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cal governments

검색결과 1,893건 처리시간 0.027초

일본의 빈집대책 정책방향 조사 연구 - 사가현(佐賀縣) 사가시(佐賀市) 및 아리타초(有田町)를 중심으로 - (A Study on Japan's Policies on Vacant Houses - Based on Saga city and Arita cho in Saga prefecture -)

  • 박헌춘;박재엽;후등 륭태랑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9권2호
    • /
    • pp.1-8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olicy direction and execution plans of the Japanes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for the use of vacant houses after the enactment of the "Special Act on Vacant Houses." It also seeks to provide suggestions for establishing vacant house policies in Korea by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Japanese policies, and to suggest policy alternatives that can contribute to environmental improvement and regional revitalization through the use of vacant houses. For this purpose, we examined Japan's "Special Act on Vacant Houses," the process of establishing vacant house policies in the Japanes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and the contents and direction of these policies. Below 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the Japanese government revised mid to long-term policies related to housing after the enactment of the "Special Act on Vacant Houses", thereby providing ground for local governments to establish vacant house policies. Second, the government actively supported the operation and funding of related associations so that the private sector rather than the public sector could address vacant house problems. Third, the government subsidized administrative expenses such as cost of finding vacant house owners to prevent neglect of vacant houses, and showed its will to address vacant house problems by revising taxes such as property taxes and transfer income taxes. Fourth, the government has enacted distinct ordinances for each local government and made it possible to perform customized policies such as allowing residents and local stakeholders to participate in the establishment of vacant house policies. Fifth, the government made it possible to manage vacant houses efficiently by allowing the vacant house bank to provide all information related to the use of vacant houses. It is necessary for Korea's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to refer to these precedent cases and create efforts to reduce trial and error when establishing vacant house policies.

지방자치단체 캐릭터 분석 및 활용전략에 관한 연구 - 경기도 31개 시ㆍ군의 캐릭터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nalysis and Application Strategy of the Characters Developed by the Local Governments - Focused on the Characters of 31 Cities and Goons of Gyeonggi Province -)

  • 정현원;한광식
    • 디자인학연구
    • /
    • 제16권4호
    • /
    • pp.129-140
    • /
    • 2003
  • 문화콘텐츠산업(음악, 출판, 모바일, 영화, 비디오, 만화, 애니메이션, 캐릭터, 게임, 방송 등)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캐릭터 분야에서도 기존의 디자인 적인 관점에서만 바라보던 차원을 넘어서 하나의 독립된 브랜드로 그 가치가 인정되고 있으며, 나아가 21세기 문화산업을 주도할 산업의 주체로 주목받고 있다. 지방자치단체 캐릭터는 지역의 상징적 요소의 역할, 관광 및 홍보의 역할, 수익사업으로의 전개 등을 통하여 지역이미지의 구축은 물론 지역경제를 활성화하는데 도움을 주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아직까지의 지방자치단체 캐릭터의 활용은 지역을 홍보하는 정도의 매우 제한적인 초기단계에 머물러 있는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지방자치단체의 캐릭터 개발현황을 경기지역을 중심으로 파악$.$분석하고, 일본 지방자치단체의 캐릭터 개발 사례와 비교 분석하며, 장기적 안목에서의 캐릭터를 활용할 수 있는 전략에 대해서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지방자치단체 및 정부기관 관련 캐릭터 개발을 위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PDF

DEA를 이용한 교통사고 잦은 곳 개선사업 효율성 측정방안 연구 (A Study on Measuring Efficiency Improvement of Improvement Project at Black Spot by DEA)

  • 김형규;이수범;엄대룡;원동욱;신소명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141-148
    • /
    • 2017
  • Over the past 30 years, the business effects of the improvement project at black spot have been decreasing since 2010, with a reduction in the amount of government spending, coupled with proposing a uniform improvement plan. In order to promote more efficient improvement projects, it is necessary to evaluate the efficiency of local governments and improve the business methods of local governments with low efficiency. However, more sophisticated efficiency analysis methods are needed. Because in previous studies have been limited to the analysis of effects before and after the project through the simple before-after analysi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efficiency of improvement project at black spot by local governments in Gyeonggi-do using DEA to compare and analyze efficiency in various fields. As a result, Goyang, Seongnam, Paju, Hanam and Yangju showed high efficiency local governments. For local governmetns with low efficiency, the improvement projets to improve efficiency were divided into civil engineering work, structure work, pavement work, additional work and transportation work, and the appropriate construction ratios of each local government were analyzed and presented.

