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w salt fermentation

검색결과 156건 처리시간 0.029초

발효숙성온도를 달리한 갓 김치의 저장중 이화학적 특성 변화 (Effect of Fermentation Temperature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Mustard Leaf(Brassica juncea) Kimchi during Various Storage Days)

  • 박삼수;장명숙;이규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752-757
    • /
    • 1995
  • 발효숙성 온도를 달리한 돌산 갓 김치의 저장 중 pH, 산도, 염도, 색도, 비타민 C 등의 이화학적 특성을 알아 보았다. 발효숙성 방법으로는 $4^{\circ}C(A),\;20^{\circ}C(B),\;20^{\circ}C$에서 12시간 숙성시킨 후 $4^{\circ}C$에 저장하는 방법(C), $20^{\circ}C$에서 36시간 숙성시킨 후 $4^{\circ}C$에 저장하는 방법(D)으로 하였다. 돌산 갓 김치 담금 직후의 pH는 5.24이었고, $20^{\circ}C$에서 12시간과 36시간 숙성시킨 후 $4^{\circ}C$에 저장된 C, D군에서 각각 pH 5.13, pH 5.10으로 A군 보다 모두 낮았으며 B군에서는 급속하게 변화하였다. 갓 김치의 적숙기라 할 수 있는 pH 4.6~4.8이 되는 시기는 A군이발효 78~96일, B군은 6~9일, 그리고 C, D군은 모두 68~88일로 같게 나타났다. 총산 함량에 있어서는 담금 직후 0.5%이었고, C, D군은 모두 0.6%으로 A군의 0.5%보다 모두 높게 나타났다. 또한 pH 4.6~4.8이 되는 시기의 총산 함량에 있어서 A군은 0.75~0.82%, B군은 0.65~0.70%, C군은 0.80~0.81%, D군 0.82~0.84%이었다. 갓 김치의 염도는 $20^{\circ}C$인 B군에서 증가폭이 컸고, 다음으로 D > A > C 순으로 나타났다. 도는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L, a값은 증가했다가 다시 감소하였고 b값은 증가하였다. 특히 B군에서 L값이 적숙기에 증가하여 밝아지는 현상을 나타내었으나, 최종 김치의 색은 C > D > A > B 순으로 좋게 나타났다. 발효숙성일수가 경과함에 따라 총 비타민 C 함량은 9.0~14.0mg%까지 감소하였으며 적숙기에 가서 22.0mg%로 다소 증가 하다가 후기에 서서히 감소하였다. A군은 완만한 감소(25~22 %)를 보인 반면 B군은 다소 감소폭(25~7.0mg%)이 컸다. 발효 후기의 총 비타민 C 보유량에는 A > D > C > B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 PDF

Screening and Characterization of Potential Bacillus Starter Cultures for Fermenting Low-Salt Soybean Paste (Doenjang)

  • Jeon, Hye Hee;Jung, Ji Young;Chun, Byung-Hee;Kim, Myoung-Dong;Baek, Seong Yeol;Moon, Ji Young;Yeo, Soo-Hwan;Jeon, Che Ok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6권4호
    • /
    • pp.666-674
    • /
    • 2016
  • The bacterial strains were screened as potential starters for fermenting low-salt doenjang (a Korean traditional fermented soybean paste) using Korean doenjang based on proteolytic and antipathogenic activities under 6.5-7.5% NaCl conditions. Phylogenetic analysis based on 16S rRNA gene sequences showed that they all belonged to the genus Bacillus. Proteolytic and antipathogenic activities against Escherichia coli, Bacillus cereus, Staphylococcus aureus, Listeria monocytogenes, and Aspergillus flavus, as well as fibrinolytic, amylase, and cellulase activities of the 10 strains were quantitatively evaluated. Of these, strains D2-2, JJ-D34, and D12-5 were selected, based on their activities. The functional, phenotypic, and safety-related characteristics of these three strains were additionally investigated and strains D2-2 and D12-5, which lacked antibiotic resistance, were finally selected. Strains D2-2 and D12-5 produced poly-γ-glutamic acid and showed various enzyme activities, including α-glucosidase and β-glucosidase. Growth properties of strains D2-2 and D12-5 included wide temperature and pH ranges, growth in up to 16% NaCl, and weak anaerobic growth, suggesting that they facilitate low-salt doenjang fermentation. Strains D2-2 and D12-5 were not hemolytic, carried no toxin genes, and did not produce biogenic amin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strains D2-2 and D12-5 can serve as appropriate starter cultures for fermenting low-salt doenjang with high quality and safety.

