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RNA 발현

검색결과 1,689건 처리시간 0.028초

Hydrocortisone 투여가 비유중기 재래산양의 유단백질과 유선세포 Prolactin Receptor mRNA 발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ydrocortisone Administrations on Expressions of Casein and Prolactin Receptor mRNAs in Mammary Glands of Mid-Lactation of Korean Goats)

  • 전기준;김재영;최재관;정영훈;박정준;이용준;우제석;서동석;홍승국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71-177
    • /
    • 2002
  • Glucocorticoid는 비유기 동물의 유선세포 pro-lactin receptor(PRL-R) 발현을 증가시키며, 전반적인 유선세포의 유합성 작용을 활성시킴으로 유합성 능력을 증진시킨다. 유선세포 PRL-R 발현량 증가는 유생산량 향상과 밀접한 관계를 갖는다. 본 실험은 비유중기의 재래산양의 유합성 능력을 향상시키고자, 0.05. 0.1과 0.2 g hydrocortisone을 5ml의 생리식염수에 현탁하여, 정맥투여하고 유선세포 PRL-R와 $\alpha$-유단백 질 mRNAs 발현 량을 조사하였다. 대조구로는 5$m\ell$의 생리식염수를 정맥투여 하였다. 24시간 후 유선조직을 채취하여 $\alpha$-유단백질과 PRL-R mRNA 발현량을 competitive PCR(polymerase chain reaction)로 발현량을 조사하였다. Hydrocortisone 처리 24시간 후 재래산양 유선세포의 PRL-R mRNA 발현량은 대조구의 PRL-R mRNA 발현량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alpha$-유단백질 mRNA 발현은 대조구에 비하여 0.05g hydrocortisone투여구는 37%, 0.1g hydrocortisone 투여구는 630%, 0.2g hydrocortisone 투여구는 386% 증가하였다. Hydrocortison 처리에 의한 유선세포 PRL-R mRNA 발현에 변화가 없었으나 $\alpha$-유단백질 mRNA 발현 증가는 세포 내 기능성 단백질 발현과 세포 외부로 분비되는 단백질의 시간에 따른 발현양상의 차이인 것으로 사려된다. 본 연구에서 비유중기 재래산양에 hydrocortisone 투여는 $\alpha$-유단백질 mRNA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피부 섬유아세포에서 비타민 C, Silicon, 철분 처리가 콜라겐 합성 및 분해 관련 효소의 발현에 미치는 효과 비교 (Effect of Vitamin C, Silicon and Iron on Collagen Synthesis and Break-Down Enzyme Expression in the Human Dermal Fibroblast Cell (HS27))

  • 김정은;이진아;김현애;김정민;조윤희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2권6호
    • /
    • pp.505-515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비타민 C, silicon, 철분을 농도별로 피부섬유아 세포에 처리 후 콜라겐 합성 효소인 PH, LH의 mRNA와 protein 발현 및 분해 효소인 MMP-1와 저해제인 TIMP-1의 mRNA, protein 발현의 변화를 대조군과 비교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피부 섬유아세포에서 비타민 C의 처리는 콜라겐 합성 효소인 PH의 mRNA 발현을 대조군에 비해 현저하게 증가시켰고 이와 병행하여, PH의 protein 발현도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그러나 다른 콜라겐 합성 효소인 LH의 mRNA 발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protein의 발현을 증가시켰다. 또한, 콜라겐 분해 효소인 MMP-1의 mRNA 발현은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시켰으나 protein 발현에서는 대조군과 차이가 없었다. 2) 피부 섬유아세포에서 silicon의 혈중 내 농도 처리는 LH의 mRNA 발현의 현저한 증가와 더불어 protein 발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콜라겐 분해 효소인 MMP-1과 저해제인 TIMP-1의 단백질 발현을 대조군에 비해 증가시켰다. 3) 피부 섬유아세포에서 철분의 혈중 내 농도 처리는 콜라겐 합성 및 분해 관련 효소의 mRNA 및 protein 발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피부섬유아세포에서 비타민 C 및 silicon의 처리는 콜라겐의 posttranslational modification 관련 효소의 mRNA의 발현 및 단백질의 발현을 증가시켜 궁극적으로 콜라겐 합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나타내었다.

