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gnitude

검색결과 8,086건 처리시간 0.032초

주파수 위상 응답과 크기 응답에 QIM을 이용한 다중 오디오 워터마킹 (Multiple Audio Watermarking using Quantization Index Modulation on Frequency Phase and Magnitude Response)

  • 서예진;조상진;정의필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71-78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주파수 위상 응답과 크기 응답에 QIM을 이용하여 워터마크를 삽입하는 다중 오디오 워터마킹을 제안한다. 워터마크 삽입은 두 단계로 나뉘며 주파수 영역에서 수행된다. 1단계에서는 주파수 위상 응답의 전체 샘플을 대상으로 QIM을 이용하여 워터마크를 삽입하고 2단계에서는 먼저 무음 구간 여부에 따라 워터마크를 삽입할 프레임을 정하고 해당 프레임에서 주파수 크기 응답의 최대값을 기준으로 정규화한 후 고정된 스텝사이즈를 적용하는 방법으로 적응적인 QIM을 구현하여 워터마크를 삽입한다. 워터마크 삽입 단계를 거친 주파수 위상 응답과 크기 응답을 역푸리에 변환을 통해 시간 영역의 신호로 복원한다. 워터마크 검출은 유클리디안 거리(Euclidean distance)를 이용하여 블라인드 검출 방식으로 수행된다. 오디오 워터마크 벤치마킹을 통한 강인성 검증에서 대부분 강인한 특성을 보였으며 특히 푸리에 공격에서 복원율은 95% 이상으로 매우 강인한 결과를 보였다.

Analysis of interaction between intracellular spermine and transient receptor potential canonical 4 channel: multiple candidate sites of negatively charged amino acids for the inward rectification of transient receptor potential canonical 4

  • Kim, Jinsung;Moon, Sang Hui;Kim, Taewook;Ko, Juyeon;Jeon, Young Keul;Shin, Young-Cheul;Jeon, Ju-Hong;So, Insuk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24권1호
    • /
    • pp.101-110
    • /
    • 2020
  • Transient receptor potential canonical 4 (TRPC4) channel is a nonselective calcium-permeable cation channels. In intestinal smooth muscle cells, TRPC4 currents contribute more than 80% to muscarinic cationic current (mIcat). With its inward-rectifying current-voltage relationship and high calcium permeability, TRPC4 channels permit calcium influx once the channel is opened by muscarinic receptor stimulation. Polyamines are known to inhibit nonselective cation channels that mediate the generation of mIcat. Moreover, it is reported that TRPC4 channels are blocked by the intracellular spermine through electrostatic interaction with glutamate residues (E728, E729). Here, we investigat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agnitude of channel inactivation by spermine and the magnitude of channel conductance. We also found additional spermine binding sites in TRPC4. We evaluated channel activity with electrophysiological recordings and revalidated structural significance based on Cryo-EM structure, which was resolved recently. We found that there is no correlation between magnitude of inhibitory action of spermine and magnitude of maximum current of the channel. In intracellular region, TRPC4 attracts spermine at channel periphery by reducing access resistance, and acidic residues contribute to blocking action of intracellular spermine; channel periphery, E649; cytosolic space, D629, D649, and E687.

디지털 장서개발정책 기본요소 연구 (A Research on the Elements of Digital Collection Development Policy)

  • 장덕현;서태설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97-117
    • /
    • 2009
  • 장서개발정책은 도서관 및 정보센터에 있어서의 장서개발의 특징과 범주, 우선순위 등을 규정하는 장서관리 업무의 마스터플랜이다. 도서관은 장서개발정책을 통하여 수집대상 장서의 범위, 수집의 우선순위 및 구입 수준 등에 대한 명확한 원칙을 설정하여야 한다. 이 연구에서는 국가단위 디지털도서관 장서개발정책 수립의 전단계로서 국립디지털도서관의 디지털장서개발정책 기본모형을 연구하여, 국가적 디지털장서개발정책의 필수 요소들을 도출하고 향후 디지털장서개발정책의 일반적 지침을 정립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국내외의 전자자원개발정책 사례들을 조사 분석하여 국가단위 디지털도서관에 적합한 독립형 장서개발정책의 설정을 제안하고, 국가단위 디지털도서관이 수집 대상으로 하는 정보자원의 유형과 범위, 수집의 우선순위를 제시하여, 구입 수준, 라이선스 등에 관한 내용에 대한 원칙과 국가적 디지털 정보자원 개발의 체계적 수행을 위한 필수요소들을 도출하였다.