Koji를 이용한 멸치젓 숙성중 휘발성 향기성분의 변화에 관한 연구 (Changes of Volatile Flavor Compounds in Low-Salt-Fermented Anchovy Paste by Adding Koji)

  • Yong-Jun Cha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481-489
    • /
    • 1994
  • Koji를 첨가한 저식염 멸치젖의 숙성 중 휘발성 향기성분의 변화를 대조구와 분석 비교하였다. 총 106개의 휘발성 성분이 검출되었는데 이 중에서 79개의 화합물은 표준품으로 확인 동정되었다. 이들은 주로 alde-hyde, ketone, alcohol, ester, aromatic hydrocarbon, furan 및 nitrogen-containing화합물로 구성되어 있었다. 숙성 중 두시료에서 aldehyde 및 ester류의 화합물의 종류와 함량이 가장 많았다. 특히 koji를 첨가한 멸치젓에서는 대조구에서는 검출되지 않은 2,6-dimethylpyrazine, 2-ethyl-6-methylpyrazine, trimethylpyrazine, 2-ethyl-3,5-dimethylpyrazine 및 tetramethylpyrazine 2-phenylethanol도 검출되었다.

  • PDF

젓갈 및 젓갈 대용 부재료가 김치의 숙성 중 Angiotensin 전환효소 저해작용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alted-Fermented Fish Products and Their Alternatives on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Inhibitory Activity of Kimchi During Fermentation)

  • 박덕천;박재홍;구연숙;한진희;변대석;김은미;김영명;김선봉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920-927
    • /
    • 2000
  • 김치제조에 널리 쓰이는 젓갈류 즉, 멸치젓갈(액젓, 저염 액젓, 육젓), 새우젓갈 및 저염 까나리액젓과 젓갈 대용물로서 굴 가수분해물, 명태육 가수분해물 및 청각추출물을 첨가하여 제조한 김치를 $20^{\circ}C,\;10^{\circ}C$$4^{\circ}C$에서 각각 숙성시키면서 숙성에 따른 아미노질소의 함량과 ACE 저해효과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젓갈류 첨가구의 경우, 아미노질소의 함량과 ACE 저해효과는 모든 숙성온도에서 숙성됨에 따라 어느 정도 증가한 후 대체로 일정한 수준을 유지하는,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젓갈 대용물 첨가구의 경우, 아미노질소는 모든 숙성온도에서 각 시험구별 숙성에 따른 큰 변화 없이 $400{\sim}600\;mg/100\;g$의 함량을 보였으며 ACE 저해효과는 숙성 초기인 $1{\sim}2$일 사이에 급격한 상승 후 완만히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첨가된 젓갈 및 젓갈 대용물 중에서는 저염 멸치액젓 첨가구가 모든 숙성온도에서 아미노 질소의 함량(>600 mg/100 g)과 ACE 저해효과 (>80%)가 비교적 높았다. 그러나, 젓갈 대용물도 ACE 저해효과 면에서 젓갈류에 못지 않은 좋은 효과를 보임으로써 ACE 저해 기능성 김치용 조미소재로 젓갈류와 함께 이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저식염 오징어 식해의 생리활성 및 유통기한 설정 (The Biofunctional Activities and Shelf-life of Low-salt Squid Sikhae)

