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cust bean gum

검색결과 83건 처리시간 0.026초

Heterologous Expression of a Thermostable α-Galactosidase from Parageobacillus thermoglucosidasius Isolated from the Lignocellulolytic Microbial Consortium TMC7

  • Wang, Yi;Wang, Chen;Chen, Yonglun;Cui, MingYu;Wang, Qiong;Guo, Pe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2권6호
    • /
    • pp.749-760
    • /
    • 2022
  • α-Galactosidase is a debranching enzyme widely used in the food, feed, paper, and pharmaceuticals industries and plays an important role in hemicellulose degradation. Here, T26, an aerobic bacterial strain with thermostable α-galactosidase activity, was isolated from laboratory-preserved lignocellulolytic microbial consortium TMC7, and identified as Parageobacillus thermoglucosidasius. The α-galactosidase, called T26GAL and derived from the T26 culture supernatant, exhibited a maximum enzyme activity of 0.4976 IU/ml when cultured at 60℃ and 180 rpm for 2 days. Bioinformatics analysis revealed that the α-galactosidase T26GAL belongs to the GH36 family. Subsequently, the pET-26 vector was used for the heterologous expression of the T26 α-galactosidase gene in Escherichia coli BL21 (DE3). The optimum pH for α-galactosidase T26GAL was determined to be 8.0, while the optimum temperature was 60℃. In addition, T26GAL demonstrated a remarkable thermostability with more than 93% enzyme activity, even at a high temperature of 90℃. Furthermore, Ca2+ and Mg2+ promoted the activity of T26GAL while Zn2+ and Cu2+ inhibited it. The substrate specificity studies revealed that T26GAL efficiently degraded raffinose, stachyose, and guar gum, but not locust bean gum. This study thus facilitated the discovery of an effective heat-resistant α-galactosidase with potent industrial application. Meanwhile, as part of our research on lignocellulose degradation by a microbial consortium, the present work provides an important basis for encouraging further investigation into this enzyme complex.

아밀로펙틴 함량 변화와 하이드로콜로이드 첨가에 의한 밀가루 반죽 및 국수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Wheat Flour Dough and Noodles with Amylopectin Content and Hydrocolloids)

