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gnesium dust

검색결과 20건 처리시간 0.026초

버미큘라이트 및 레드머드를 활용한 산화마그네슘 경화체의 공극 특성 (Pore Properties of Magnesium Oxide Matrix using Red Mud and Vermiculite)

  • 임현웅;이원규;이상수;송하영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8년도 추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120-121
    • /
    • 2018
  • Radon is one of the substances that pollute the indoor air and is classified as a first-level carcinogen by the 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IARC) together with asbestos, and it is reported that it can cause lung cancer.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WHO) reports that lung cancer is the second leading cause of lung cancer, and 6-15% of lung cancer patients report lung cancer caused by radon. Radon occurs in cracks in concrete and aged buildings, and is detected in soil, rocks, groundwater, and so on. It is a colorless, odorless and tasteless gas which is adsorbed to dust in the air and enters through human respiratory system. This study used vermiculite (expanded vermiculite), which has excellent ion exchange ability and a large number of pores, and industrial by - product red mud which has heavy metal adsorption ability, in order to adsorb radon. A matrix capable of adsorbing radon was prepar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material were compared and analyzed.

  • PDF

금속성 분진폭발의 영향 분석을 위한 기반구축에 관한 연구 (A Study of Establishment of the Infrastructure for Consequence Analysis of Metallic Dust Explosion)

  • 장창봉;이경진;문명환;백주홍;고재욱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84-91
    • /
    • 2017
  • 다양한 산업분야의 첨단제품들의 기능향상이나 디자인 등을 위해 알루미늄이나 마그네슘과 같은 가연성 금속의 사용량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금속의 가공공정의 증가로 인한 금속분진이 발생할 가능성이 증가되며 이는 금속분진으로 인한 폭발사고의 증가로 이어지고 있다. 금속분진에 의한 폭발의 경우 고체 및 열분해에 의해 발생된 증기의 혼합 상태에서의 연소라는 점에서 실험적인 해석이 가스폭발이나 증기운 연소에 비해 매우 복잡하기 때문에 국내 외적으로 분진폭발에 대한 연구가 현재로서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가연성 금속분진의 폭발에 대한 리스크 분석을 위한 기반구조를 마련하고, 이러한 기반을 토대로 효율적인 분석방법을 제시하기 위해 분진폭발에 대한 폭발이론과 특성에 대하여 정리 및 제시하였으며, 금속성분진 별 폭발특성을 데이터베이스화 하여 분진폭발에 대한 리스크 분석과 연구에 사용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다.

The Effect of chemical and physical properties of Korean tales on the decomposition of Malathion in dust formulations

  • Kang, Duk-Chae;Lee, Sung-Hwan;Cho, Chai-Moo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권
    • /
    • pp.45-52
    • /
    • 1961
  • The decomposition of malathion in dust for mulations prepared from four Korean tales as carriers during storage period has been studied. Amberlite CG-120, a cation exchange resin . which has higher cation exchange capacity than tales, was also used as a carrier in hope of finding out the effect of nagative charge upon the decomposition of malathion. Besides the original talc powders obtained directly from the mines, the hydrogen ion saturated forms were also used as carriers for comparisonal study. The saturated ions for the resin were hydrogen, sodium and magnesium. As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tales, colloid content, water adsorption capacity, PH, specific surface, phosphate fixing capacity and exchangeable canons were determined, and these properties were correlated with the amount of the decomposition.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rom the experiment. 1. The malathion in the talc in dust was found to decompose around 10-15% ofthe total withina month. About 50% of the decom position that took place after a month was found to occur within a week. 2. The resin which has higher cation exchange capacity than the tales was highly effective in the decomposition of malathion compared with the tales. 3. In every case the saturation of the exchange complexes with hydrogen ion greatly accelerated the decomposition of malathion. 4. The most highly correlated physical properties with the decomposition were colloid content and specific surface of the tales. 5. The water adsorption and phosphate fixing capacities of the tales were found not to correlate with the amount of malathion decomposed. From the experimental results it was concluded that the active negative spots on the colloidal tales or the resin attract the electropositive phosphorus atom in a malathion molecule thereby inducing the decomposition easier. The presence of hydrogen ion nearby might cause a catalytic effect in the decomposition of malathion.

