : Whites, Blacks, Asians, and Hispanics)

  • 권상철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69-187
    • /
    • 1995
  • 최근까지 소득수준의 결정에 관한 노동시장 연구는 노동자의 속성 또는 직업의 특 성에 관심을 기울이며 진행되어 지리적 관점의 노동시장 운용에 관한 관심이 미비하였다. 본 연구는 지역노동시장을 실질적인 노동시장 개념으로 설정, 노동력 공급 측면의 특성을 강조하는 인적자본론과 수요측면의 특성을 강조하는 노동시장분절론을 지역적으로 특성화되 어 나타나는 지리적 관점으로 포괄하고, 개인의 소득수준을 개인의 속성과 차별화된 대도시 노동시장의 특성으로부터 영향을 받음을 실증적 분석을 통하여 고찰하였다. 분석에 나타난 개인의 소득수준은 개인의 속성에 의해 영향을 받지만 그 영향은 분절된 노동시장의 대도시 지역간 차별화 단면에 따라 변화함을 보여주고 있다. 이 연구는 기존의 두 주요 노동시장 연구 관점의 절충적 이해를 개인의 소득수준 결정을 통하여 실험적으로 시도하고 실질적 노 동시장의 운용으로 지역노동시장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 PDF

제조업 생산직 근로자들의 직무스트레스와 피로와의 융복합적 관련성 (Convergence Relationship between Occupational Stress and Fatigue Symptoms among Blue Collar Workers in Manufacturing Plants)

  • 신은숙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7권1호
    • /
    • pp.57-68
    • /
    • 2016
  • 본 연구는 50명 미만의 소규모 제조업장 근로자들의 직무스트레스와 피로의 융복합적 관련성을 파악하며, 피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유의한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조사대상은 50명 미만의 소규모 제조업장 14개소에 근무하고 있는 남성 근로자 428명으로 하였으며, 자료수집은 2015년 9월 1일부터 15일까지 스스로 작성하는 질문지를 통해 이루어 졌다. 연구결과, 조사대상의 피로수준은 직무스트레스(KOSS)수준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피로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성, BMI, 주관적 건강상태, 흡연상태, 규칙적인 운동여부, 커피음용여부, 외래진료유무, 직장생활의 만족도, 직무스트레스(KOSS)가 유의하게 나타난 변수이며 변수설명력은 34.1%이었다. 이상과 같은 결과는 소규모 제조업 남성 근로자들의 피로수준은 인구 사회학적 특성별, 건강관련 행위특성별, 직무관련 및 직무스트레스와 유의한 융복합적 관련성이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흡연이 근로자의 스트레스 증상수준 및 직업성 위해지표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igarette Smoking on Psychosocial Distress and Occupational Risks)

  • 차봉석;장세진;박종구;고상백;강명근;고상렬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30권3호
    • /
    • pp.540-554
    • /
    • 1997
  • The effects of cigarette smoking on the psychosocial distress, the absenteeism, the occupational injuries, and on the prevalence for the accidents were assessed in 795 male workers who had been employed since March 1994. The results show that the prevalence of current smokers were higher in young men, lower educational level, lower income, single men(unmarried or divorced), alcohol drinkers, and blue collar workers. In the bivariate analyses, the workers with the high job demand and low work control were more likely to smoke, although the relationship was not strong. Those who reported lower satisfaction on his job tended to smoke more. Mean scores of psychosocial well-being index(PWI) were higher in current smokers than nonsmokers. For the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interaction terms between cigarette smoking and job stressors(job demand and work control) were not significant. For smokers, the odds ratios for the occupational injuries, and the accidents were 1.40(95% confidence interval 0.77-2.57) and 1.96 (95% confidence interval 0.75-5.09), respectively. The mean absent day were 4.13 for smokers, 3.65 for nonsmokers, although the difference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t seems that cigarette smoking had not caused any crucial effects on the psychosocial well-being status and the occupational risks. Some considerations for the further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of cigarette smoking on the mental health status and the occupational risks were also discussed.

  • PDF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에 의한 한국인의 사고 유형 및 발생빈도 (Incidence and Types of Unintentional Injuries among Koreans Based on the 2001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 함옥경;이은주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95-101
    • /
    • 200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incidence of unintentional-injury and to identify factors related to the high incidence of unintentional-injury in the community in order to provide useful data for the development of prevention and intervention programs aimed at reducing unintentional-injury incidence. Methods: This study utilized data obtained from cross-sectional national surveys conducted for the 2001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targeting 37,769 individuals aged between 0 and 99 years old, which was performed using a face-to-face interview metho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unintentional-injury experience, types of injury, and attributes of health behavior were included in the study instruments. Results: About 1.3% of the subjects had experienced unintentional injury that required hospitalization at least once during the past year. Age older than 40 years, male gender, lower education, lower income, and blue collar workers were all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associated with increased risk of unintentional-injury. Among the health behavior variables, sleeping less than 6 hours, drunk driving, and binge drinking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unintentional injury, while traffic accidents and falls/slips constituted 80% of all unintentional injuries. Conclusion: Public health efforts to reduce unintentional injuries should target high-risk populations such as males, those with low income and education levels, and binge drinkers.