  • 조영화;심재용;이현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38-145
    • /
    • 2007
  • 총 글루텐 함량을 일정하게 조절하고 amylopectin의 함량을 증가시키며 galactomannan인 LBG와 Guar의 첨가에 따른 반죽 및 제면 특성 변화를 보고자 RVA에 의한 호화특성, farinograph에 의한 반죽형성능, 냉 ${\cdot}$ 해동 안정성, 조리면의 중량, 부피, 탁도, 색도, 조직감, 신장도, 신장력 및 조리면의 관능검사를 측정하였다. Amylopectin 함량이 증가할수록 LBG와 Guar 첨가유무에 관계없이 호화개시온도는 다소 감소하였으며 최종점도와 setback 점도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breakdown 점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반죽형성능 측정에서 모든 실험군에서 amylopectin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수분흡수율은 증가하고 연화도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LBG와 Guar를 첨가하였을 때 수분흡수율과 안정도는 다소 증가하였으나 연화도는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냉 ${\cdot}$ 해동 안정성은 amylopectin 함량이 증가할수록 모든 군에서 개선되었고 LBG와 Guar의 첨가는 냉 ${\cdot}$ 해동 안정성을 개선시키는 효과를 가져왔다. 조리면의 조직감은 견고성의 감소와 탄성과 응집성의 증가를 보여 amylopectin 함량이 증가할수록 제면 특성이 좋아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신장도는 amylopectin 함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또한 LBG와 Guar의 첨가는 amylopectin의 함량이 적은 시료에서 기호도의 증가를 보였으나 전반적으로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위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밀가루에 amylopectin 함량을 증가시키거나 LBG와 Guar를 첨가함으로서 냉 ${\cdot}$ 해동 안정성과 기호도를 향상시키므로 냉동식품 혹은 냉동저장이 필요한 밀가루 식품 제조에 기초 자료로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외한 모든 버섯 균사체에서 착즙박보다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마우스를 이용한 동물실험에서도 뚜렷한 혈당강하효과를 나타내어 인슐린 민감성 제재로 개발 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 주었다.균은 $0.9{\sim}2.6%$이었으며, 8종류 약제에 저항성인 균도 1.7%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국내에서 분리된 M. pneumoniae 균주는 적게는 1-4 종류의 항생제에, 많게는 5-8 종류의 항생제에 저항성인 균주가 있으므로 마이코플라스마폐렴 환자를 치료할때는 macrolide계나 quinolone계의 항생제 선택에 신중을 기하여야 하며, 가급적이면 항생제 감수성 검사를 실시하여 적절한 항생제를 선택함으로써 저항성균의 출현율을 줄일 수 있고 효율적인 치료도 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이어트에도 도움이 되리라 생각한다. 56.3%, 엽산 81.3% 등으로 높게 나타나 근로자들의 영양 문제가 심각함을 알 수 있다.혁신지방분권위원회에서 제시한 자치경찰제도(안)을 중심으로 자치경찰제도 운용의 목적 충족과 실질적인 효과의 측면에서 분석하고 바람직한 자치경찰제도의 운용에 대해 살펴본다.rc}C$ 이내에서 높을수록, 염분은 20-35 psu 이내에서 높을수록 잠입률이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교수학습모형에 관련된 지식을 묻는 내용으로 주로 출제되었다. 이에 구체적인 개선방안으로 특정 교수학습모형의 이론적 토대가 되고 전체적인 교수설계를 하기 위한 기본 바탕이 될 수 있는 교수학습이론에 관한 내용, 또한 현재가정과교육에 있어서 유용한 교수학습법이라고 입증되고 있는 실천적 추론 가정과 수업에 관한 내용으로의 확대를 제안하였다. 가정과교육평가 문항의 출제는 대다수의 문항이 수행평가에 관한 문항내용으로 출제되었다. 이에 구체적인 개선방안으로 문항의 변별도 여부의 판단, 평가문항의 내용 타당도 분석, 평가결과를 해석하는 능력, 평가자의 철학적 관점과 같은 내용으로의 확대를

녹차 theanine을 이용한 젤리 제조 및 품질특성 조사 (Production of green tea jelly using theanine and its physiochemical characterization)

  • 김성경;정하나;임애은;양광열;최용수;남승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3권5호
    • /
    • pp.553-560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저온진공조건에서 추출 시간과 농도에 따른 녹차 열수추출조건을 최적화한 후 HP-20 column으로 caffeine을 제거한 녹차 추출물을 이용해 theanine 함유 기능성 젤리를 제조하였다. 또한, theanine 함유 젤리의 품질 특성, 제형안정성 및 항산화 효과, AChE 억제능을 조사하였다. 최적추출조건은 8% 녹차 분말을 2시간 추출하여 theanine 0.95 mg/mL, GABA 0.28 mg/mL, caffeine 1.45 mg/mL 추출액을 HP-20 column을 이용해 80% 에탄올로 카페인을 제거하였다. 3종의 겔화제와 농도별로 4종의 theanine 추출물 S1-S4(10-50%)을 제조해 품질 특성을 조사한 결과, 젤리에 theanine 추출물이 많을수록 L값과 b값이 증가하였다. 젤리의 물리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3가지 겔화제 중 타마린드검, 잔탄검, 로거스트콩검(2:3:5=w/w/w)을 조합한 겔화제 III이 경도와 점착성이 낮고 탄력성이 높아 조직감이 가장 뛰어났다. 제형안정성 조사 시, 35%가 첨가된 S3가 이수율 25.88%과 붕괴율 1.31%로 우수한 제형안정성을 나타냈다. 또한 theanine 함유 젤리는 95℃, 30분간 가열조건에도 theanine과 GABA 성분이 파괴되지 않고 대부분 잔존하는 것을 TLC와 LC-MS 분석을 통해 확인했다. Theanine 추출물의 농도가 높을수록 DPPH radical 소거능은 증가하며, S4(50%)는 0.075 mg/mL ascorbic acid 수준과 유사한 항산화력을 나타냈다. AChE 저해 효과는 S3(35%)가 가장 높았으며 이는 donepezil 2.5 μM과 동일한 수준의 AChE 저해 활성을 나타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녹차 추출물에서 caffeine을 제거한 theanine 추출물로 기능성 젤리를 제조하였으며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Bacillus amyloliquefaciens 분리균의 Mannanase 생산성과 효소특성 (Production and Properties of Mannanase by a Bacillus amyloliquefaciens Isolate)