흰쥐 난소 및 부신에서 Steroidogenic Acute Regulatory Protein mRNA의 발현에 관한 연구 (Identification of Steroidogenic Acute Regulatory Protein mRNA in the Rat Ovary and Adrenal G land)

  • 김명옥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2권1호
    • /
    • pp.39-43
    • /
    • 1998
  • 스테로이드 호르몬의 합성은 콜레스테롤로부터 시작되고 Steroidogenic acute regulatory protein(StAR)은 스테로이드의 합성과정에서 콜레스테롤을 미토콘드리아의 안으로 신속하게 운반하는 역할을 한다. 스테로이드 호르몬은 난소, 부신, 고환에서 합성되며 본 연구에서는 흰쥐 난소와 부신에서 StAr mRNA의 발현 양상을 in situ hybridization 기법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난소의 경우 StAR mRNa는 프로게스테론을 분비하는 황체에서 강한 발현을 보였고 엔드로겐을 분비하는 난포막세포에서도 약한 발현을 보였으며 에스트로겐을 분비하는 과립막세포에서는 발현되지 않았다. 황체에서도 황체의 발달 저도에 따라 차이를 보였고 성장한 황체에서는 강한 발현을 보인 반면, 퇴화하는 황체에서는 약한 발현을 보였다. 부신에서 StAR mRNA는 피질에서 강한 발현을 보였고 수질에서는 발현되지 않았다. 특히, 피질의 토리층에서보다 다발층과 그물층에서 강한 발현을 보였다. 난소와 부신에서 StAR mRNA는 스테로이드 호르몬의 종류에 따라서 발현 양상이 달랐고 스테로이드 호르몬 합성의 초기 단계에 관여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식물이차대사과정에 antisense RNA기법의 응용 (The Application of Antisense RNA Technology for Plant Secondary Metabolism)

  • 김용경;서혜;김영선;김응휘;박상언
    • 농업과학연구
    • /
    • 제34권1호
    • /
    • pp.47-52
    • /
    • 2007
  • 유전자의 발현이 다양한 형태로 억제되는 것을 silencing이라고 한다. 유전자 발현억제 방법 중 antisense RNA는 자연 상태의 mRNA에 역상보적인 RNA 분자로서 형질전환된 세포에서 그 mRNA의 전이을 억제하는 데 이용된다. RNA분자에 대하여 상보적 염기배열을 갖는 RNA는 분자간 결합을 연결하여 RNA의 기능 발현에 억제적으로 작용한다고 생각된다. 미생물에 나타나는 유전자발현 제어기작으로서 어느 특정한 mRNA에 대하여 상보적인 RNA가 유전자 발현의 억제인자로서 작용하고 있는 예가 몇 가지 알려져 있다. 이러한 경우 antisense RNA는 mRNA 상의 전이개시영역과 상보적 배열을 하고 있고, 전이과정을 방해한다고 추정되고 있지만 작용기작의 상세한 내용은 아직 명확하지가 않다. 한편 안티센스RNA는 임의의 표적유전자에 대하여 인위적으로 제작할 수가 있기 때문에 인위적인 유전자발현제어의 한 방법으로 이용되고 있다. 특정한 유전자에 대한 antisense RNA를, 발현하는 유전자를 인위적으로 제작하여 세포내에 도입하면 표적유전자의 발현을 특이적으로 억제 제어할 수 있는 것이 기대되어, 다양한 생물체를 대상으로 하여 많은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몇 가지 성공적인 보고가 있다. 그 중 식물이차대사과정에 관련 유전자를 대상으로 antisense RNA 기법으로 유전자의 발현억제와 이차대사산물 생산조절에 관한 연구를 이 논문에서 조사하고 정리하였다.

  • PDF

이질아메바에 의한 인체 대장상피세포주 HT-29에서의 interleukin-8 유전자의 발현 (Interleukin-8 gene expression in the human colon epithelial cell line, HT-29, exposed to Entamoeba histolytica)

  • 김정목;정현채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3권4호
    • /
    • pp.357-364
    • /
    • 1995
  • 이질아메바에 의한 장염 환자의 조직 또는 이질아메바를 실험적으로 감염시킨 동물의 조직 검사에서 호중구의 침윤이 특징적으로 관찰된다. 그러나 이와같은 호중구의 침윤을 설명할 수 있는 기전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흡하다. 따라서 본 연구자들은 아메바 감염 초기에 인체 대장상피 세포에서 interleukin-8(IL-8)이 유도되어 호중구 침윤과 같은 염증반응이 유발될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이를 위하여 인체 대장상피세포주인 HT-29에 이질아메바 영양형을 실험적으로 노출시킨 뒤 발현되는 IL-S mRNA를 역전사 중합효소법(reverse transcriptional 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으로 검사함과 퐁시에 발현된 IL-8 mRNA를 인공적으로 합성시킨 표준 RNA와 RT-PCR법을 이용하여 정량하였다. 실험 결과 이질아메바 영양형에 노출된 30분 후 부터 IL-8 mRAN가 발현되기 시작하였다 그리고 그 발현 분자수는 노출 시간의 증가에 따라 계속 증가하여 3시간 대에는 $3.1{\;}{\times}{\;}10^7{\;}molecules/\mu\textrm{g}$ total RNA를 나타내었다. 동시에 IL-8 mRNA의 발현은 노출시킨 이질아메바 영양형의 수에 비례하였다. 즉 HT-29/아메바 영양형의 비율이 10:1인 경우 IL-8 mRNA의 발현 분자수는 $1.2{\;}{\times}{\;}10^7{\;}molecules/\mu\textrm{g}$ total RNA로 나타났다. 이와같은 IL-8 mRNA의 발현은 IL-8 단백질 분비로 이어짐을 ELISA 검사로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이질아메바 파쇄액(Iysate)도 대장상피세포군인 Caco-2에서 IL-8 mRNA발현을 유도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실험은 이질아메바 감염 초기에 대장상피세포로 부터 IL-8이 발현되며, 이에 의하여 염증반응이 촉발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해 준다.

