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pre-$T_2$

검색결과 290건 처리시간 0.034초

독일과 한국토양중에서 Bentazon 의 잔류물의 생물에 의한 이용 (Bioavailability of Bentazon Residues in a German and Korean Agricultural Soil)

  • 이재구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22-30
    • /
    • 1987
  • Benzene 환(環)이 균일하게 표식(標識)된 $^{14}C-Bentazon$(5.02 mg/kg)을 재배직전에 처리한 독일 및 한국의 토양 (T-0)에서 21일간 생육한 옥수수는 처리된 방사능의 $36.0{\sim}42.8%$를 흡수하였다. 반면 $^{14}C-Bentazon$ 으로 처리하고 105일 동안 전배양(pre-incubation)한 토양$(4.79{\sim}4.84mg/kg)$ (T-1)에서는 $8.2{\sim}14.2%를 흡수하였으며 추출이 불가능한 잔류물을 만들기 위하여 105일 동안 전배양한후 증류수와 0.01M $CaCl_2$ 수용액으로 방사능을 완전히 추출한 토양$(5.56{\sim}7.95mg/kg)$ (T-2)에서는 $1.8{\sim}2.3%$를 흡수하였다. 흡수된 방사능의 지상부와 뿌리간의 분포는 각각 $2.7{\sim}9.7%$90.3{\sim}97.3%이었다. 옥수수 뿌리를 유기용매로 추출한 결과 T-0에서는 $39.l{\sim}51.3%, T-1 에서는 $55.7{\sim}63.1%가 뿌리에 강력하게 흡착 또는 결합되어 있음을 알 수 있고 이것은 Bentazon 과 그의 극성대사물질들이 접합체의 형태로 뿌리에 존재함을 암시해 준다.

  • PDF

N2 병기 비소세포 폐암의 수술 전 동시화학방사선요법 (Pre-operative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for Stage IlIA (N2) Non-Small Cell Lung Cancer)

  • 이규찬;안용찬;박근칠;김관민;김진국;심영목;임도훈;김문경;신경환;김대용;허승재;이종헌;이경수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7권2호
    • /
    • pp.100-107
    • /
    • 1999
  • 목적: N2 병기 비소세포폐암에서 수술 전 동시화학방사선요법과 수술을 적용하여 급성 부작용, 수술 절제가능성 및 수술 후 병기 강하율을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7년 5월부터 1998년 6월까지 삼성서울병원에서 N2 병기 비소세포폐암으로 진단 받은 15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들 연령의 중앙값은 61세(45~67세), 남녀 성비는 12:3 이었으며 세포 조직형은 편평상피암종이 11명, 선암종이 4명이었다. 치료 전 임상적 T병기는 T1, T2, 및 T3가 각각 2명, 12명, 및 1명씩이었으며 모든 환자들이 N2 병기로서 이중 10명은 종격동내시경을 통한 조직생검을 통하여 종격동 림프절 전이를 확인하였고 나머지 5명은 흉부 CT 영상 상 종격동 림프절 전이가 강력히 의심된 경우였다. 수술 전 방사선치료는 흉부 CT영상을 기준으로 하여 원발 병소, 동측 폐문부 및 종격동 림프절에 대하여 10MV X-선을 이용하여 45Gy를 5주간에 걸쳐서 조사하도록 계획하였다(일회 선량 1.8 Gy, 일일 1회, 주 5회). 수술 전 복합화학요법은 cis-Platin(100mg/m$^{2}$)을 제 1일에 급속 정주하고 Etoposide(50mg/m$^{2}$/day)를 제 1일부터 제 14일까지 경구로 2회에 분복하도록 하였으며, 첫번째 화학요법은 방사선치료의 시작일에, 두 번째 화학요법은 4주 후에 시행하도록 계획하였다. 수술은 방사선-복합화학요법의 완료 3주째에 흉부 CT 영상을 얻어 병변의 진행이나 원격전이의 소견이 없음을 확인한 후 시행하였다. 결과 : 방사선치료는 15명 모두에서 계획된 목표 선량 45Gy를 조사하였으며, 복합 화학요법은 11명의 환자에서는 계획대로 2회를, 나머지 4명에서는 1회만 시행하였다. 본 연구의 치료 방법과 관련하여 1명의 환자가 수술 15일만에 급성 호흡부전으로 사망하였으며 입원치료를 요하는 정도의 급성 부작용의 발현은 방사선폐렴과 호중구 감소로 인한 발열이 각각 1명, 2명이었다. 급성 식도염은 RTOG grade 1이 9명, grade 2가 3명으로 대체로 경미한 편이었다. 총 26회의 복합 화학요법과 관련된 급성 부작용으로 grade 3 이상의 백혈구 감소증, 혈소판 감소증, 및 빈혈이 각각 26.9%, 7.7%, 3.8%에서 나타났다. 수술을 시행한 환자는 13명으로 이 중 12명에서 근치적 절제술이 가능하여 수술절제율은 92.3%(12/13) 이었다. 한 명에서는 수술 시 늑막 전이가 확인되어 절제 수술을 시행하지 못하였다. 다른 2명은 수술을 거부하였다. 수술 후 병리학적 T병기는 T0, T1, 및 T2가 각각 3명, 6명, 및 3명이었으며 N병기는 N0, N1, 및 N2가 각각 8명, 1명, 및 3명이었다. 병리학적 완전 관해는 모두 3명의 환자에서(27.3%) 확인되었으며, 수술 전 임상적 병기와 비교하여 볼 때 병기 강하, 불변, 상승이 각각 8명(61.5%), 4명(30.8%), 1명(7.7%) 이었다. 결론 : N2 병기 비소세포폐암에 대한 동시화학방사선요법은 대체로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으나 보다 많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장기간의 추적 관찰을 요한다.