  • PDF

탄광부 진폐증자의 폐조직내 금속농도 (Metal Concentrations in Lungs of Coal Workers' Pneumoconiosis Patients)

  • 최호춘;정호근;김해정;전향숙;이관형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89-99
    • /
    • 1991
  • The metal concentrations in lungs from 12 coal workers' pneumoconiosis(CWP) patients and 6 controls, who were not exposed occupationally to coal mine dust and metals during their life time, were analyzed by atomic absorption spectrophotometry. 1. Copper, lead, nickel, magnesium, manganese, zinc and iron concentrations in lungs of CWP patients were $1.10{\pm}0.088$, $1.12{\pm}0.068$, $0.22{\pm}0.020$, $113.7{\pm}1.31$, $0.19{\pm}0.012$, $10.2{\pm}1.54$, $426.7{\pm}2.63{\mu}g/g$ wet weight. 2. Copper, lead, nickel, magnesium, manganese, zinc and iron concentrations in lungs of controls were $1.10{\pm}0.013$, $0.85{\pm}0.007$, $0.10{\pm}0.008$, $87.6{\pm}1.29$, $0.18{\pm}0.005$, $10.6{\pm}1.44$, $164.9{\pm}3.29{\mu}g/g$ wet weight. 3. The ratios of concentrations for copper, lead, nickel, magnesium, manganese, zinc, and iron in lungs for CWP patients and controls were 1 : 1, 1.32 : 1, 2.20 : 1, 1.30 : 1, 1.06 : 1, 0.92 : 1, 2.58 : 1, respectivel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ncentrations of lead, nickel, magnesium, iron by group(p<0.05). 4.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metal concentrations of right upper lobe, right lower lobe, left upper lobe and left lower lobe for both CWP patients and controls (p>0.05, p>0.05). 5. In CWP patients lead was well correlated with nickel showing a rank correlation coefficient of 0.533, and zinc was correlated with copper showing a rank correlation coefficient of 0.476. 6. The concentrations of copper, nickel, maganese, and zinc in Korean CWP patients were lower than those in foreign CWP patients.

  • PDF

Monitoring of Ambient Air Particles and Inorganic Elements in China and Korea during an Asian Dust Storm

  • Park, Eun-Jung;Kim, Dae-Seon;Park, Chung-Hee;Song, Sang-Whan;Lee, Byung-Hoon;Hong, Yun-Chul;Pan, Xiaochuan;Wang, Jin-Gyu;Zhang, Yi-Xiang;Park, Kwang-Sik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360-372
    • /
    • 2010
  • Concentrations of ambient air particles such as total suspended particulates (TSP), particulate matter $(PM)_{10}$, and $PM_{2.5}$, were monitored simultaneously from May to June, 2007, at four locations at Alashan and Beijing in China, and Seoul and Gosan in South Korea. These monitoring sites are in the pathway of Asian dust (AD) storms traveling from China to the Korean peninsula. An AD event was observed in the Korean peninsula on May 25-26. During the sampling period, the average concentrations of TSP and PM10 were each higher than $150\;{\mu}g/m^3$ in Alashan and Beijing, but not in Seoul and Gosan. The concentration of TSP in Alashan (where the dust storm originated) on the day of the AD event reached $1824.7\;{\mu}g/m^3$, this being the highest concentration of air particles observed during the sampling period. The level was decreased to 15% of this ($274.7\;{\mu}g/m^3$) in Seoul and to 8.7% ($159.0\;{\mu}g/m^3$) in Gosan when the AD was observed two days later in Korea. Gosan, a representative background site in East Asia, displayed the lowest concentration of particles, with this maximal TSP concentration of $159\;{\mu}g/m^3$. Inorganic element contents in the air particles were also measured, and the concentrations in the four different regions compared. Concentrations of anthropogenically-enriched heavy metals in $PM_{10}$ and $PM_{2.5}$, such as lead, arsenic, cadmium, and mercury, were higher in the metropolitan cities of Beijing and Seoul compared to non-industrialized regions of Alashan and Gosan. However, the concentrations of inorganic soil elements including iron, magnesium, aluminum sodium, and manganese, were higher in Alashan compared to those in other sampling sites.