민관협력방식의 지자체 시민복지기준 제정 비교연구 (Comparative Study on Setting-up the Civil Welfare Standard through Public-Private Partnership in Local Governments)

  • 고은주;경승구;이용갑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605-618
    • /
    • 2019
  • 본 연구는 2012년 이후 10개 지방자치단체가 제정한 '시민복지기준'의 개념, 제정과정, 분야와 내용 및 이에 근거하여 독자적으로 실시하는 지역사회복지사업 등을 비교분석하여 다양한 지방자치단체들이 향후 시민복지기준을 제정할 경우 필요한 제정 방식과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먼저, 시민복지기준 개념을 시작부터 현재 우리나라에서의 이해를 역사적으로 분석하고, 10개 지자체가 제정한 시민복지기준의 개념을 분석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10개 지자체에서 지방자치제도와 주민참여라는 관점에서 실시된 민관협력방식의 시민복지기준 제정과정, 분야와 내용을 비교분석하였다. 이러한 비교분석을 통해 본 연구는 다른 지자체들이 시민복지기준을 제정할 경우 고려해야 하는 몇 가지 원칙들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지자체의 시민복지기준 제정은 달성하고자 하는 단기 최저기준과 중기 적정기준을 구분하여 이를 실현할 수 있는 구체적 사업을 개발하고, 사업을 실시하기 위한 예산지원도 필요한 시민사회단체, 연구기관, 지자체 집행부, 의회 등이 함께 해야 하는 중장기 민관협력 프로젝트라는 것을 인식하는 것을 지적하였다.

지방자치단체 기후변화 적응 거버넌스 변화 연구 - 기후변화 적응대책 세부시행계획 수립 단계와 이후를 중심으로 - (A Study on Change in Climate Change Adaptation Governance of Korean Local Governments - Focusing on the Process of Developing the Climate Change Adaptation Action Plan and Its Implementation Stage -)

  • 고재경
    • 한국기후변화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99-108
    • /
    • 2017
  •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features of adaptation governance of local governments by applying a multi-level governance framework, and to draw policy implications. We analyzed changes in governance of 17 metropolitan cities/provinces, and 33 municipalities in terms of horizontal and vertical cooperation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The Climate Change Adaptation Action Plan' and its implementation stage. The result shows that the plan contributed to the higher level of vertical cooperation between the central and the local governments to a certain extent, however, during the implementation stage, the level of the partnership decreased due to the absence of governance mechanism. These trend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the level of municipalities. The role of Korea Adaptation Center for Climate Change (KACCC) was also diminished after establishing the plan. The horizontal partnership level among the relevant departments of the local governments showed no significant change as the level was low even in the planning stage. Though Public-Private Partnership (PPP) has increased a bit, 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only in the municipalities. Moreover, there was no governance mechanism for PPP or it did not work properly. Based on the results above, it is recommended that the effectiveness of the plans should be increased and support for climate change partnerships or forums at a local level that promotes adaptive capacity is needed. The role of metropolitan cities and provinces should be strengthened through building a multi-level partnership structure. Governance institutionalizing for monitoring and evaluation is also needed.