  • PDF

gtf 유전자 발현에 대한 xylitol의 영향 (THE EFFECT OF XYLITOL ON THE EXPRESSION OF GTF GENE)

  • 염정현;정진;정태성;김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304-313
    • /
    • 2004
  • 천연의 당알콜계 감미료인 자일리톨을 사용하여 자당으로부터 글루캔을 합성하는 효소인 glucosyltransferase(GTF)의 mRNA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Fluorescent in situ hybridization(FISH)과 유식세포측정기를 이용하여 분석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1. FISH분석결과 1% 자당이 함유된 BHI 배지에 1%, 5%, 10% 자일리톨을 첨가하였을 때 gtfB, gtfC 및 gtfD mRNA 발현이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되었고, gtfB 보다는 gtfC 및 gtfD의 발현이 더 크게 억제되었다. 2. 유식세포측정기로 분석한 결과 자당의 농도가 0.1%, 0.5%, 1%로 증가함에 따라 gtfB, gtfC 및 gtfD mRNA 발현이 증가하였다. 3. 유식세포측정기로 분석한 결과 자당이 1%함유되었을 때 1%, 5%, 10% 자일리톨을 첨가한 경우 gtfB, gtfC 및 gtfD mRNA발현이 유사하게 억제되었으며, 10% 자일리 톨을 첨가한 경우 gtfB, gtfC 및 gtfD mRNA발현이 가장 크게 억제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자일리톨은 자당첨가에 의한 Streptococcus mutars의 gtf mRNA 발현을 억제하여 항우식효과에 기여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전자파에 노출된 생쥐에서 운동량에 따른 뇌의 유전자 변화 (The Gene Expression Level Differences associated with Exercise in the Mouse Brain exposed to Radiofrequency Radiation)

  • 이민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1호
    • /
    • pp.241-247
    • /
    • 2020
  • 전자파 노출이 자발운동에 따른 뇌의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10 주간 4그룹 즉, 정상 그룹, 자발운동 그룹, 전자파 노출 그룹, 전자파 노출 및 자발운동 그룹으로 나누어 조사하였다. 선조체(striata)와 시상하부(hypothalamus)에서 RT-PCR을 수행하였으며, 타이로신수산화효소(TH), FoxO3a, AMPKα, mRNA 발현을 조사하였다. 선조체에서 TH mRNA 발현은 자발운동과 전자파 노출 조건에서 각각 감소하였고, 전자파 노출 및 자발운동 그룹에서 더 많이 감소되었다. 이 결과는 전자파 노출 및 자발운동 그룹에서의 운동량 감소가 선조체에서 도파민이 감소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선조체에서 FoxO3a mRNA 발현은 자발운동 그룹에서 증가했지만, 전자파 노출 및 자발운동 그룹은 현저히 감소했다. 시상하부에서는 TH mRNA 유전자 발현은 전자파 노출을 받은 자발운동 그룹에서 감소가 유의했으며, FoxO3a mRNA는 발현의 현저한 증가가 있었다. 전자파가 기억력에 미치는 영향도 밝히기 위해 해마에서의 여러 단백질들의 발현을 추후 조사할 것이다.

Streptococcus mutans의 gtfB 및 gtfC 유전자 발현에 대한 당의 영향 (THE EFFECTS OF SUGARS ON THE EXPRESSION OF GTFB AND GTFC MRNA)