  • PDF

Wollastonite을 중심(中心)으로 한 규산질비료광물자원(珪酸質肥料鑛物資源)에 관(關)한 연구(硏究) (The Study on the Wollastonite Mineral Resources for Silicious Fertilizer)

  • 신병우
    • 자원환경지질
    • /
    • 제5권4호
    • /
    • pp.221-229
    • /
    • 1972
  • Through the series of study on the above subjects, the following were founded. 1. Soluble silica in paddy top-soil (xppm) and maxium possible yield (y) is expressed as following equatic $y=63.97+0.425x-0.00114x^2$ It is known that soluble silica in paddy top-soil in South Korea is limited as 130ppm. 2. Gnder the present Korean condition 90% of paddy-top-soil is estimated to be short in available silica content and the country average to only 78ppm. 3. The total area of Korean paddy-top-soil is about 1,036,710 ha. All requirements of wollastonite in South Korea estimated from the equation $Y=0.94-0.033{\times}$are about 2 million M/T 4. Silicates fertilizer minerals are Bentonite, Zeolite, Wollastonite, Serpentine, and Chlorite. But Wollastonite is most economic and can be supplied to using Korea. 5. Wollastonite is formed in contact metomorphic deposits. Limestone is the country rock of wollastonite. Limestone in Korea is in Ryunchcon system, (Pre-cambrian) Okcheon system, (unknown), Great limestone series (paleozoic), Hongjum series (Paleozoic) and Kyungsang system (mesozoic) so that the zones of these limestone and igneous rock are the possible area which wollastonite can be produced. 6. According to the published geologic map (scale 1/5000), about 25 provinces will be possible area which wollastonite can be produced. In future, I believe that many possible area will be increased. 7. According to this survey at Danyang, total wollastonite resources are about 179,000 M/T and average of soluble $SiO_2$ is 29.84%. 8. According to this survey at Daijeon, total resources are about 57,600 M/T and average of soluble $SiO_2$ is 21.53%. 9. Total wollastonite resources including Danyang, Yangduk, and Daijeon are about 1,172,200 M/T. Considering possible resources, it will be over 20 million M/T and I can say that it is possible to be supply for a score.