Analysis of Designation and Symbolic Meanings of Floral Emblems in South Korea as Elements of Garden Tourism and Design

  • Kim, Inhea;Park, Jin-Sil;Choi, Kyoung-Ok
    • 인간식물환경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87-99
    • /
    • 202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current state and symbolic meanings of floral emblem designation in local governments of South Korea. The scope of local governments subject to analysis was limited to special city, metropolitan city, province, self-governing province, city, self-governing city, county and district based on their administrative divisions. The floral emblems of local governments and their symbolic meanings as of 2019 were examined. A total of 44 plant species were designated as floral emblems. Many plant species with high designation frequency were included in Rhododendron spp., Rosa spp., Camellia spp., Magnolia spp., and Prunus spp.. Plant species with higher designation frequency tended to have more symbolic meanings. A total of 155 terms were used for the symbolic meanings assigned to all the designated floral emblems. The major symbolic meanings were relevant to material affluence or economic growth, community spirit, and personality generally required from local residents. Most of the plant species linked to the top 10 most frequently assigned terms in symbolic meaning were those of the top 10 most frequently designated floral emblems. In the case of floral emblems with high designation frequency, it was shown that they were linked with various symbolic meanings in order to grant identity with regional distinctiveness and differentiation, regardless of the symbolic meaning that the designated flowers generally have. However, the floral emblems with low designation frequency seem to have relatively strong physical or emotional relevance with local governments and thus are expected to have high utilization in regional branding and tourism marketing.

Collaboration and Confucian Reflexivity in Local Energy Governance: The Case of Seoul's One Less Nuclear Power Plant Initiatives

  • Lee, Youhyun;Bae, Suho
    • Journal of Contemporary Eastern Asia
    • /
    • 제18권1호
    • /
    • pp.153-174
    • /
    • 2019
  • South Korea's energy policy has been historically established through an energy production structure that relies on thermal and nuclear power generation in relation to a centralized 'Hard Energy System'. However, climate change issues are forcing the transition to renewable energy, and it is crucial for local governments to enable this. This study analyses Seoul city's local energy governance, which is known as One Less Nuclear Power Plant Initiative, by applying the collaborative governance framework inspired by Ansell and Gash (2008) and the Reflexivity framework of Confucianism. It is considered that the local energy governance model of Seoul city can be used as a model by other local governments, and it will eventually lead to a decentralized energy system in this era of energy transition.

지방기록물관리기관 설립의 방향과 방법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the Local Government Archives: Recommendations)

  • 지수걸
    • 기록학연구
    • /
    • 제21호
    • /
    • pp.247-281
    • /
    • 2009
  • 16개 광역자치단체는 2006년 10월에 개정된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 따라 소관 기록물의 영구보존 및 관리를 위하여 영구기록물관리기관을 설치 운영해야 한다. 국가기록원은 위의 개정 법률에 따라 각각의 광역자치단체에, 2006년 말까지 기록물관리 전문요원을 배치하고, 2007년 말까지 지방기록물관리기관 설치 운영계획을 수립할 것을 지시했으나, 2009년이 한참 지난 현재까지도 제대로 된 지방기록관은 하나도 설립되지 않았다. 국가기록원이나 시도의 현장 실무자들은 인력과 예산이 문제라고 말한다. 그러나 이보다 더 큰 문제는 왜 지방기록물관리기관을 설립해야 하는지, 어떤 기능과 역할을 수행하는 기관을 설립해야 하는지, 기본적인 문제의식이 모호하다는 점이다. 이런 문제의식 가운데, 이 글에서는 먼저 '지방기록관리의 현황과 과제', '기록관 설립 추진 실태', '기록관 설립계획의 문제점 등을 개괄적으로 정리한 뒤, 제대로 된 '지방기록관' 설립을 위해 우리가 어떠한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인지, 그 대안을 제시해 보고자 노력했다. 이 글의 핵심요지는 첫째, 지방기록관을 설립하기 전에 각각의 광역자치단체는 분야별 전문요원을 선발함과 동시에 적절한 구성과 방식으로 '지방기록관리위원회'를 설립하여, (1) 지방기록관 설립 추진(최고 의사결정 기구) (2) 전문요원 양성 프로그램 운영 계획 수립 (3) 지방기록문화운동 활성화 계획 수립 (4) 지방기록관 운영에 관한 제반 사항 심의 결정 (5) 지역 사정 및 주민 요구에 부합하는 '장기발전계획' 수립 등의 업무를 수행해야 한다는 것, 둘째, 각 자치단체별로 보존서고나 시설 등을 따로 설립하는 것보다는 성남, 대전, 부산에 존재하는 권역별 서고와 시설을 공동으로 활용해야 한다는 것, 셋째, 설립 이후 각각의 지방기록물관리기관은 (1) 법령에 규정된 해당 지역의 통상적인 기록관리 업무 (2) 해당 지방에서 생산된 모든 보존기록물에 대한 실태조사와 구체적인 평가 업무 (3) 민간기록을 포함한 각종 의미있는 지방기록의 수집 및 정리, 공개 및 활용 업무(수집 및 활용계획 수립 업무) (4) 지방기록문화운동의 매개 혹은 후원 업무 등을 수행해야 한다는 것 등이다.