  • PDF

남성 근로자의 재흡연에 관련된 요인 (Factors Affecting Re-smoking in Male Workers)

  • 양진훈;하희숙;임지선;강윤식;이덕희;천병렬;감신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38권2호
    • /
    • pp.208-214
    • /
    • 2005
  • Objectiv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factors affecting re-smoking in male workers. Methods: A self-administrated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during April 2003 to examine the smoking state of 1,154 employees of a company that launched a smoking cessation campaign in1998. Five hundred and eighty seven persons, who had stopped smoking for at least one week, were selected as the final study subjects. This study collected data on smoking cessation success or failure for 6 months, and looked at the factors having an effect on re-smoking within this period. This study employed the Health Belief Model as its theoretical basis. Results: The re-smoking rate of the 587 study subjects who had stopped smoking for at least one week was 44.8% within the 6 month period. In a simple analysis, the re-smoking rates were higher in workers with a low age, on day and night shifts, blue collar, of a low rank, where this was their second attempt at smoking cessation and for those with a shorter job duration (p<0.05). Of the cues to action variables in the Heath Belief Model, re-smoking was significantly related with the perceived susceptibility factor, economic advantages of smoking cessation among the perceived benefits factor, the degree of cessation trial's barrier of the perceived barriers factor, smoking symptom experience, recognition of the degree of harmfulness of environmental tobacco smoke and the existence of chronic disease due to smoking (p<0.05). In the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for re-smoking, the significant variables were age, perceived susceptibility for disease, economic advantages due to smoking cessation, the perceived barrier for smoking cessation, recognition on the degree of harmfulness of environmental tobacco smoke, the existence of chronic disease due to smoking and the number of attempts at smoking cessation (p<0.05). Conclusion: From the result of this study, for an effective smoking ban policy within the work place, health education that improves the knowledge of the adverse health effects of smoking and the harmfulness of environmental tobacco smoke will be required, as well as counter plans to reduce the barriers for smoking cessation.

대구시민의 의료기관 이용률과 연관요인 (Utilization Rate of Medical Facility and Its Related Factors in Taegu)

  • 김석범;강복수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22권1호
    • /
    • pp.29-44
    • /
    • 1989
  • 도시지역 주민의 의료기관 이용률과 그 관련요인을 조사분석 하기 위하여 1988년 7월 3일부터 7월15일까지 1단계 단순집락 표본추출을 통하여 선정한 대구시 남구 지역의 450가구를 대상으로 면접조사를 실시하여 431가구 1,723명에 대한 자료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대상자 1,000명당 조사기간 2주간의 급성이환율은 101이었고 9세이하군에서 202로 가장 높았고, 지난 1년간 만성이환율은 77이었으며 고연령층, 저소득층 그리고 의료보호 적용군 등에서 유의하게 높았다(p<0.01). 대상자 1,000명당 2주간의 의료기관 이용률은 689이었고, 이중 병의원이용률이 294로 가장 높았고, 약국 보건소 그리고 한의원 및 한약방 순이었다. 성별로는 여자가 785회로 남자 591보다 높았으며, 연령별로는 70세이상 군이 2,022회로 가장 높았다(p<0.01). 그외 특성에서는 의료보호 적용군 2,057(p<0.01), 월30만원미만 소득군 346, 자영업이 907로 가장 높았다. 2주간의 의료기관 이용자 1인당 평균 방문회수는 3.25회이었고, 이중 병의원이 3.26회로 가장 많았으며, 한의원 및 한약방, 약국 그리고 보건소 순이었다. 성별로는 여자가 3.47회로 남자보다 많았다. 그외 50대연령군이 5.02회, 의료보호적용군 6.41회, 월30만원미만 소득군 3.78회, 그리고 생산직이 3.64회로 가장 많았다. 대상자 1,000명당 연간입원율은 27.6이었고, 여자 38.9 남자 16.3으로 여자가 높았고 연령별로는 70세이상군이 133.3으로 가장 높았다. 의료보장상태별로는 의료보험적용군이 비적용군보다 2배이상 높았으며, 의료보호적용군에서는 한건도 없었다. 월 30만원미만 소득군이 20.8로 가장 낮았으며 소득이 증가할수록 입원율이 높아졌다. 직업별로는 무직 및 기타직이 35.9로 가장 높았고, 전문, 관리 및 사무직이 가장 낮았다. 입원의료 이용자 1인당 연평균 입원일수는 총 22.5일이었으며, 성별로는 남자가 28.1일로 여자보다 많았다. 연령별로는 40대가 72.3일로 가장많았다. 직장, 직종 및 지역의료보험적용군이 28.8일, 월 30만원미만 소득군이 44.5일 그리고 무직 및 기타직이 21.9일로 가장 많았다. 대상자 1,000명당 연간 총 입원일수는 560일이었으며, 여자가 661일로 남자보다 많았으며, 연령별로는 70세이상군이 2,800일로 가장많았다. 의료보험 적용군이 비적용군보다 3배이상 많았으며, 직업별로는 무직 및 기타직이 789일로 가장 많았다. 2주간 병의원 이용여부를 종속변수로 한 지수형회귀분석에서 유의한 계수는 9세이하군(+), 70세이상군(+), 급성질병(+), 만성질병(+), 공 교의료보험적용(+), 직장, 직종 및 지역의료보험적용(+) 그리고 전문, 관리 및 사무직(-) 등이었다. 약국이용여부 분석에서는 9세이하군(+), 50-69세군(+), 70세이상군(+), 금성질병(+), 만상질병(+) 그리고 공.교의료보험적용(-) 등이 유의하였다. 2주간의 병의원 외래이용회수에 대한 중회귀분석에서는 급성질병(+), 만성질병(+) 직장, 직종 및 지역의료보험적용(+), 전문, 관리 및 사무직(-) 등이 유의한 변수였으며, 약국이용회수 분석에서는 급성질병(+), 만성질병(+), 공.교의료보험적용(-) 그리고 직장, 직종 및 지역의료보험적용(-)등이 유의하다. 연간 입원의료 이용여부에 대한 지수형 회귀분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수로는 9세이하군(+), 70세이상군(+), 만성질병(+), 공.교의료보험적용(+) 그리고 직장, 직종 및 지역의료보험적용(+) 등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