  • 윤기홍
    • 미생물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158-163
    • /
    • 2014
  • 된장으로부터 mannanase 생산균으로 산성 배지에서 분리된 YB-1402는 그람양성 간균으로 포자를 형성하며, 16S rDNA 염기서열과 생화학적 성질이 Bacillus amyloliquefaciens와 가장 높은 유사도를 보였다. 분리균 YB-1402는 konjac을 3% 첨가한 LB 액체배지에서 약 150 U/ml의 최대 mannanase 생산성을 보였다. 분리균의 배양상등액을 사용하여 SDS-PAGE 활성염색을 실시한 결과 분자량이 약 38 kDa로 추정되는 한 종류의 mannanase만이 관찰되었으며, $55^{\circ}C$와 pH 5.5 반응조건에서 mannanase의 최대활성을 보였다. 특히 mannanase는 pH 3.0-10의 범위에서 1시간 방치하였을 때 실활되지 않은 특성을 지니고 있었다. Locust bean gum과 mannooligosaccharides를 mannanase로 분해하였을 때 mannose, mannobiose와 mannotriose가 최종 분해산물로 관찰되었으며 mannotriose 이상의 중합도를 갖는 mannooligosaccharides를 분해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Gene Cloning, Express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Novel ${\beta}$-Mannanase from Bacillus circulans CGMCC 1416

  • Li, Yanan;Yang, Peilong;Meng, Kun;Wang, Yaru;Luo, Huiying;Wu, Ningfeng;Fan, Yuliu;Yao, Bi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8권1호
    • /
    • pp.160-166
    • /
    • 2008
  • A DNA fragment containing 2,079 base pairs from Bacillus circulans CGMCC 1416 was cloned using degenerate PCR and inverse PCR. An open reading frame containing 981 bp was identified that encoding 326 amino acids residues, including a putative signal peptide of 31 residues. The deduced amino acid sequence showed the highest identity (68.1%) with $endo-{\beta}-1,4-D-mannanase$ from Bacillus circulans strain K-1 of the glycoside hydrolase family 5 (GH5). The sequence encoding the mature protein was cloned into the pET-22b(+) vector and expressed in Escherichia coli as a recombinant fusion protein containing an N-terminal hexahistidine sequence. The fusion protein was purified by $Ni^{2+}$ affinity chromatography and its hexahistidine tag cleaved to yield a 31-kDa ${\beta}$-mannanase having a specific activity of 481.55U/mg. The optimal activity of the purified protein, MANB48, was at $58^{\circ}C$ and pH 7.6. The hydrolysis product on substrate locust bean gum included a monosaccharide and mainly oligosaccharides. The recombinant MANB48 may be of potential use in the feed industry.

Bacillus subtilis WL-8의 Mannanase 유전자 클로닝과 특성분석 (Cloning and Characterization of Mannanase Gene from Bacillus subtilis WL-8)

