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chine data

검색결과 6,410건 처리시간 0.042초

가우시안 혼합모델을 이용한 공항 접근 패턴 추출 및 패턴 별 과이탈 확률 분석 (Extracting Patterns of Airport Approach Using Gaussian Mixture Models and Analyzing the Overshoot Probabilities)

  • 류재영;한성민;이학태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27권6호
    • /
    • pp.888-896
    • /
    • 2023
  • 항공기 착륙 시에는 정해진 절차에 따라 접근이 이루어진 다음, 활주로 중심선과 정렬하여 착륙하게 된다. 하지만 공항의 상황, 주변 항공기의 상황, 또는 관제사의 지시 등에 따라 빈번한 레이더 벡터링이 일어나기 때문에, 교통 흐름을 파악하거나, 비행 안전성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항공기의 접근 패턴을 인지할 필요가 있다. 또한 최종 접근 시 활주로 중심선과 정렬하는 과정에서 과이탈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는 데, 이는 이후 불안정 접근 등과 같이 보다 위험한 상황을 초래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클러스터링 기법을 이용하여 접근 구간에서의 항공기 궤적들의 패턴을 추출하였다. GMM (Gaussian Mixture Model)을 이용하여 김해공항 접근 항공기 궤적에 대한 클러스터링을 진행하였으며, 2019년 1년간 김해공항으로 착륙한 항공기의 데이터를 이용하였다. 클러스터 별 centroid 값을 이용하여, 총 86개의 접근 궤적 패턴을 추출하였다. 그 후 각 클러스터 내 항공기 중 최종 접근시 과이탈하는 항공기를 탐지하여 확률 분포를 계산하였다.

Addressing Inter-floor Noise Issues in Apartment Buildings using On-Sensor AI Embedded with TinyML on Ultra-Low-Power Systems

  • Jae-Won Kwak;In-Yeop Choi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9권3호
    • /
    • pp.75-81
    • /
    • 2024
  • 본 논문은 딥러닝 모델이 포함된 TinyML(Tiny Machine Learning)를 초저전력 시스템에 탑재하여, 층간소음 문제를 실시간으로 처리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이 방법이 가능한 이유는 딥러닝 모델 경량화 기술로 인해 컴퓨팅 리소스가 작은 시스템도 자체적으로 추론을 수행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기존에 층간소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시됐던 방법은 센서에서 수집한 데이터를 서버로 보내어 데이터를 분석한 후에 처리하는 방법 이었다. 하지만 이러한 중앙 처리 방법은 구축 비용이 비싸고 복잡하며, 실시간 처리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러한 한계점을 본 논문에서는 TinyML을 사용한 On-Sensor AI(Artificial Intelligent) 로 해결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방법은 시스템 설치가 간단하고 저비용 이면서 문제를 실시간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잠재적인 무릎넙다리 통증 증후군 환자에게 미세전류를 이용한 IASTM과 플로싱 밴드 적용이 하지 근막의 두께 변화에 미치는 즉각적 효과 (Immediate Effect of the Application of IASTM Using Microcurrent and a Flossing Band and on Changes in the Thickness of the Lower Extremity Fascia in Patients with Intrinsic Patellofemoral Pain Syndrome)

  • 김세훈;유성훈;김태원;김성환;박세진
    • 대한정형도수물리치료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85-93
    • /
    • 2024
  • Background: This study examined the Immediate effects of IASTM using microcurrent and the flossing band on the lower extremity fascia thickness in subjects with Intrinsic patellofemoral pain syndrome. Methods: Sixty-six subjects with patellofemoral pain syndrome were randomized into three groups (22 each in the microcurrent IASTM (instrument assisted soft-tissue mobilization) group, and flossing band group, and combined microcurrent IASTM and flossing band group) to evaluate the immediate effects of the lower extremity fascia thickness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The thickness of the lower extremity fascia was measured using an ultrasound machine. Using SPSS Window. 22.0, a Shapiro Wilk was conducted to test the normality of all variables; within-group comparisons were made with a paired-samples t-test, and between-group interventions were subjected to a one-way analysis of variance. Results: Changes in the thickness of the fascia in the thigh area were observed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in all three groups. There was a significant decrease, and in the combined group, there was a significant decrease in fascia thickness compared to when the IASTM group and the flossing band group were applied separately (p<.05). Conclusion: Through this study, the effect on fascia thickness was confirmed when IASTM and flossing band intervention were combined, and it is believed that it can be used as basic clinical data for patients with knee-thigh pain syndrome.