  • PDF

사물 인터넷 환경에서 경량화 장치 간 상호 인증 및 세션키 합의 기술 (Mutual Authentication and Key Agreement Scheme between Lightweight Devices in Internet of Things)

  • 박지예;신새미;강남희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8B권9호
    • /
    • pp.707-714
    • /
    • 2013
  • 사물인터넷(IoT) 기술은 M2M 통신의 확장 기술로 구성 장치(사물)들을 인터넷에 연결시켜 사물지능통신을 실체화하기 위해 제안되었다. IoT를 구성하는 다양한 사물들은 일반적으로 자원이 제한적이고, 이기종 장치들은 저용량 네트워크로 상호 연결된다. 이러한 IoT 환경에서 보안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기밀성, 상호인증, 메시지 송신 인증 등이 제공되어야 한다. 그러나 자원이 제한적인 환경 특성상 기존 인터넷 환경에 적용했던 보안 기술들을 그대로 적용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IETF 표준화 그룹에서는 안전한 IoT 서비스를 위해 경량화된 DTLS(Datagram TLS) 프로토콜의 적용을 제안하고 있지만 초경량 장치까지 모든 장치를 수용할 수는 없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자원 제약의 이유로 해쉬 함수 혹은 암호 함수와 같은 단일 보안 모듈만을 탑재할 수 있는 경량화 장치들이 상호 인증하고 세션키를 합의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한다. 제안 기술은 세션키 생성 시 사전 계산 방식을 통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다양한 보안 공격에 대응 할 수 있다.

식물의 추출물을 이용한 당근뿌리혹선충의 생물적방제 (Biological control of the Nothern Root-knot Nematode, Meloidpgyne hapla with Plant Extract)

  • 김형환;추호렬;박정규;이상명;김준범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19-206
    • /
    • 1998
  • 만수국 혼식과 만수국, 잔디, 산검양옻나무, 붉나무 및 양파 등의 식물체 추출액이 토마토에서 당근뿌리혹선충의 기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셔 실험을 수행하였다. 만수국을 토마토와 혼식한 실험에서는 토마토 정식 15일전에 만수국을 이식한 구가 15일 후에 이식한 구보다 당근뿌리혹선충의 발생이 적었으며, 잎과 뿌리의 추출액 처리가 혼식보다 더욱 효과적이었다. 즉 만수국 잎추출액의 원액을 토마토 정식 5일전에 처리한 구의 난낭수는 2.2개, 뿌리추출액의 원액을 처리한 구는 5.6개로서 무처리구의 129.4개보다 현저히 적었다. 또한 잔디 추출액처리의 경우에도 무처리구의 난낭수가 87.2개였던데 비하여 원액 처리구는 21개, 2배 희석액 처리구에서는 28.4개로 적었다. 산검양옻나무, 붉나무 및 양파추출액도 당근뿌리혼선충의 발생을 현저히 억제시켰는데, 무처리구의 난낭수 193.6개에 비하여 산검양옻나무 추출액 원액 5일전 처리구에서는 1.6개, 붉은나무 추출액 원액 처리구는 1.6개, 양파추출액 원액 처리구는 6.2개로서 매우 효과가 있었다. 이 실험에서 사용하는 식물체의 추출액을 토마토 정식전에 처리하는 것이 동시 또는 후에 처리하는 것보다 효과적이었으며 추출액의 농도가 높을수록 형성된 난낭수가 적었다.

  • PDF

고준위폐기물 처분시스템의 열적-수리적-역학적 거동 규명을 위한 공학적 규모의 실증시험 (Engineering-scale Validation Test for the T-H-M Behaviors of a HLW Disposal System)

  • 이재완;박정화;조원진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97-207
    • /
    • 2006
  • 고준위폐기물처분장의 공학적 성능은 공학적 방벽의 열적-수리적-역학적 거동에 의해 크게 좌우된다. 2002년에 제안된 기준처분시스템 완충재의 열적-수리적-역학적 거동 실증을 위해서, 엔지니어링 규모의 실증장치인 KENTEX를 제작설치 하였다. 이 실증실험은 2005년 5월 31일에 시작하여 현재 진행 중에 있다. 본 논문에서는 운전 중인 KENTEX시설과 이 시설에서 수행 중인실험 및 향후 연구내용을 소개하고, 또한 센서 설치 및 운전조건 결정을 위해 수행한 운전 전 T-H-M 모델 계산결과도 기술하였다. 한국형 기준처분시스템의 실증연구와 관련하여, KENTEX 실증실험은 향후 추진될 지하시험시설에서의 현장시험에 필요한 자료와 경험을 제공하고, 기준처분시스템의 열적-수리적-역학적 거동특성과 평가모델을 검증할 것이다. 실험적으로는 처분장 완충재로 사용되는 벤토나이트 블록의 제작 및 설치에 대한 엔지니어링 타당성을 보여 주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것이다.