교육효율성 측면에서의 지방자치단체 간 교육격차의 비교·분석 : 자료포락분석(DEA) 기법의 적용 (An Analysis of the Educational Gap between Local Governments : An Application of Data Envelopment Analysis(DEA))

  • 김순양;윤기찬
    • 한국사회정책
    • /
    • 제19권2호
    • /
    • pp.99-136
    • /
    • 2012
  • 본 연구는 교육의 투입요소와 산출요소를 포괄적으로 고려할 수 있는 자료포락분석(DEA) 기법을 적용하여, 전국 250개 지방자치단체의 소재지별 및 규모별 교육격차를, 교육효율성의 측면에서 비교 분석해 보고자 하는 것이다. 분석을 위한 투입요소로는 교사1인당 학생수, 학급당 학생수, 직원1인당 학생수, 학생1인당 발전기금을 선정하였으며, 산출요소로는 대학진학률과 취업률을 선정하였다. 분석에 필요한 자료는 학교알리미를 통해서 수집하였으며, 대상학교는 대학진학률과 취업률을 산출요소로 사용하기 때문에 초등학교와 중학교는 제외하고 고등학교만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지방자치단체의 소재별로 수도권과 비수도권을 비교해 본 결과, 교사1인당 학생수, 학급당 학생수, 직원1인당 학생수 등 주요 투입요소의 측면에서 수도권 지방자치단체 관내 학교의 과밀도가 높게 나타났다. 반면에 산출요소인 대학진학률과 취업률은 비수도권 지방자치단체 관내 학교들이 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효율성 점수 역시 BCC모형과 CCR모형 모두에서 비수도권 지방자치단체 관내 학교들이 수도권 지방자치단체 관내 학교들보다 높게 나타났다. 다음에 지방자치단체 규모별 교육효율성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는 인구가 적은 농촌형 지방자치단체가 대도시형 지방자치단체에 비해서 투입요소의 과밀도가 낮으며, 대학진학률과 취업률은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교육효율성 측면에서도 대도시형이나 도농복합형보다 농촌형 지방자치단체 소재 학교들의 교육효율성이 높게 나타났다.

우리나라 해상경계 획정기준에 관한 기초 연구 (A Preliminary Study on The Delimitation Standard of Maritime Boundary in Korea)

  • 최윤수;김재명;김현수;박병문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20권2호
    • /
    • pp.45-57
    • /
    • 2012
  • 최근 국내 여러 지방자치단체들은 해양개발이 활성화됨에 따라 관할해역 확보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인접 지방자치단체간 분쟁의 증가로 인하여 관할해역 구분의 기준이 되는 해상경계의 중요성이 급격히 부각되고 있다. 특히, 해상경계 획정기준의 부재는 인접 지방자치단체들 간 분쟁을 발생시킬 수 있는 요소를 많이 내포함에 따라서 해상경계 획정기준 마련을 위한 노력이 절실히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해상경계 획정기준을 마련하기 위하여 기 고시된 "해상경계 확인을 위한 수로측량업무규정"을 조사 분석하여 개선사항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첫째, 해상경계 획정의 개념을 수립하였고 둘째, 해상경계 획정기준의 범위와 내용 및 절차를 구체적으로 설정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지방자치단체들 간 해상경계 분쟁의 사전예방 및 사후 합법적 해결을 목적으로 해상경계조정위원회의 설치, 구성, 직무, 조정결과의 효력 등과 같은 해상경계 분쟁조정방법을 제시하였다.