토양개량제(土壤改良劑)로의 Cement Kiln Dust 이용(利用)에 관(關)하여 (Utilization of cement kiln dust as soil amendment material)

  • 김태순;송기준;유진걸;한강완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89-96
    • /
    • 1975
  • 본(本) 실험(實驗)은 양회공업(洋灰工業)의 부산물(副産物)로 다량 생산(生産)되고 있는 양회분진(洋灰粉塵) 이화학적(理化學的) 특성(特性)과 수도(水稻)에 대한 토양개량제(土壤改良劑)로서의 효과(効果)를 검토(檢討)키 위해 실시하였다. 채취사용(採取使用)된 양회분진(洋灰粉塵)은 Suspension Preheater에서 별도로 집진한 By Pass (B. P)와 Cottrell 전기진기(電氣塵機)에서 집녹(集鹿)한 Electric Precipitate (E. P)의 두 종류이었다. 강원도(江原道) 철원군(鐵原郡) 동송면(東松面) 장흥리(長興里), 현무암지대(玄武岩地帶)에서 발달된 중점질(重粘質)의 산성토양(酸性土壤)에서 포장시험(圃場試驗)을 실시하였으며, 반당(反當) 양회분진(洋灰紛塵) 시용량(施用量)은 Ep, Bp 각 100kg, 200kg, 300kg과 대조구(對照區)를 포함(包含)한 7개 처리(處理)이었으며, 이 지방(地方) 장려품종인 농백(農白)을 공시(供試)하였다. 그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이 요약(要約)할 수 있었다. 1. 양회분진(洋灰粉塵)은 농업용(農業用) 산성토양개량제(酸性土壤改良劑)로서 그 성분조성(成分組成)이 적합(適合)하다. Bp에 있어서 알카리도(度) 55%, 가용성(可溶性) 석회(石灰)와 고토(苦土) 함량(含量)이 각 41.7%와 9.8% 이고 수용성(水溶性) 규산(珪酸)은 4.5% 가리(加里)는 1%였다. Ep에있어서는 알카리도 53.5%, 가용성(可溶性) 석회(石灰)와 고토(苦土) 함량(含量)이 각 41.7%와 8.3% 이고 수용성(水溶性) 규산(珪酸) 함량(含量)은 1% 였다. 2. 분말도(粉末度)가 대단히 높아 토양중(土壤中)에서의 분응속도(反應速度)가 빠르고 석회물질(石灰物質)로서의 상대적(相對的) 효과(効果)가 높다. Ep는 270mesh를 전량(全量) 통과(通過)하고 Bp는 150mesh 이상이 95% 통과하고 270mesh를 통과하는 것은 68%였다. 3. 수도(水稻)의 대한 증수효과(增收効果)가 있었다. 석회소요량(石灰所要量)에 따른 양회분진(洋灰粉塵) 시용(施用)으로 (100kg/10a) Bp, Ep 각기 21%와 15%의 증수효과(增收効果)를 보았다. 증수원인(增收原因)은 주당수수(株當穗數), 수당입수(穗當粒數)와 천입중(千粒重)의 증가에 의한 것이었다. 4. 적당량(適當量)의 양회분(洋灰粉塵) 시용(施用)은 수도(水稻)의 수확량(收穫量)과 양분흡수량(養分吸收量)을 높였으나 과량(過量)의 시용(施用)은 오히려 이롭지 못했다.