  • 윤기홍
    • 미생물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207-212
    • /
    • 2010
  • 전통 발효식품인 된장으로부터 mannanase의 생산균으로 분리된 WL-8 균주는 형태적 특성, 생화학적 성질 및 16S rRNA의 염기서열에 근거하여 Bacillus subtilis로 동정되었다. B. subtilis WL-8은 locust bean gum 보다는 밀기울이 첨가된 LB 배지에서 mannanase 생산성이 높았으며, 24시간 배양하였을 때 약 20 U/ml에 이르렀다. 분리균 WL-8의 mannanase 유전자를 클로닝하여 그 염기서열을 결정한 결과 mannanase 유전자는 362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단백질을 코드하며 1,086 뉴클레오티드로 이루어졌다. 아미노산 잔기배열을 분석한 결과 WL-8의 mannanase는 GH family 26에 속하며 B. subtilis의 mannanases와 매우 상동성이 높았다. B. subtilis WL-8의 mannanase 유전자를 함유한 재조합 대장균의 배양상등액과 균체파쇄상등액을 사용하여 반응특성을 조사한 결과 pH 5.5와 $60^{\circ}C$에서 최대 반응활성을 보였으며, $60^{\circ}C$보다 높은 온도에서 배양상등액보다는 균체파쇄상등액에 존재하는 mannanase가 더 높은 활성을 보였다.

An ${\beta}$-1,4-Xylanase with Exo-Enzyme Activity Produced by Paenibacillus xylanilyticus KJ-03 and Its Cloning and Characterization

  • Park, Dong-Ju;Lee, Yong-Suk;Chang, Jie;Fang, Shu-Jun;Choi, Yong-Lark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3권3호
    • /
    • pp.397-404
    • /
    • 2013
  • Paenibacillus xylanilyticus KJ-03 was isolated from soil samples obtained from a field with Amorphophallus konjac plants. A gene encoding xylanase was isolated from KJ-03 and cloned using a fosmid library. The xynA gene encodes xylanase; it consists of 1,035 bp and encodes 345 amino acids. The amino acid sequence deduced from the P. xylanilyticus KJ-03 xylanase showed 81% and 69% identities with those deduced from the P. polymyxa E681 and Paenibacillus sp. HPL-001 xylanases, respectively. The xynA gene comprises a single domain, consisting of a catalytic domain of the glycosyl hydrolase (GH) 10 family. The xynA gene was expressed in Escherichia coli BL21 (trxB), and the recombinant xylanase was purified by Niaffinity chromatography. The purified xylanase showed optimum activity with birchwood xylan as a substrate at $40^{\circ}C$ and pH 7.4. Treatment with $Mg^{2+}$ and $Li^+$ showed a slight decrease in XynA activity; however, treatment with 5 mM $Cu^{2+}$ completely inhibited its activity. The results of the thin layer chromatography analysis indicated that the major hydrolysis product was xylobiose and small amounts of xylose and xylotriose. XynA showed increased activity with oat spelt xylan and birchwood xylan, but showed only slight activity with locust bean gum.

키위 첨가량에 따른 다당류 혼합겔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Mixed Polysaccharide Gels with Various Kiwifruit Contents)

  • 윤혜신;오명숙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511-520
    • /
    • 2003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effects of various contents of kiwifruit contents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mixed polysaccharide gels made from $\kappa$-carrageenan and locust bean gum. The color value, gelling temperature, melting temperature, break down rate, syneresis, rupture properties, TPA properties and sensory properties of mixed polysaccharide gels with various contents of kiwifruit contents were measured. As the kiwifruit contents was increased, the lightness (L), yellowness (b) and greenness (-a) of the mixed polysaccharide gels increased.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color values of gels during storage. As the kiwifruit content was increased, the gelling and melting temperatures of the mixed polysaccharide gels also increased. The mixed polysaccharide gels with high kiwifruit contents were difficult to melt, and it seemed that the addition of kiwifruit to the mixed polysaccharide gels could improve the thennal stability of the gels. The syneresis of the gel increased with increasing storage time, whereas the addition of kiwifruit to the gel resulted in suppression of syneresis. With regard to the rupture properties, stress, energy and strain, they were all decreased with increasing kiwifruit contents. The TPA properties, adhesiveness, hardness and chewiness increased and cohesiveness decreased with increasing kiwifruit conten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gel became tough and adhesive, and could be easily broken under small deformation, with increasing kiwifruit contents. The sensory evaluation showed that the green color, aroma, sweetness and sourness increased with increasing kiwifruit contents. The texture, adhesiveness, springiness and cohesiveness decreased, and brittleness and hardness increased, with increasing kiwifruit contents. The overall acceptability of the gel with 30% kiwifruit content was the highest. Thus, mixed polysaccharide gels made from kiwifruits could be useful, as the addition of kiwifruit to a mixed polysaccharide gel results in a good aroma, taste and stability, despite a lowering of the textural properties.