  • 조원일;김상무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61-68
    • /
    • 2012
  • 본 연구는 전통적인 발효식품인 식해에 대하여 염농도에 따른 발효기간별 품질특성, 발효 최적조건 및 유통기한 설정, 발효 최적조건에서의 생리활성을 측정하여 우리 전통식품인 식해를 저염화하고 생산 보급함과 동시에 이에 대한 과학적 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본 연구에서 제조한 오징어 식해는 발효기간에 경과함에 따라 염농도가 낮고 온도가 높을수록 pH는 급격하게 감소하였으며, 아미노질소 및 휘발성 염기질소의 함량은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발효최적조건은 5% 염농도의 식해를 $-1^{\circ}C$에서 53일간 발효한 것이었고 유통기한은 염농도 5%의 식해를 $-1^{\circ}C$에서 142일간 저장한 것이었다. 식해는 DPPH 저해활성이 확인되어 항산화 효과가 있으나, hydrolxyl 및 hydrogen peroxide radical 소거능, 항당뇨, 항대장암 및 주름제거 활성은 낮아 기능성 소재로의 활용은 보충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유리아미노산의 조성은 정미 아미노산이 고미 아미노산보다 많아 맛에서 우수하였으며, 시판중인 다른 수산발효식품과 관능적으로 큰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를 고려할 때 $-1^{\circ}C$의 저온에서 식염 5%로 식해를 저염화 시킨다면 현대인의 식기호에 적합한 식품으로 영양학적 측면이나 시장성 측면에서 큰 효과를 낼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알코올 첨가에 의한 저식염 고추장의 양조 (Trial Manufacture of Low-Salted Kochuzang(Red Pepper Soybean Paste) by the Addition of Alcohol)

  • 이갑상;김동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46-154
    • /
    • 1985
  • 사입시에 고추장 중량에 대해 4%(V/W)의 알코올을 첨가하여 무염 및 저식염의 고추장을 만들고, 그의 품질적 특징을 해석했다. 효소(${\alpha}$, ${\beta}$-amylase 및 protease)의 역가는 알코올 첨가시 식염농도가 낮은구에서 활성이 높았다. 수분은 각 시험구간에 큰차이가 없으며, 식염은 알코올 첨가구에서 숙성후기에 약간 높았다. 총당과 pH의 변화는 알코올 무첨가와 식염농도가 낮을수록 심하였으며, 적정산도는 알코올 무첨가시 현저히 증가하였으며, 식염농포가 낮은구는 담금초기에 급격히 증가하였다. 환원당은 알코올 첨가구에서 현저히 증가하였고 식염농도가 낮을수록 적게 증가하였다. 알코올 함량은 알코올 첨가시 큰변화는 없으나 알코올 무첨가구는 증가하여 2% 내외에 달하며, 식염농도가 낮은구에서 알코올 생성이 많았다. 총질소량은 큰 변화가 없으나, $NH_2$-N와 $NH_3$-N는 알코올 첨가구에 비하여 무첨가구에서 높고 식염량이 낮을수록 많았다. 고추장 숙성후 맛, 향기, 색 모두 알코올 첨가구가 우수하였고, 이때 식염농도는 대조구의 60%(고추장중에 5.1%)이었다. 따라서 감염고추장 제조시 알코올 첨가가 바람직하다고 본다.

  • PDF

저식염수산발효식품의 가공에 관한 연구 5. 저식염멸치젓 및 조기젓의 가공조건 (Studies on the Processing of Low Salt Fermented. Sea Foods 5. Processing Conditions of Low Salt Fermented Anchovy and Yellow Corvenia)

  • 차용준;이응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06-213
    • /
    • 1985
  •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수산발효식품 젓갈은 제조시에 첨가되는 식염의 양이 $20\%$ 전후이므로, 최근에는 이러한 식염의 과다섭취가 성인병을 유발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식염섭취량을 줄이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식염함량이 낮은 저식염젓갈의 제조와 품질개선을 목적으로 식염의 일부를 KCl로 대체하여 저식염멸치젓과 조기젓을 담그어 재래식젓갈($20\%$ 식염함량)과 숙성중의 화학성분을 비교분석하여 저식염젓의 가공조건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멸치젓은 숙성 60일경에, 조기젓은 숙성 90일경에 완전히 익었으며 관능검사결과, KCl을 식염의 $50\%$까지 대체하여 담근 젓은 재래식젓갈에 비해 별손색이 없었으며, 멸치젓 및 조기젓 모두 식염 $4\%$, KCl $4\%$, lactic acid $0.5\%$, sorbitol $6\%$ 및 고추가루 알코올추출물 $4\%$(W/V)를 첨가하여 담근 젓의 품질이 가장 좋았으며 숙성 120일까지도 맛이 좋았다. 그리고 TBA 실험결과, 고추가루 추출물의 항산화성도 확인되었다.