  • PDF

항성풍 거품 내에서의 초신성 잔해의 동역학적 구조 (DYNAMICAL INTERACTION OF SUPERNOVA REMNANT WITH PRE-EXISTING WIND BUBBLE)

  • 최승언;차승훈;구본철
    • 천문학논총
    • /
    • 제11권1호
    • /
    • pp.27-47
    • /
    • 1996
  • We have performed the high resolution computer simulation with 1D spherical hydrodynamic code in order to study the dynamical evolution of supernova ejecta interacting with a pre-existing fast wind structure. The fast wind structure has been calculated with $M_{in}=3{\times}10^{-6}M_{\odot}yr^{-1}$ and ${\upsilon}_{in}=1000km/sec$, which velocity is higher than the critical velocity relating to the initial radiative cooling. The fast wind becomes initially adiabatic. After a shell formation time of ${\sim}4000yrs$, the wind becomes radiative cooling at the shell zone, forming a thin dense radiative shell and an adiabatic wind bubble afterward. When supernova explodes in the wind center at 20,000yrs after the wind evolves, the supernova ejecta, which has a dense distribution of ${\rho}{\propto}r^{-n}$(here we have n = 9), interacts initially with, the understood wind zone, producing forward and reverse shocks. The reverse shock heats the supernova ejecta and its temperature increases. In this study, as the mass of the supernova ejecta is larger than that of the wind shell ($M_{ej}=5M_{\odot}$, $M_{sw}=2M_{\odot}$), we can conform two shell structures: an outer shell by the supernova ejecta and a secondarily shocked wind shell by it. The secondarily shocked wind shell should accelerates in this case to be R-T unstable, consequently producing the knots.

  • PDF

Afatinib Mediates Autophagic Degradation of ORAI1, STIM1, and SERCA2, Which Inhibits Proliferation of Non-Small Cell Lung Cancer Cells

  • Kim, Mi Seong;Kim, So Hui;Yang, Sei-Hoon;Kim, Min Seuk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85권2호
    • /
    • pp.147-154
    • /
    • 2022
  • Background: The expression of calcium signaling pathway molecules is altered in various carcinomas, which are related to the proliferation and altered characteristics of cancer cells. However, changes in calcium signaling in anti-cancer drug-resistant cells (bearing a T790M mutation in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EGFR]) remain unclear. Methods: Afatinib-mediated changes in the level of store-operated Ca2+ entry (SOCE)-related proteins and intracellular Ca2+ level in non-small cell lung cancer cells with T790M mutation in the EGFR gene were analyzed using western blot and ratiometric assays, respectively. Afatinib-mediated autophagic flux was evaluated by measuring the cleavage of LC3B-II. Flow cytometry and cell proliferation assays were conducted to assess cell apoptosis and proliferation. Results: The levels of SOCE-mediating proteins (ORAI calcium release-activated calcium modulator 1 [ORAI1], stromal interaction molecule 1 [STIM1], and sarco/endoplasmic reticulum Ca2+ ATPase [SERCA2]) decreased after afatinib treatment in non-small cell lung cancer cells, whereas the levels of SOCE-related proteins did not change in gefitinib-resistant non-small cell lung cancer cells (PC-9/GR; bearing a T790M mutation in EGFR). Notably, the expression level of SOCE-related proteins in PC-9/GR cells was reduced also responding to afatinib in the absence of extracellular Ca2+. Moreover, extracellular Ca2+ influx through the SOCE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PC-9 cells pre-treated with afatinib than in the control group. Additionally, afatinib was found to decrease the level of SOCE-related proteins through autophagic degradation, and the proliferation of PC-9GR cells was significantly inhibited by a lack of extracellular Ca2+. Conclusion: Extracellular Ca2+ plays important role in afatinib-mediated autophagic degradation of SOCE-related proteins in cells with T790M mutation in the EGFR gene and extracellular Ca2+ is essential for determining anti-cancer drug efficacy.