  • PDF

Effect of three common hot beverages on the force decay of orthodontic elastomeric chain within a 28-day period: An in vitro study

  • Maziar Nobahari;Fatemeh Safari;Allahyar Geramy;Tabassom Hooshmand;Mohammad Javad Kharazifard;Sepideh Arab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54권3호
    • /
    • pp.153-159
    • /
    • 2024
  •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assess the effects of commonly consumed hot drinks on the force decay of orthodontic elastomeric chains. Methods: This in vitro experimental study evaluated 375 pieces of elastomeric chains with six rings placed on a jig. Four rings were stretched by 23.5 mm corresponding to the approximate distance between the canine and the second premolar. Fifteen pieces served as reference samples at time zero, and 360 pieces were randomized into four groups: control, hot water, hot tea, and hot coffee. Each group was further divided into six subgroups (n = 15) according to the different exposure periods. The specimens in the experimental groups were exposed to the respective solutions at 65.5℃ four times per day for 90 seconds at 5-second intervals. The control group was exposed to artificial saliva at 37℃. The force decay of the samples was measured at 1, 2, 7, 14, 21, and 28 days using a universal testing machine. Data were analyzed using repeated-measures analysis of variance. Results: Maximum force decay occurred on day 1 in all groups. The minimum force was recorded in the control group, followed by the tea, coffee, and hot water groups on day 1. At the other time points, the minimum force was observed in the tea group, followed by the control, coffee, and hot water groups. Conclusions: Patients can consume hot drinks without concern about any adverse effect on force decay of the orthodontic elastomeric chains.

딥러닝 기반 서울시 행정동별 외식업종 상권 변화 예측 (Predicting Changes in Restaurant Business District by Administrative Districts in Seoul using Deep Learning)

  • 김지연;오수민;박민서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2호
    • /
    • pp.459-463
    • /
    • 2024
  • 자영업자의 빈번한 폐업은 국가적인 경제 손실을 동반한다. 특히 외식업종이 가장 높은 폐업률을 보이기 때문에 외식업종의 상권 변화를 예측하여 업체의 생존에 도움을 주는 것이 필요하다. 외식업종의 생존율과 폐업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는 활발하나, 상권의 변화 정도를 예측하는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상권 변화에 초점을 맞추는 연구를 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서울시 행정동별 상권 변화를 예측하는 딥러닝(Deep Learning) 모델을 설계한다. 첫째, 2023년과 2022년 2분기의 상권 변화와 관련된 변수를 수집한다. 둘째, 1년간의 등락 정도를 백분율로 환산한 후, 증강 단계를 거친다. 셋째, 딥러닝 모델을 활용하여 상권 변화를 예측하는 모델을 제안한다. 향후 본 연구를 고려한 외식업종 지원정책은 상권의 질적 성장 및 경제 성장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Automated Segmentation of Left Ventricular Myocardium on Cardiac Computed Tomography Using Deep Learning

  • Hyun Jung Koo;June-Goo Lee;Ji Yeon Ko;Gaeun Lee;Joon-Won Kang;Young-Hak Kim;Dong Hyun Yang
    • Korean Journal of Radiology
    • /
    • 제21권6호
    • /
    • pp.660-669
    • /
    • 2020
  • Objective: To evaluate the accuracy of a deep learning-based automated segmentation of the left ventricle (LV) myocardium using cardiac CT. Materials and Methods: To develop a fully automated algorithm, 100 subject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were randomly selected as a development set (50 training / 20 validation / 30 internal test). An experienced cardiac radiologist generated the manual segmentation of the development set. The trained model was evaluated using 1000 validation set generated by an experienced technician. Visual assessment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manual and automatic segmentations. In a quantitative analysis, sensitivity and specificity were calculat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pixels where two three-dimensional masks of the manual and deep learning segmentations overlapped. Similarity indices, such as the Dice similarity coefficient (DSC), were used to evaluate the margin of each segmented masks. Results: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automated segmentation for each segment (1-16 segments) were high (85.5-100.0%). The DSC was 88.3 ± 6.2%. Among randomly selected 100 cases, all manual segmentation and deep learning masks for visual analysis were classified as very accurate to mostly accurate and there were no inaccurate cases (manual vs. deep learning: very accurate, 31 vs. 53; accurate, 64 vs. 39; mostly accurate, 15 vs. 8). The number of very accurate cases for deep learning masks was greater than that for manually segmented masks. Conclusion: We present deep learning-based automatic segmentation of the LV myocardium and the results are comparable to manual segmentation data with high sensitivity, specificity, and high similarity scores.