  • PDF

Mg-Al합금의 조성비율에 따른 발화온도특성

  • 한우섭;이근원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13년도 춘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77-77
    • /
    • 2013
  • 최근의 산업활동에서는 신규 원료 개발과 생산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분체 공정이 증가하고 있는데, 미세 분진의 취급으로 분진운의 형성과 착화가 용이해지므로 분진폭발이나 화재 위험성이 증가하고 있다. 분진을 안전하게 사용하고 저장, 취급하기 위해서는 착화 전의 위험성 지표로서 최저발화온도(MIT ; Minimum Ignition Temperature)를 사전에 파악해 두는 것이 중요하다. 분진농도의 발화온도는 장치 내의 발화위험성이나 분진 취급 공정의 사고예방대책 관리를 위한 실용적 관점에서 중요하게 활용되는 폭발특성값이다. 또한 분진의 발화온도는 분진농도에 의존하며 농도변화에 따른 가장 낮은 온도를 MIT라고 한다. 본 연구에서는 화재폭발사고 빈도가 줄지 않고 있는 Mg 및 Mg-Al합금(60:40 wt%, 50:50 wt%, 40:60 wt%)을 대상으로 조성비율에 따른 최저발화온도를 실험적으로 조사하였다. Mg 및 Mg-Al(60:40 wt%), Mg-Al(50:50 wt%), Mg-Al(40:60 wt%) 시료의 평균입경은 142, 160, 151, $152{\mu}m$이다. MIT실험장치는 IEC 61241-2-1(Methods for Determining the Minimum Ignition Temperatures of Dust, 1994)에 준거하여 제작하여 사용하였다. 실험장치는 가열로, 분진운 시료홀더, 온도조절장치, 압축공기 제어장치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인 실험방법은 시험분진를 분진홀더에 장착하고 0.5 bar의 압축공기를 0.3 sec 동안 사용하여 일정 온도로 가열된 로의 내부로 분진운을 부유시킬 때에 분진운이 발화하여 가열로 하단부의 개방구에까지 화염이 전파하는지를 디지털비데오카메라로 기록, 평가하여 발화 유무를 판정하였다. Mg합금에 대한 MIT를 측정한 결과 $740^{\circ}C$가 얻어졌으며, Mg-Al(60:40 wt%)의 MIT는 $820^{\circ}C$로 조사되었다. 그러나 Mg-Al(50:50 wt%) 및 Mg-Al(40:60 wt%)에 대해서는 최대 가열로의 설정온도를 $890^{\circ}C$까지로 하여 농도를 변화시키면서 조사하였으나 발화가 일어나지 않았다. 문헌에 따르면 Mg입자 표면의 산화피막은 다공성으로 일정 온도에서 산화반응이 시간에 따라 직선적으로 증가하는데 반하여, Al의 산화피막은 보호 작용을 하여 일정 온도에서 산화반응속도가 표면과 내부의 농도 기울기에 의한 확산속도에 의존한다고 보고하고 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Mg-Al합금의 발화특성을 고찰해 보면, Mg-Al합금에서 자기 전파성이 작은 Al성분의 증가는 착화지연이 증가하여 연소성이 감소하여 최저발화온도의 증가로 이어지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또한 발화온도는 주어진 조건의 온도장에서 분진이 존재하는 시간 길이에 따라 변화하므로, 발화온도를 실험적으로 측정하는 경우에는 측정장치나 방법에 따라 달라지므로 사업장의 현장에 발화온도를 적용하는 경우에는 장치 내의 분진의 존재시간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 PDF

Control of Algal Blooms in Eutrophic Water Using Porous Dolomite Granules

  • Huh, Jae-Hoon;Choi, Young-Hoon;Lee, Shin Haeng;Cheong, Sun Hee;Ahn, Ji Whan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54권2호
    • /
    • pp.108-113
    • /
    • 2017
  • The use of aluminum-based coagulants in water pretreatment is being carefully considered because aluminum exposure is a risk factor for the onset of Alzheimer's disease. Lightly burned-dolomite kiln dust (LB-DKD) was evaluated as an alternative coagulant because it contains high levels of the healthful minerals calcium and magnesium. An organic pore forming agent (OPFA) was incorporated to prepare porous granules after OPFA removal through a thermal decomposition process. A spray drying method was used to produce uniform and reproducible spherical granules with low density, since fine dolomite particles have irregular agglomeration behavior in the hydration reaction. The use of fine dolomite powder and different porosity granules led to a visible color change in raw algae (RA) containing water, from dark green to transparent colorlessness. Also, dolomite powders and granules exhibited a mean removal efficiency of 48.3% in total nitrogen (T-N), a gradual increase in the removal efficiency of total phosphorus (T-P) as granule porosity increased. We demonstrate that porous dolomite granules can improve the settling time and water quality in summer seasons for the emergent treatment of excessive algal blooms in eutrophic water.