  • 정혜진;김신;정진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299-308
    • /
    • 2007
  • Streptococcus mutans Ingbritt의 비수용성 글루칸을 합성하는 효소인 glucosyltransferase B 및 C의 mRNA 발현에 대한 각 당의 영향을 fluorescent in situ hybridization(FISH) 방법으로 관찰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1. 1% 설탕이 함유된 BHI 배지에서 S. mutans Ingbritt를 접종하여 배양할 때 배양 9시간 째 gtfB 및 gtfC유전자의 mRNA가 발현이 급격히 증가하였다. 2 BHI 액체배지에 설탕을 첨가한 경우 gtfB및 gtfC유전자의 mRNA가 발현되었으며, 10% 설탕을 첨가한 경우 1%와 5%보다 gtfB 및 gtfC 유전자의 발현이 감소되었다. 3. 1% 설탕이 첨가된 BHI 액체 배지에 당을 첨가한 경우 포도당은 10% 첨가하였을 때 gtfB 및 gtfC 유전자의 mRNA 발현이 감소하였고, 과당의 경우 1% 첨가한 경우 감소하여 5% 와 10%에서는 gtfB및 gtfC 유전자가 거의 발현되지 않았다. 4. 자일리톨의 경우 1%부터 gtfB및 gtfC유전자 mRNA 발현이 대조군보다 감소하였고, 5%와 10%에서는 두 유전자 모두 발현이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5. 유당의 경우 두 유전자의 발현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관찰되었고, 솔비톨의 경우 각 농도에서 두 유전자의 발현이 대조군보다 감소하였다. 결론적으로 비수용성 글루칸 합성하는 gtfB및 gtfC 유전자의 mRNA 발현이 포도당, 과당 자일리톨 첨가에 의해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압박력이 치주인대 세포의 M-CSF, IL-$1{\beta}$, RANKL 및 OPG mRNA 발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mpressive stress on the expression of M-CSF, IL-$1{\beta}$, RANKL and OPG mRNA in periodontal ligament cells)

  • 김지웅;이기수;남종현;강윤구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248-256
    • /
    • 2009
  • 이 연구의 목적은 배양된 사람 치주인대 세포에서 파골세포의 형성에 관련된 물질을 합성, 분비할 수 있는지를 알아보고 압박력이 M-CSF, IL-$1{\beta}$, RANKL 및 OPG mRNA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교정치료를 목적으로 발치된 소구치에서 얻은 치주인대세포를 배양한 후 다양한 크기(0.5, 1.0, 2.0, 3.0, $4.0\;g/cm^2$)의 기계적 자극을 다양한 기간(0.5, 1.5, 6, 24, 48 hours) 동안 적용하고, M-CSF, IL-$1{\beta}$, RANKL, OPG mRNA 발현양의 변화를 검사하였다. 각각의 실험군에서 얻어진 mRNA에 대해 역전사 중합효소 연쇄반응검사를 시행하였다. 검사 결과 압박력은 사람 치주인대 세포에서 M-CSF mRNA를 발현시켰으며 M-CSF, IL-$1{\beta}$, RANKL mRNA의 발현양은 자극의 크기와 기간에 따라 증가하였다. 그러나 압박력은 사람 치주인대 세포에서 OPG mRNA의 발현양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기계적 자극이 치주인대 세포에서 M-CSF, IL-$1{\beta}$, RANKL mRNA의 발현양을 조절함으로 파골세포의 분화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결핵균 항원 자극에 의한 결핵성 흉수 림프구의 IFN-${\gamma}$ mRNA 발현 (IFN-${\gamma}$mRNA Expression in Tuberculous Pleural Lymphocytes After in vitro Stimulation with M. tuberculosis Antigens)

  • 박재석;김윤섭;지영구;이계영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7권1호
    • /
    • pp.25-31
    • /
    • 2004
  • 연구배경 : IFN-${\gamma}$는 결핵균에 대한 숙주의 면역학적 방어기전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그러므로 결핵균 항원들이 IFN-${\gamma}$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은 결핵균에 대한 숙주의 방어기전을 밝히고 이를 이용한 백신의 개발에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방 법 : 결핵성 흉막염 환자의 흉수에서 얻은 림프구 배양액에 결핵균(H37Rv), PPD, Ag85B, man-LAM, ara-LAM을 첨가하여 자극한 후 림프구의 IFN-${\gamma}$ mRNA의 발현 정도를 역전사 중합효소연쇄반응을 이용하여 비교하였다. 결 과 : 1) 결핵균(H37Rv)이 결핵성 흉수 림프구의 IFN-${\gamma}$ mRNA의 발현을 증가시켰다. 2) 결핵균 항원 중 PPD와 Ag85B는 결핵성 흉수 림프구의 IFN-${\gamma}$ mRNA의 발현을 증가시켰지만 man-LAM은 결핵성 흉수 림프구의 IFN-${\gamma}$ mRNA의 발현을 억제시켰다. 3) LAM 중에서 man-LAM은 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결핵성 흉수 림프구의 IFN-${\gamma}$ mRNA의 발현의 억제 정도가 증가하였지만 ara-LAM의 경우 이와 같은 현상이 관찰되지 않았다. 결 론 : 결핵성 흉수 림프구의IFN-${\gamma}$ mRNA의 발현은 PPD와 Ag85B의 자극에 의해 항진되지만 man-LAM의 자극에 의해서는 억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