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ysophosphatidyl-choline

검색결과 20건 처리시간 0.025초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밀전분 지방질에 함유된 리소레시친의 정량 (Quantitative Analysis of Lysophosphatidyl Choline (LPC) in Wheat Starch Lipids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 신명곤;민봉기;장판식
    • 분석과학
    • /
    • 제5권3호
    • /
    • pp.339-343
    • /
    • 1992
  • HPLC-UV방법을 이용하여 밀전분 지방질의 주성분인 LPC를 정량하기 위해 HRW 밀전분 지방질로부터 순수한 LPC를 분리하여 LPC의 표준곡선을 작성하였다. 밀 품종별 LPC에서 대한 HPLC peak responses는 시료간 큰 차이를 보여주지 않아 HRW 밀전분 지방질로부터 만든 LPC의 HPLC-UV 표준곡선은 밀전분 지방질에 함유되어 있는 LPC의 함량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정량하는 데 이용할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 PDF

밤 지질(脂質) 성분(成分)의 분석(分析) -제2(二)보. 구성 지질(脂質) 및 구성 지방산(脂肪酸)의 조성(組成)- (Analysis of the Lipid Components in Chestnut(Castanea crenata) -II. Lipid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Neutral Lipid , Glycolipid and Phospholipid-)

  • 이종욱;김은선;김동연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6권1호
    • /
    • pp.19-27
    • /
    • 1983
  • 은기(銀寄), 녹조(鹿鳥), 상피(霜被)의 3가지 밤 품종(品種)의 지질(脂質)성분으로 부터 분획한 중성지질, 당지질 및 인지질의 구성지질(脂質)과 구성지방산(脂肪酸)을 thin-layer chromatography 및 gas chromatography에 의하여 분리 정량하였다. 유리지질(遊離脂質) 중의 중성지질(中性脂質)로는 glyceride, free sterol, esterified sterol 주성분이었으나 결합지질(結合脂質)에는 triglyceride는 거의 없었고 free fatty acid와 monoglyceride가 소량 함유되어 있었다. 외과육(外果肉)의 유리지질(遊離脂質)에는 triglyceride가 25.7%로 훨씬 많았으나 결합지질에는 거의 함유되지 않은 것이 특이하였고 기타 성분은 미량 존재하였다. 유리지질(遊離脂質)중의 당지질(糖脂質)은 digalactosyl diglyceride, esterified steryl glycoside가 주성분이었으나 결합지질(結合脂質)은 digalactosyl diglyceride가 주성분이었다. trigalactosyl diglyceride가 유리지질에는 극히 적으나 결합지질에는 2.0% 함유되어 있다. 유리지질 중의 인지질(燐脂質)은 lysophosphatidyl choline, phosphatidyl inositol, phosphatidyl choline, phosphatidyl glycerol, phosphatidyl ethanolamine이 비교적 고른 분포를 보이고 있으며 결합지질(結合脂質) 중에는 phosphatidyl choline, phosphatidyl inositol이 주성분이었다. 중성지질(中性脂質)의 지방산조성(脂肪酸組成)은 linoleic acid가 유리지질과 결합지질에 각각 49.3%, 45.1%로 제일 많았고 linolenic acid, palmitic acid가 역시 주요 지방산(脂肪酸)이었다. 당지질(糖脂質)과 인지질(燐脂質)에 있어서도 그 경향(傾向)은 비슷하였으나 palmitic acid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많아 포화지방산 함량이 중성지질보다 훨씬 많았으며 전체적으로 결합지질에 포화지방산 함량이 많았다.