스마트공장의 IoT 센서 모니터링을 통한 에너지절감 및 안전성 향상 연구 (A Study on Energy Saving and Safety Improvement through IoT Sensor Monitoring in Smart Factory)

  • 최우형;강인철;김창수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20권1호
    • /
    • pp.117-127
    • /
    • 2024
  • 연구목적: 중소기업 제조공장에서 에너지 관리, 온도, 습도, 분진 및 가스, 공기 질, 기계작동 상태 등을 통합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에너지 절감 및 제조 공장 인프라의 안전성 향상을 위한 기반 연구를 수행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디지털 전력량계 및 IoT 센서를 통해 에너지 관련 데이터 및 환경적인 정보들을 실시간으로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정보를 기반으로 모니터링 및 분석을 통해 에너지 절감을 위한 상황 전파 및 대응을 위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ESG 경영 활동의 핵심 지표에 속하는 에너지관리, 비용 절감과 안전성 향상을 고려한 적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기업에서 실제적인 사례 연구로 스마트공장에서 다양한 센서 장치와 관련된 장치들을 활용하였으며, 이를 통해 수집된 정보를 기반으로 에너지 절감 및 안전성 향상에 대한 기반의 체계를 제시하였다.

영작문 도구로서의 인공지능번역 활용에 대한 초등예비교사의 인식연구 (The Perception of Pre-service English Teachers' use of AI Translation Tools in EFL Writing)

  • 양재석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1호
    • /
    • pp.121-128
    • /
    • 2024
  • 최근 AI기반 온라인 번역 도구의 활용도가 높아짐에 따라 이에 대한 교육적 활용 방안 및 효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 예비교사를 30명을 대상으로 AI기반 온라인 번역도구를 활용한 영작문 과업을 수행하고 영어 글쓰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과 실제적 경험을 기반으로 AI번역도구에 대한 활용 가능성, 교육적 활용도 및 장단점 등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았다. 작문시험, 설문조사와 인터뷰를 통해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한 결과, 영어 글쓰기의 완성도 및 충실도에 있어서 유의미한 증가를 보였으며, 학습자들의 인식에서도 번역도구의 사용은 학습에 대한 즉각적인 지원과 편의성을 제공, 효과적인 도구활용을 위한 교육적 전략의 필요성에 대한 긍정적 인식도 나타났으나, 번역의 완성도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한 방법, 도구 활용에 대한 과용과 의존성에 대한 우려도 제기되었다. 번역도구의 효과적 활용을 위해서 교육적 전략이나 교사의 역할의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병원간호사가 인식한 고위험 정맥주사 투약오류 원인 분석 (Analysis of the causes of high-risk intravenous medication errors recognized by hospital nurses)

  • 김미란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3호
    • /
    • pp.625-633
    • /
    • 2024
  • 병원간호사의 고위험 정맥주사 약물의 투약오류에 대한 인식과 경험을 파악하고 투약오류의 원인과 개선방안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 대상은 D시에 위치한 일개 대학병원에 근무하는 고위험 정맥투약 관련 업무경험이 있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2021년 5월 16일~30일 간 자료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 고위험 정맥주사 투약안전 문제점의 핵심요인으로 병동 별 주요 약물의 투약 protocol 부재, 투약 주입기기의 작동 교육 부족, 표준화 된 고위험 정맥주사 투약수행 절차 미확립, 간호사 대상의 개별화 투약교육 부족, 병원 자체 약물집 부족 혹은 미비치, 비슷한 용기의 포장 약물 확인 부족의 6가지가 도출되었다. 간호실무적 차원에서 고위험 정맥주사 투약안전 프로그램을 적용하고 안전결과 지표를 확인할 수 있는 추후 연구 수행을 제언한다.

문화유산 이미지의 질감과 색상 스타일 전이를 위한 알고리즘 개발 연구 (Algorithm development for texture and color style transfer of cultural heritage images)

  • 백서현;조예은;안상두;최종원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31권
    • /
    • pp.55-70
    • /
    • 2024
  • 스타일 전이 알고리즘은 현재 활발히 연구되는 분야로 일반 이미지를 고전 회화 스타일로 전이시키는 알고리즘도 개발되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문화유산 이미지에 적용하였을 때 적절한 성과를 보이지 않으며, 적용 사례도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문화유산 스타일로 응용할 수 있는 스타일 전이 알고리즘을 개발하고자 한다. 이는 표현 학습을 통해 유의미한 특성을 학습하여 데이터에 대한 이해도를 높였으며, 대상 이미지 내에서 배경과 문화유산을 분리하고, 스타일 이미지에서 원하는 색상과 질감의 스타일 영역을 추출할 수 있게 제작하였다. 이를 통해 대상 이미지의 형태를 유지하면서 스타일 이미지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전이하여 새로운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으며, 다양한 문화유산 스타일을 전이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