요양보호사의 기저귀위생간호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Development and Effects of an Educational Program for Caregivers on Hygienic Care for Diapers)

  • 강윤서;오진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421-431
    • /
    • 2018
  • 본 연구는 요양보호사를 위한 기저귀위생간호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기저귀 위생간호에 관한 지식과 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함이다. 연구설계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유사 실험연구이다. 충청남도 Y군의 장기요양기관에 근무하는 요양보호사 중 실험군 25명과 대조군 25명의 총 50명을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dow 22 vers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기저귀 위생간호 교육프로그램은 총 4회기로 구성되었다. 교육프로그램의 실험 결과, 기저귀 위생간호 지식은 사전점수($M{\pm}SD=4.64{\pm}0.23$)에 비해 사후점수($M{\pm}SD=4.88{\pm}0.23$)가 증가하였으나, 두 군 간에 통계적으로는 유의하지 않았다(t=1.253, p=.216). 기저귀 위생간호 수행능력은 사전점수($M{\pm}SD=1.86{\pm}0.18$)에 비해 사후점수($M{\pm}SD=2.89{\pm}0.15$)가 증가하였고, 두 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12.694, p=.001). 따라서, 개발된 기저귀 위생간호 교육프로그램은 요양보호사의 기저귀 위생간호 실무능력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흰쥐 광 혈전 뇌경색 모델에서 줄기세포 추적을 위한 자화강조영상 (Susceptibility Weighted Image for Stem Cell Tracking in Rat Photothrombotic Infarction)

  • 하본철;임청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8호
    • /
    • pp.249-256
    • /
    • 2010
  • 사람 중간엽 줄기세포(hMSCs)를 초상자성산화철(SPIO)로 표지하여, 체외에서 세포 농도에 따른 신호의 변화를 알아보고, 흰쥐 광 혈전 뇌경색 모델에 이식하여 자기공명영상 기법 중, T2강조영상과 $T2^*$강조영상 그리고 자화강조영상의 줄기세포 검출능을 분석하고, 병리 소견과 비교하고자 하였다. 체외실험은 SPIO(Feridex I.V.$^{(R)}$)로 표지한 줄기세포 $1.56{\times}10^4$, $3.13{\times}10^4$, $6.25{\times}10^4$, $1.25{\times}10^5$, $2.5{\times}10^5$, $5{\times}10^5$ 개/$m{\ell}$, SPIO로 표지 하지 않은 $5{\times}10^5$ 개/$m{\ell}$의 세포를 Control로 준비하여 $0.5m{\ell}$튜브에 담아 T2WI, $T2^*WI$, SWI sequence로 자기공명영상을 얻었다. 체내실험은 8마리의 흰쥐를 대상으로 정수리점(bregma)에서 우측으로 2.5mm, 뒤쪽으로 2.5mm 부위에 광 혈전 뇌경색을 만들고, SPIO-hMSC $2.5{\times}10^5$ 개/$m{\ell}$, $1m{\ell}$을 꼬리 정맥에 주입하여 실험하였다. 자기공명영상은 주입 전과 주입 후 1, 3, 7 그리고, 14일째 T2WI, $T2^*$WI, SWI 영상을 얻고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자기공명영상검사 후 흰쥐는 조직검사를 위해 희생시켰다. 체외실험 결과 CNR은 SWI, $T2^*WI$, T2WI 순으로의 높게 나왔고, 세포 농도에 따라서는 $2.5{\times}10^5$ 개/$m{\ell}$의 농도에서 가장 높게 나왔다. 체내실험에서 normal, infarction, SPIO 상호간의 CNR을 분석해본 결과 normal-infarction의 CNR은 T2WI가 가장 높게 나왔고, normal-SPIO 그리고 infarction-SPIO에서 CNR은 SWI, $T2^*WI$, T2WI순으로 나왔다. 따라서 흰쥐를 이용한 실험에서 T2WI sequence는 infarction을 잘 표현해 주고, SWI는 SPIO로 표지한 줄기세포를 normal과 infarction으로 부터 잘 구별해 주었다. 현재 임상에서 SWI는 출혈, 석회화 병변등을 쉽게 찾아내는 sequence로 사용 되고 있지만 향후에 줄기세포 치료가 인간의 질병을 치료하는 주요방안으로 자리 잡을 때에도 이식된 줄기 세포를 관찰 할 수 있는 좋은 도구가 될 것으로 기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