  • PDF

공용중 보수용접에 의한 용접부의 응력 및 변형의 거동 - 인장력 작용중 균열보수용접에 의해 생기는 응력 및 변형의 거동 - (Behavior of Stress and Deformation Generated by Repair Welding under Loading)

  • 장경호;이상형;전준태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12권3호통권46호
    • /
    • pp.269-279
    • /
    • 2000
  • 차량하중의 증가 및 부식 등에 의해 손상된 강교량 구조물들은 보수 보강이 요구되어진다. 손상부채를 보수 보강하는 방법은 단면결손이 없다는 장점을 가진 용접에 의한 보수방법이 유리하다. 3차원 탄소성해석 결과를 토대로 공용중 보수용접에 의해 생기는 응력과 변형의 거동에 대해 연구하였다. 균열이 있는 부재에 하중만 작용할 경우 과도 응력의 크기는 보수용접균열길이 및 균열깊이가 큰 순으로 크다. $80MPa({\sigma}_y/3)$$140MPa({\sigma}_a)$의 응력 작용시 보수용접에 의해 발생되는 응력의 크기는 무응력 상태에서 보수용접시 발생되는 응력의 크기와 하중재하에 의해 생긴 응력의 크기의 합과 비슷하다. 응력 작용시 보수용접에 의해 발생되는 용접선방향 인장과도응력 성분은 부재폭에 대한 균열 길이비(1/b)가 커지면 커짐을 알 수 있다. 또한, 응력 작용시 보수용접에 의해 발생되는 용접선 직각방향의 면내수축변위의 크기는 보수용접길이가 긴순으로 크다.

  • PDF

고령자 보행 시 탄성저항운동이 지면반력 신호의 주파수 크기와 variability에 미치는 영향 (Elastic Resistance Exercise for the Elderly on the Magnitude of Frequency and Variability of Ground Reaction Force Signals during Walking)

  • 서세미;류지선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49-57
    • /
    • 2008
  • 이 연구는 고령자를 대상으로 탄성저항운동을 수행하였을 경우 운동 전 후로 보행 시 지면반력 신호 크기와 이들의 variability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를 구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여성 고령자 12명을 대상으로 12주간 탄성저항운동을 실시하였으며, 운동 전 후로 보행 시 3방향 지면반력 신호의 주파수 크기와 variability 값을 산출하였다. FFT(fast Fourier transform)를 이용하여 주파수 분석을 하였으며, PSD(power spectral density)를 계산하였다. 총 대상자들의 변이 계수(SD/Mean*100)을 이용하여 집단 간 variability를 계산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지면반력 신호의 주파수 크기는 좌우 방향에서 운동 전보다 운동 후에 작은 값을 보였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p<.05)가 나타났다. 지면반력 신호의 variability에서는 좌우 방향에서 운동 전보다 운동 후에 큰 값이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p<.05)가 나타났다.

골프스윙 시 지면반력 크기와 시간 차이가 클럽헤드 속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lubhead Velocity on GRF Magnitude and Time during 7-iron Swing)

  • Woo, Byung Hoon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27-35
    • /
    • 2020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clubhead velocity through regression analysis on the magnitude and time difference of the forward-backward, mediolateral, and vertical ground reaction peak forces generated by force plate during golf swing. Method: 16 subjects (age: 20.5±4.2 yrs, height: 176.0±5.4 cm, weight: 77.8±5.9 kg, handy: 2.4±1.7) who is elite golf player in high school and university,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study method adopted three-dimensional analysis with 8 cameras and ground reaction force measurement with two force plate. The analysis variables were clubhead velocity, and ground reaction analysis variables set four events in each graph based on the peak forces commonly generated in Fx, Fy, and Fz graphs of the ground reaction data during the golf swing. Result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nfluence of ground reaction magnitude difference on clubhead velocity, the influence on clubhead velocity was ym4, zm1, xm4, zm2. The larger ym4, xm4, zm1, the fasterthe clubhead velocity, but the smallerthe zm2, the faster the clubhead velocity. And in time difference, the influence on the clubhead velocity was in the order of xt4, zt1, zt3. The shorter xt4, zt1, zt3 showed faster clubhead velocity. Conclusion: The leftfoot played a leading role in increasing the velocity of the clubhead. Although the result was caused by the interaction of the right foot and the left foot during the swing, the role of the left foot is relatively large.

Micro Fourier Rheometer에 의한 알루미나 그린 테이프의 Complex Modulus 측정 (Complex Modulus of Alumina Green Tapes Measured by Micro Fourier Rheometer)

  • 이정훈;이명현;김창은;김대준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22-129
    • /
    • 1999
  • 알루미나 분말/(알루미나+결합체+가소제)의 비(X)와 결합체/(결합체+가소제)의 비(Y)를 각각 변화시켜 제조한 알루미나 그린 테이프의 complex modulus를 Micro Fourier Rheometer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X와 Y의 증가에 따라 Transfer function(TF) magnitude는 증가하고 Transfer function(TF) phase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이로부터 X비와 Y비의 증가가 테이프의 탄성을 증가시켜는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알루미나 테이프의 TF magnitude는 작아지고 TF phase는 커지는 것으로부터 테이프의 점성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특히 Y비에 따른 complex modulus의 변화는 유리전이온도와 관련이 있으며 변화값은 측정 조성 범위 내에서 X비에 의한 변화값보다 큼을 볼 수 있었다. complex modulus 측정을 통하여 알루미나 테이프의 성형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TF phase 값이 17$^{\circ}$이상이어야 함을 유추할 수 있었다.