퇴적 마그네슘의 승온속도와 열분해특성

  • 한우섭;이수희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13년도 춘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116-116
    • /
    • 2013
  • 마그네슘은 스마트폰, 전자기기 케이스, 내화벽돌과 아크용접봉 제조시의 첨가물 등으로 사용되고 있는데, 최근에는 재활용을 위한 마그네슘 용해로를 취급하거나 가공하는 사업장이 증가하고 있어 사고위험성이 높아지고 있다. 금속분을 취급하는 사업장에서의 금속분진은 저장이나 축적 등과 같이 주로 퇴적물로서 존재한다. 퇴적분진의 발화온도는 퇴적물 형상과 두께, 입경, 분위기 가스의 유속, 산소농도, 부유분진의 농도, 퇴적밀도, 수분 등의 많은 영향인자가 관여하기 때문에 이론적 예측이 힘들고 실험적인 측정에 의존할 수 밖에 없는 것이 현실이다. 본 연구에서는 연소성이 높고 화재폭발사고사례가 많은 마그네슘(Mg) 분진을 사용하여 승온속도 변화에 따른 열분해특성을 조사하였다. 퇴적분진의 열적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METTLER TOLEDO의 TGA/DSC1를 사용하였으며, Mg 시료의 평균입경은 38, $142{\mu}m$이다. 입경 $38{\mu}m$의 Mg 시료의 열중량분석 결과, 중량증가는 $400{\sim}500^{\circ}C$의 범위에서 시작되며 $550^{\circ}C$에서 급격하게 중량이 증가하고 있으며, 증량증가개시온도(Temperature of weight gain)는 $460^{\circ}C$에서 시작하여 $900{\sim}950^{\circ}C$ 범위에서 중량 증가 포화값에 도달하였다. 입경 $142{\mu}m$의 Mg에 대하여 공기중 승온속도를 5, 10, $20^{\circ}C/min$으로 변화시키면서 실온에서 $900^{\circ}C$까지 가열 시키는 경우의 시료의 중량 변화에 따른 열분해 특성은 승온속도가 증가할수록 2단계의 S자 곡선은 완만하게 상승을 나타내며 중량증가개시온도가 높아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중량증가개시온도가 승온속도에 따라 변화하는 결과를 나타내고는 있지만, 시료량의 증가에 따른 영향을 열중량분석 실험방법의 제약으로 인하여 확인할 수 가 없었다. 그러나 만일 시료량이 크게 증가하는 경우에는 동일한 승온조건에서 중량증가 개시온도는 낮아질 가능성이 있다. 중량증가는 시료의 산화반응에 의한 것이므로 시료량의 증가는 시료 내부에의 열의 축적을 용이하게 하여 보다 낮은 온도에서도 산화반응이 충분히 일어나는 조건이 형성되기 때문이다. 승온속도가 증가할수록 산화 반응한 괴상형태의 연소입자가 크게 증가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승온속도에 따른 중량개시온도 곡선을 보면 [그림 24]와 같으며 승온속도 5, 10, $20^{\circ}C/min$의 증가에 따라 중량개시온도는 각각 490, 510, $530^{\circ}C$가 얻어졌으며 승온속도의 증가에 따라 중량개시온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 PDF

무등산수박과 달고나수박의 관비재배와 양액재배에 있어서 생육 및 과실품질의 비교 (Comparisons of Growth and Fruit Quality of Citrullus lanatus cv. Mudeungsan and Citrullus vulgaris cv. Dalgona Grown in Fertigation and Soilless Culture)

  • 이범선;정순주;박순기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9-29
    • /
    • 1999
  • 무등산수박과 달고나수박을 관비재배 및 양액재배에 대하여 비교 실험한 결과, 엽수는 달고나수박이 많은 반면 엽면적은 무등산수박이 높게 나타났고, 생체중 및 건물중에 있어서도 무등산수박이 달고나수박 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엽수, 엽면적, 줄기당 생체중 및 건물중 등은 양액재배에서 더 양호한 생장을 나타내었다. 재배방식에 관계없이 당도는 달고나 수박이 무등산수박보다 훨씬 더 높은 반면 과실무게는 무등산수박이 더 높게 나타났다. 수박의 엽병내 질소함량은 정식후 15일에는 11.4∼13.4mg/gFW, 과실비대기에는 17.1∼20.6mg/gFW, 정도로 상승하였다. 인산은 생육초기 3.7∼5.7mg/gFW 정도에서 수확기에 이르면 0.6∼l.1mg/gFW 정도로 감소하였다. 칼리는 생육초기에 5.8∼6.6mg/gFW 정도였으나 수분기부터는 4.0∼4.8mg/gFW 범위로 흡수되었다. 칼슘의 흡수는 생육초기에는 양액재배 수박이 3.4∼4.1mg/gFW 범위로 관비재배 수박의 2.5∼3.5mg/gFW 범위보다 약간 많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생육이 진전됨에 따라 관비재배 수박의 흡수량이 양액재배 수박의 흡수량보다 많아지는 경향이었다. 마그네슘의 흡수는 생육초기에 관비재배에서 훨씬 더 용이하게 흡수되는 경향이었으나 수분기 부터는 0.9∼l.3mg/gFW 범위로 일정하였다. 본 실험결과 무등산수박의 양액재배를 통한 품질향상 및 주년재배의 가능성이 인정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