  • PDF

일반계 및 다수계 미강유의 극성지방질 조성 (Comparative Studies on the Composition of Polar Lipids in Japonica and Indica Rice Bran Oils)

  • 권경순;최광수;김현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735-740
    • /
    • 1996
  • 일반계 및 다수계 미강유의 극성지방질 조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미강유 중의 당지방질의 주요성분은 esterified steryl glycoside가 48.8~52.1%로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고, 그 다음으로는 steryl glycoside, monogalactosyl diglyceride, cerebroside 및 digalactosyl diglyceride순이었다. 인지방질은 phosphatidyl choline이 33.1~36.7%로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고, 그 다음이 phosphatidyl ethanolamine, phosphatidyl inositol+phosphatidyl serines, phosphatidyl glycerols, dipho sphatidyl glycerols, lysophosphatidyl cholines 순이었다. 미강유의 당 및 인지방질 획분의 주요지방산은 oleic acid, linoleic acid 및 palmitic acid이었다.

  • PDF

율무의 극성지질 조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mposition of Polar Lipid in Adlay)

  • 한지숙;이숙희;최홍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29-35
    • /
    • 1987
  • 현미율무와 백미율무를 chloroform-methanol(2 :1, v/v)로 추출한 총지질중 극성지질인 당지질 및 인지질을 SACC에 의하여 분획하고 이들의 조성을 TLC에 의하여 분별하였으며, GC에 의하여 지방산 조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현미율무 총지질중 당지질 및 인지질의 함량은 각각 5.67%, 1.83%였으며, 백미율무에서는 5.49%, 1.78%로 나타났다. 현미율무와 백미율무의 당지질 조성중 주요한 성분으로는 monogalactosyl diglycerides & esterified steryl glycoside와 digalactosyl diglyceride로 나타났으며, 이외에 cerebroside & steryl glycoside도 함유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인지질 조성에서는 phosphatidyl choline와 phosphatidyl ethanolamine이 주요한 성분 이었으며, 이외에 phosphatidyl inositol, lysophosphatidyl choline와 phosphatidyl serine의 순으로 함유 되었으며, 현미율무와 백미율무에서는 거의 비슷한 양상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현미율무와 백미율무의 당지질의 주요지방산은 linoleic, oleic, palmitic acid였으며, 인지질에 있는 지방산 조성은 당지질의 조성과 그 양상이 거의 같았으나, 당지질에는 linoleic acid가 가장 많은데 비하여 인지질에는 oleic acid가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 PDF

쌀보리의 전분지방질에 관한 연구 (Lipid Class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Starch-Lipid in Naked Barley)

  • 김혜경;최홍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515-520
    • /
    • 1989
  • 쌀보리 전분에서 유리 및 결합지방질을 추출하여 이들을 중성 당 인지방질 등으로 분획, 정량하고 다시 이 분획된 성분들의 구성지방질들을 분별 정량한 다음 각 지방질들의 지방산 조성을 분석하였다. 유리지방질에서는 중성 당 인지방질의 함량이 각각 69.9%, 27.3%, 2.8%였고, 결합지방질에서는 $34.9{\sim}54.6%,\;30.0{\sim}45.5%,\;15.4{\sim}19.6%$였다. 중성지방질 성분 중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은 트리글리세리드$(70.4{\sim}82.4%)$이었고 이외 유리지방산$(8.4{\sim}26.2%)$ 그리고 소량의 esterified sterol과 free sterol로 구성되어 있었다. 당지방질에서는 $87{\sim}91%$의 monogalactosyl-diglycerides가 주요 성분이었으며 그외 소량의 digalactosyl-diglycerides $(0.8{\sim}4.2%)$, corebrosides$(1.8{\sim}4.4%)$, steryl glycosides$(3.1{\sim}5.9%)$로 구성되어 있었다. 그리고 인지방질 성분에서는 유리, 결합지방질 모두 lysophosphatidyl choline $(26.8{\sim}30.8%)$과 diphosphatidyl glycerols $(33.6{\sim}40.4%)$의 함량이 많았으며, 그외 $12.1{\sim}21.2%$의 phosphatidyl choline & phosphatidyl serine, $7.1{\sim}9.9%$의 phosphatidyl glycerol로 구성되어 있었다. 중성지방질의 주요 지방산은 팔미트산$(15.2{\sim}47.3%)$, 리놀레산$(23.0{\sim}68.3%)$였으며 당지방질에서도 대부분을 구성하는 지방산은 팔미트산$(22.7{\sim}39.8%)$과 리놀레산$(30.2{\sim}63.1%)$이었다. 특히 당지방질의 유리지방질에서는 결합지방질에 비해 미리스트산, 스테아르산의 함량이 많은 것이 특징적이었다. 인지방질의 지방산 조성도 함량면에서는 차이가 나지만 대부분 팔미트산과 리놀레산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 PDF