  • PDF

Genomic Insights of Weissella jogaejeotgali FOL01 Reveals Its Food Fermentation Ability and Human Gut Adaptive Potential for Probiotic Applications in Food Industries

  • Ku, Hye-Jin;Kim, You-Tae;Lee, Ju-Hoo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7권5호
    • /
    • pp.943-946
    • /
    • 2017
  • Although the genus Leuconostoc, generally found in various fermented foods, has often been suggested to be a novel probiotic for food fermentation and health promotion, the strains in this genus showed low acid tolerance and low osmotic stress resistance activities, which are required for survival during food fermentation events. Recently, a novel species of Weissella, W. jogaejeotgali $FOL01^T$ (= KCCM 43128 = JCM 30580), was isolated from Korean fermented clams. To determine the genomic features of this new species, its genome was completely sequenced and analyzed. The genome consists of a circular chromosome of 2,114,163 bp of DNA with a G+C content of 38.8%, and the plasmid pFOL01 consists of 35,382 bp of DNA with a G+C content of 39.1%. The genome analysis showed its potential for use in food fermentation and osmotic stress resistance abilities for processing in food industries. In addition, this strain was predicted to have acid tolerance and adhesion to the mucosal layer for survival and colonization in the gut. Subsequent experiments substantiated these abilities, suggesting that W. jogaejeotgali may have probiotic potential and a high survival rate during food fermentation. Therefore, it may be suitable as a novel probiotic strain for various applications in food industries.

Sulfite 염에 의한 저염 명란젓의 보존 효과 (The Effects of Sulfite Salts on the Shelf-life of Low-salted Myungranjeot (Soused Roe of Alaska Pollack))

  • 김상무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940-946
    • /
    • 1996
  • 저염 명란젓에 sulfite 염을 첨가하여 숙성 중에 일어나는 여러 가지 화학적 및 미생물 변화를 측정하여 저염 젓갈의 shelf-life에 미치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Bisulfite 및 metasulfite 명란젓은 숙성초기에 pH가 급격하게 감소하였다가 그 후 서서히 감소하였으며 젖산 생성량도 증가하였다. 숙성이 진행됨에 따라 아미노태 질소량은 감소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metasulfite 명란젓이 가장 높은 생성량을 나타내었다. Bisulfite와 metasulfite의 첨가는 숙성 후기의 VBN 및 TMA 생성 억제에 효과적이었으며, 숙성 초기의 TBA 생성을 억제하였다. Bisulfite 및 metasulfite는 fungi를 포함한 미생물의 성장을 현저하게 저해하였다. Sulfite 염 첨가시의 추정되는 shelf-life는 대조군, sulfate, bisulfite및 metasulfite인 경우 각각 16, 14, 20 및 24일이었다.

  • PDF

대구횟대(Gymnocanthus herzensteini)를 이용한 식해 개발 (Development of Black Edged Sculpin Gymnocanthus herzensteini Sik-hae)

  • 조원일;김상무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328-336
    • /
    • 2012
  • Sik-hae is traditional Korean fermented seafood manufactured by mixing ingredients such as fish, radish, garlic, pepper, etc. To facilitate utilization of the black-edged sculpin Gymnocanthus herzensteini, which is an abundant unusable fish caught in the East Sea, sculpin sik-hae was developed for commercialization as a low-salt fermented food.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the proximate composition of the sculpin sik-hae during storage. The pH of the sculpin sik-hae decreased, whereas the acidity, amino-N, and volatile basic nitrogen contents increased as fermentation progressed. The number of microflora increased gradually up to 14 days of fermentation and then decreased. Based on a sensory evaluation, sculpin sik-hae stored at $-1^{\circ}C$ was superior to that stored at $5^{\circ}C$. Therefore, sculpin sik-hae can be commercialized as a new fermented seafo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