Galactomannan 이용에 관한 연구;Affinity Chromatography법에 의한 해바라기씨 유래 $\alpha$-Galactosidase의 정제 및 성질 (Purification and Properties of Sunflower Seed $\alpha$-Galactosidase by Affinity Chromatography.)

  • 박귀근;김욱동;박영서;강종백;소림수행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16-322
    • /
    • 1998
  • N-$\varepsilon$-aminocaproyl-$\alpha$-D-galactopyranosylamine-sepharose를 담체로 하는 affinity chromatography에 의한 해바라기씨 유래 $\alpha$-galactosidase($\alpha$-D-galactoside galactohydrolase EC 3. 2. 1. 22)의 정제방법과 정제효소에 대한 효소화학적 성질을 규명하였다. N-$\varepsilon$-aminocaproyl-$\alpha$-D-galactopyranosylamine의 흡착제를 합성하여 sepharose에 coupling하였다. 기질 p-nitrophenyl $\alpha$-D-galactopyranoside에 대한 정제효소의 비활성은 291.66 units/mg였고, 조효소와 비교하여 115배의 정제 배율을 나타내었다. 정제효소의 순도는 SDS-polyacryl amide gel전기 영동법 에 의해 단일 band를 나타내었으며, 분자량은 42,000으로 추정되었다. 정제효소의 최적 pH와 온도는 4.5, 55$^{\circ}C$이며, pH 4-5, 30-55$^{\circ}C$의 범위에서 pH와 온도 안정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정제효소는 Ag$^{2+}$, Hg$^{2+}$, CO$^{2+}$의 금속에 의해 70%이상의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정제효소는 melibiose, raffinose 및 copra galactomannan에 대한 galactose의 유리를 TLC에 의해 확인하였고, 각 기질에 대한 galactose의 가수분해 속도를 HPLC에 의해 비교하였다.

  • PDF

말 분변으로부터 mannanase를 분비하는 Bacillus amyloliquefaciens CS47의 분리 및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Mannanase Producing Bacillus amyloliquefaciens CS47 from Horse Feces)

  • 조수정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12호
    • /
    • pp.1724-1730
    • /
    • 2009
  • 진주산업대학교 농장에서 사육되고 있는 말에서 채취한 분변으로부터 mannanase 생성능이 우수한 균주를 분리하였으며 이를 CS47이라 명명하였다. 통성혐기성인 분리균 CS47의 최적 생육온도는 $38^{\circ}C$였으며 $20^{\circ}C$에서부터 $50^{\circ}C$까지 다양한 온도범위에서도 생육이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BIOLOG를 이용하여 분리균 CS47의 생화학적 특징을 분석한 결과, 분리균은 Bacillus amyloliquefaciens 균주와 유사한 특성을 나타내었으며 DNA G+C함량 (44mol%)도 B. amyloliquefaciens 균주의 범위(43.5-44.9)에 속하였다. 16S rDNA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에서도 분리균은 B. amyloliquefaciens FZB42 균주와 가장 높은 상동성을 나타내었으며 Bacillus속의 다른 균주들과는 93-98%의 상동성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분리균의 세포벽을 이루고 있는 주요 지방산[anteiso-15:0 (39.6%), 17:0 (7.6%), iso-15:0(37.8%)]은 Bacillus subtilis 균주와 유사한 특성을 나타내었다. 최종적으로 생화학적 특성과 16S rDNA 염기서열분석 결과를 근거로 하여 분리균 CS47은 Bacillus amyloliquefaciens CS47로 동정되었다. B. amyloliquefaciens CS47 균주가 분비하는 mannanase는 $50^{\circ}C$, pH 6.0에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