한국 재래 검점콩의 지방질 조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Composition of Lipid Class and Fatty Acid of Korean Black Soybean)

  • 이경임;유정희;이숙희;최홍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62-268
    • /
    • 1988
  • 검정콩을 chloroform-methanol(2 : 1, v/v) 용매로 추출하여 얻은 총지방질을 SACC로 중성지방질, 당지방질 및 인지방질로 분획하고, 이들의 조성을 TLC에 의하여 분별하였으며, GC에 의하여 지방산 조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검정콩의 총지방질중 중성지방질은 $88.5{\sim}89.2%$, 당지방질은 $2.4{\sim}2.5%$,, 인지방질은 $8.4{\sim}9.0%$였다. 중성지방질 조성중 triglycerides가 주된 성분이었으며, diglycerides, sterols, steryl esters, free fatty acids, hydrocarbons 등을 함유하고 있었다. 당지방질 성분으로는 monogalactosyl diglycerides 및 esterified steryl glycosides, cerebrosides 및 steryl glycodes, digalactosyl diglycerides 등이 분별정량되었으며, 인지방질에서는 phosphatidyl ethanolamine, phosphatidyl choline, phosphatidyl inositol, phosphatidyl serule 및 lysophosphatidyl choline이 분별정량되었다. 검정콩의 지방산 조성은 중성지방질의 경우 linoleic acid 함량이 가장 높고, oleic acid가 상당량 함유되어 있으며, 당지방질도 이와 비슷하나 olelc acid함량이 다소 낮은 반면 palmitic acid와 linolenic acid함량이 약간 높았다. 또한 인지방질은 linoleic acid와 palmitic acid 함량은 높으나 그외는 적은량 함유되어 있었다.

  • PDF

쌀보리 결합지질의 추출과 그 조성에 관한 연구 (Extraction and Composition of Bound Lipids in Naked Barley)

  • 김혜경;김복남;최홍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09-114
    • /
    • 1989
  • 쌀보리가루에서 결합지질을 방법을 달리하여 추출하고 이들을 중성지질, 당지질, 인지질등으로 분획하였으며 다시 이 분획된 성분들의 구성 지질들을 분별 정량한 다음 각 지질들의 지방산 조석을 분석하였다. Water saturated butanol ($25^{\circ}C$, WSB-LT) 추출 결합지질에서는 중성, 당, 인지질의 함량이 각각 35.5%, 32.4%, 32.1% 그리고 WSB($95^{\circ}C$, WSB-HT)추출 결합지질에서는 인지질의 함량이 50.6%로 가장 많았다. 중성지질 성분중 대부분을 차지하는 성분중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은 triglyceride$(66{\sim}82.9%)$이고 그외 free fatty acid, free sterol, diglycericte, esterified sterol 등이 분별정량되었으며, 당지질 성분중에서는 digalactosyl diglycerides, cerebrosides, steryl glycosides, monogalactosyl diglycerides등이 주요 구성성분이였고 이중 digalactosyl diglyceride$(40.2{\sim}44.8%)$의 함량이 가장 많았다. 인지질의 경우에는 lysophosphatidyl choline $(20.3{\sim}34.4%)$, phosphatidyl choline & phsphatidyl serine$(18.6{\sim}22.5%)$, phosphatidyl ethanolamine$(18.4{\sim}28.2%)$, dtphosphatidyl glycerols $(10.5{\sim}16.9%)$등으로 그 성분이 구성되어 있었으며, 대체로 구성성분은 추출방법에 따른 차이를 발견할 수 있었으나 인지질외에는 그 차이가 심하지 않았다. 또한 쌀보리에서 추출한 결합지질의 주요 지방산은 linoleic acid와 palmitic acid로서 추출방법에 따른 지방산 조성의 큰 차이점은 없었으며, 특히 중성지질에서는 palmitic acid 함량이 $34.3{\sim}38.2%$, linoleic acid 함량이 $44.2{\sim}48.8%$였다.