  • PDF

表面欠陷 에 發생하는 疲勞크랙擧動 (Behavior of Fatigue Crack Propagation from Surface Flaw)

  • 송삼홍;오환섭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 /
    • 제9권2호
    • /
    • pp.150-157
    • /
    • 1985
  • 본 연구에서는 자연적인 미소흠함주위에 발생, 전파하는 피로크랙의 거동을 검토하기 위하여, 기존재료가 갖고 있는 흠함이나 비금속개재물을 대신할 수 있다고 생각되는 크기가 다른 비관통 인공미성구멍을 갖는 여러 종류의 시험편을 준비하고, 이 시험편들이 갖는 인공미성구멍주위에 발생전파하는 피로크랙의 거동을, 금속현미경 관찰을 토대로 상세히 고찰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관찰을 기초로 하여 비관통인공미 성구멍의 대성에 따른 피로한계도거동에 대해서도 고찰하였다.

3축 가속도 센서 데이터에 중력 방향 가중치를 사용한 낙상 인식 알고리듬 (Fall Recognition Algorithm Using Gravity-Weighted 3-Axis Accelerometer Data)

  • 김남호;유윤섭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0권6호
    • /
    • pp.254-259
    • /
    • 2013
  • 중력 방향에 대한 가중치를 적용한 3축 가속도 센서 데이터를 낙상 특징 변수로 사용해서 은닉 마르코프 모델(Hidden Markov Model; HMM)에 적용한 새로운 낙상 인식 알고리듬을 제안한다. 기존에 낙상인식에 많이 사용되는 변수인 3축 가속도의 벡터 합(Sum Vector Magnitude, SVM)과 새롭게 정의한 변수인 중력방향가중치를 적용한 3축 가속도의 벡터 합(Gravity-weighted Sum Vector Magnitude, GSVM)를 포함한 다섯 가지 낙상특징변수를 은닉 마르코프 모델에 적용하여 낙상 인식률을 평가하였다. 실험을 통해 얻은 가장 좋은 결과는 중력방향가중치를 적용한 3축 가속도의 벡터 합 변수를 적용한 결과이고 100% 민감도(sensitivity)와 97.96% 특이성(specificity)를 얻었다. 이것은 단순 3축 가속도의 벡터 합 변수에 비해 민감도는 5.2%와 특이성은 4.5% 정도 향상되었다. 단순히 운동량만을 표현하는 3축 가속도의 벡터 합 변수에 비해 중력방향가중치를 적용한 3축 가속도의 벡터 합 변수가 낙상의 움직임에 대한 특징을 잘 표현하기 때문에 높은 인식률을 나타내었다.

지진 기록의 확대(Scaling) 기법과 압력토오 말뚝모형실험에의 적용 (Scaling Technique of Earthquake Record and its Application to Pile Load Test for Model Driven into Pressure Chamber)

  • 최용규
    • 한국지반공학회지:지반
    • /
    • 제12권2호
    • /
    • pp.19-32
    • /
    • 1996
  • 시간영역의 지진 가속도-시간 이력을 주파수 영역의 courier 진폭-주파수 이력으로 변화시키는 Trifunac의 경험적 모델을 기초로 하여 지진 관측소에서 측정된 임의 규모의 실제 지진기록들을 필요한 규모의 지진기록으로 유사화시키는 지진 확대 (scaling) 기법을 제안하였다. 또한, 지진 규모(M) 5.6의 지진기록을 이용하여 지진 규모(M) 8.0의 유사지진을 작성하여 동적 재하 시험 장치에 적용가능하도록 하였다. 지진 확대 (scaling) 기법은 MMI(modified mercalli intensity), 지진기록 부지의 조건,진앙거리,지진 가속도 성분의 방향, 해석의 신뢰도 등을 고려할 수 있으며, 다양한 지진 기록들에 적용가능하였다.유사지진은 수평방향의 성분들만을 고려하여 작성되었다. 압력토조내에 설치된 모형인장말뚝과 개단압출말뚝에 대한 유사지진 진동에 의한 동적 말뚝재하시험이 가능하였다. 정적 말뚝재하시험시 인장말뚝과 압축말뚝의 거동은 매우 상이하였는데, 인장말뚝은 2~3회의 급작스런 미끄러짐 변위를 수반하였다. 또한, 유사 지진 진동중 인장말뚝과 개단압축말뚝의 거동특성은 매우 상이하였으며, 지지력 감소특성도 크게 달랐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