  • PDF

잣지질 성분의 분획정량 및 각 획분의 지방산 조성 (Lipid Contents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Three Lipid Classes in Korean Pinenut)

  • 김명;이숙희;최홍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406-412
    • /
    • 1984
  • 잣(Pinus koraiensis S & Z)에서 얻은 총지질 성분을 silicic acid column chromatography에 의해 중성지질, 당지질, 인지질로 분획 정량하고, 다시 이 분획된 성분을 thin layer chromatography 로써 재분리시켜 구성성분들을 분별하고 scanner에서 정량하였으며, 각 획분별 지방산 조성을 gas chromatography로써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잣지질의 구성은 중성지질이 총지질의 $95.9{\sim}96.7%$, 당지질이 $2.5{\sim}3.2%$, 인지질이 $0.8{\sim}0.9%$였으며, 중성지질에서는 triglyceride(80.8%), diglyceride(6.3%), free fatty acid(5.2%), sterol(4.6%) ,sterol ester 및 hydrocarbon 등이 분별 정량되었으며, 이 중 triglyceride가 주된 물질이었다. 당지질에서는 monogalactosyl diglyceride 및 esterified sterylglycoside(23.5%), cerebroside 및 steryl glycoside(7.8%), digalactosyl diglyceride(2.3%) 등이 분별정량되였고, 인지질의 획분에서는 phosphatidyl cho-line(40.2%), phosphatidyl ethanolamine(19.4%), phosphatidyl inositol(7.3%), lysophosphatidyl choline(5.8%), phosphatidyl serine(2.6%) 등이 분별 정량되었다. 2) 각 분획된 지질의 지방산 조성은 중성지질의 경우 linoleic acid(48.7%), oleic acid(28.8%), arachidic acid(14.4%), palmitic acid(5.7%), stearicacid(1.84%), linolenic acid(0.7%), myristic acid(0.1% 이하), lauric acid(0.1% 이하) 등이 분리 정량되었으며, 당지질과 인지질에서도 linoleic acid, oleic acid등이 주성분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그러나 인지질의 경우 palmitic acid(17.7%)와 stearic acid(6.0%)의 함량이 다른 지질획분에 비해 다소 많았다.

  • PDF

인체적혈구막(人體赤血球膜) 안정화(安定化)에 미치는 인지질(燐脂質)의 영향(影響) (The Stabilizing Effects of Phospholipids on the Human Erythrocyte Membranes)

  • 김용기;김재백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11권2호
    • /
    • pp.1-10
    • /
    • 1981
  • Phospholipids were examined for their capacity to protect human erythrocytes against hemolysis induced by hypotonic solution, p-hydroxymercuribenzoate or hematin.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Phosphatidyl choline, lysophosphatidyl choline and phophatidyl ethanoleamine as well as chlorpromazine prevented the osmotic hemolysis of human erythrocytes which occurred due to water influx into erythrocytes from medium, but showed no effect on hematin-induced hemolysis which occurred without the volume change of erythrocytes. 2. Human erythrocytes were found to be most sensitive to the antihemolytic action of phospholipids among mammalian erythrocytes from sheep, rabbit, rat and mouse. 3. Phospholipids at the concentrations showing their strong antihemolytic effect on human erythrocytes against osmotic hemolysis had no influence on methylene blue uptake and volume change of erythrocytes in hypotonic solution. 4. Phospholipids increased erythrocyte deformability 2 to 3 times over control group and there was a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ir antihemolytic action and increase of deformability as a function of their concentrations. 5. The phospholipids increased the resistance to osmotic hemolysis of human erythrocytes by increasing membrane elasticity through their incorporation into lipid bilayer without altering glucose metabolism and water influx to erythrocyt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